韓 인앱결제법, 최대 고비는 美정부?

우리나라 국회가 세계 최초로 인앱결제 강제 금지법 제정을 추진을 앞둔 상황에서 막판 변수가 생겼다. 25일 오후 2시 예정됐던 국회 본회의가 무산됐기 때문이다. 이날 본회의가 연기된 이유는 여야 간 갈등이 첨예한 언론중재법 개정안의 본회의 통과 등 정치적 이슈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25일 새벽에 국회 법제사법위원회를 통과한 인앱결제 강제 금지법(전기통신사업법 개정안)도 국회 본회의 통과가 무산됐다. 해당 법안의 경우 여야 이견이 크지 않은 만큼 본회의 통과가 예상됐었다.

특히 해당 법안의 통과는 세계에서 첫 번째라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미국과 유럽연합 등은 국가들이 구글과 애플을 비롯한 빅테크 플랫폼 기업의 반독점 및 지배력 남용 문제에 제동을 걸고 있는 상태다. 이 때문에 세계 각국의 의회가 우리나라의 인앱결제 관련 법안이 통과될 경우, 이를 참조할 것으로 기대가 된다.

사진=국회

이러한 상황에서 국회 본회의 무산 소식과 함께 들리는 미국발 소식이 주목된다.

인앱결제법 해당 기업인 구글과 애플이 한국의 관련법 저지를 위해 미국 정부를 상대로 적극적인 로비에 나섰다는 소식이다. 24일(현지시간) 주요 외신에 따르면, 구글과 애플의 지원을 받고 있는 로비 그룹이 바이든 행정부에 한국의 인앱결제법 통과를 막아달라는 강력한 로비를 진행 중이다.

구글과 애플은 현재 미국과 유럽연합에서 지배력 남용에 대한 반독점 이슈로 제재를 앞두고 있는 상황이다. 한국에서 인앱결제법이 통과되면 미국과 유럽을 비롯한 세계 각국 정부의 제재 법안 통과 봇물이 터질 수도 있다.

이 때문에 양사는 자국(미국) 정부를 상대로 법안 저지 로비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뉴욕타임즈 보도에 따르면, 양사를 대신하는 로비단체인 정보통신산업협의회는 한국의 인앱결제 강제 금지법이 한국과 미국간 무역협정에 위반된다는 주장을 하고 있다. 이 단체는 구글과 애플이 창립멤버로 구성돼 있다.

양사의 막판 로비에 대해서 미국 정부는 명확한 입장을 취하지 않은 것으로 현재까지는 알려졌다. 미국 역시 구글과 애플의 지배력 남용 및 반독점 이슈로 이들에 대한 제재 법안을 추진 중이기 때문이다.

다만 우려되는 것은 한국 정부가 추진 중인 법안이 미국 사업자를 겨냥하고 있다는 '통상 마찰'을 강조하고 있다는 부분이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미국 정부가 우리나라 정부에 간섭을 할 수 있는 여지를 남길 수 있다.

이에 대해 한국인터넷기업협회 관계자는 "국회 본회의 무산은 언론중재법 등 정치적인 이유일 것으로 보고있다. 미국과의 무역 분쟁 이슈도 글로벌 추세를 볼 때 큰 논란거리가 되지 않을 것으로 본다. 한국 내 중소기업과의 상생 등 정치권과의 교감이 이뤄지고 있어 무리 없이 통과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효정 기자

hjkim@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EU ‘인공지능법’ 통과, GDPR 버금가는 강력한 규제 장벽 될 수도…대응법은?

EU 인공지능법 통과를 두고 국내 법률 전문가들은 공히 “GDPR 수준에 버금가는 강력한 규제 장벽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 놓고 있다. 실제 그 내용을 보면 EU 지역에서 출시되는 AI 관련 상품·서비스는 공급자의 소재지와 관계없이 모두 인공지능법에 적용 대상이 된다. 이에 법무법인 디엘지(전 법무법인 디라이트)가 마련한  ‘GDPR의 실무와 EU 최신 규제 동향’ 세미나에서는 GDPR을 통해 진행된 규제 내용과 더불어 인공지능법에 대한 국내 인공지능 기업의 대응 필요성이 주요 세션 중 하나로 다뤄졌다.

스탠포드-아시아 지속가능 심포지움 현장… 기업들이 주목해야 할 ESG 리스크와 대응 전략은?

지난 2022년 9월 전설적인 벤처 투자자인 존 도어가 스탠포드에 11억 달러(한화 약 1조5000억원)을 기부해 설립된 스탠포드 도어 지속가능대학(Stanford Doerr school of sustainability, 이하 도어 스쿨)이 스타트업 전문 법무법인 미션과 공동 기획으로 제 4회 ‘스탠포드-아시아 지속가능 심포지움’을 개최했다. 이날 행사는 스탠포드 전문가를 비롯해 법조인, 스타트업 관계자들이 모여 탄소 중립을 위한 생태계 및 규제를 분석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기업과 스타트업의 전략과 사례가 소개되는 시간으로 채워졌다.

ESG 경영 관리, 전략적 비즈니스 필수 요소로 재정의가 필요하다

박 대표는 ‘관리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는 ESG 관련 법 제정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지만, 법 제정의 목적은 결국 ‘공급망 실사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 박 대표의 설명이다. 그 대표적인 것이 바로 ‘CBAM(Carbon Border Adjustment Mechanism, 탄소국경조정제도 *탄소 가격과 연계된 탄소국경세 개념)’다.

악의적 선거 딥페이크 사용 방지를 위한 자율협의체 공동선언 채택

한국인터넷기업협회는 회원사인 네이버, 카카오, SK커뮤니케이션즈(가나다 순) 등과 올해 치러지는 선거 과정에서의 공정성과 신뢰성을 위한 ‘악의적 선거 딥페이크 사용 방지를 위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