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기술 누리호 발사 성공...뉴스페이스 시대 본격 개막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하 항우연)은 국내 우주 수송 능력을 확보하기 위해 독자 개발한 누리호 3차 발사가 성공했다고 밝혔다.

출처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5일 18시 24분 정각에 발사한 누리호가 비행을 종료한 뒤, 항우연은 발사체 비행 정보를 담고 있는 누리호 원격수신정보(텔레메트리)를 초기 분석한 결과, 누리호가 목표 궤도에 투입되어 차세대소형위성 2호를 성공적으로 분리·안착시켰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부탑재위성인 큐브위성 6기의 경우 정상적으로 사출이 진행된 것을 확인하였으나, 도요샛 4기 중 1기의 경우 사출 여부 확인을 위해 시간이 좀 더 소요될 예정이다.

누리호는 발사 후 정해진 비행시퀀스에 따라 비행 과정이 모두 정상적으로 진행되었다. 누리호 1, 2, 3단 엔진 모두 정상적으로 연소되고, 페어링도 정상적으로 분리되어 누리호에 탑재된 차세대소형위성 2호와 큐브위성 사출 과정까지 모두 마무리되었다.

또한 25일 19시 07분경, 남극 세종기지에서 차세대소형위성 2호의 신호가 수신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지난 해 누리호 2차 발사 성공에 이어 이번 3차 발사 성공으로 누리호의 신뢰성 향상과 함께 우리나라가 독자적인 우주 수송 능력을 확보하여 자주적인 국가 우주개발 역량을 갖추었음을 다시 한 번 확인했다.

또한, 발사체 본연의 역할인 위성 발사를 위한 기술을 확보함과 동시에 체계종합기업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도 최초로 발사 운용 등에 참여하여 역할을 수행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황정호 기자

jhh@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딥엘, 전 세계 가장 빠른 슈퍼컴퓨터 시스템 중 34위 차지

글로벌 AI 커뮤니케이션 기업 딥엘(DeepL)은 6일 자사의 엔비디아 기반 시스템이 슈퍼컴퓨팅 2023(SC23)에서 공개된 ‘톱500(TOP500)’에서 34위를 차지했다고 발표했다. 딥엘 시스템의 연산...

권준혁 드롭박스 한국 담당 이사 “AI 툴 사용 필수 시대, 제조·리테일·미디어 워크플로우 개선에 집중할 것”

글로벌 시장을 대상으로 워크플로우 혁신 및 업무 효율성을 강화하는 협업 플랫폼을 제공하고 있는 드롭박스가 5일 올 한해 성과를 바탕으로 AI 기술을 도입한 제품을 내세우며 내년도 한국 시장 전략을 공개했다. 이날 테크42와 만난 권준혁 드롭박스 한국 엔터프라이즈 비즈니스 및 파트너 세일즈 리드(이하 한국 담당 이사)는 “올 한해 가장 큰 성과는 드롭박스의 서비스가 엔터프라이즈 시장으로 확대됐다는 점”이라며 말문을 열었다.

TEXTNET, 홈페이지 리뉴얼 오픈...텍스트 데이터 전문 서비스 정체성 강화

스피링크가 운영하는 인공지능(AI) 학습 데이터 구축 서비스 TEXTNET는 자사 홈페이지를 리뉴얼 오픈했다고 5일 밝혔다. TEXTNET에 따르면 새로운 홈페이지에는 ‘TextOps for...

티맵 ‘저탄소·친환경’ 길안내 개시… 전기차를 시작으로 내연 기관 확대 예정

경사를 예측해 배터리 소모량을 덜어주는 친환경 길안내 서비스가 등장했다. 티맵모빌리티(이하 티맵)는 전기차 이용자를 위한 ‘배터리 효율 경로 안내’ 서비스를 개시했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