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기술 누리호 발사 성공...뉴스페이스 시대 본격 개막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하 항우연)은 국내 우주 수송 능력을 확보하기 위해 독자 개발한 누리호 3차 발사가 성공했다고 밝혔다.

출처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5일 18시 24분 정각에 발사한 누리호가 비행을 종료한 뒤, 항우연은 발사체 비행 정보를 담고 있는 누리호 원격수신정보(텔레메트리)를 초기 분석한 결과, 누리호가 목표 궤도에 투입되어 차세대소형위성 2호를 성공적으로 분리·안착시켰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부탑재위성인 큐브위성 6기의 경우 정상적으로 사출이 진행된 것을 확인하였으나, 도요샛 4기 중 1기의 경우 사출 여부 확인을 위해 시간이 좀 더 소요될 예정이다.

누리호는 발사 후 정해진 비행시퀀스에 따라 비행 과정이 모두 정상적으로 진행되었다. 누리호 1, 2, 3단 엔진 모두 정상적으로 연소되고, 페어링도 정상적으로 분리되어 누리호에 탑재된 차세대소형위성 2호와 큐브위성 사출 과정까지 모두 마무리되었다.

또한 25일 19시 07분경, 남극 세종기지에서 차세대소형위성 2호의 신호가 수신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지난 해 누리호 2차 발사 성공에 이어 이번 3차 발사 성공으로 누리호의 신뢰성 향상과 함께 우리나라가 독자적인 우주 수송 능력을 확보하여 자주적인 국가 우주개발 역량을 갖추었음을 다시 한 번 확인했다.

또한, 발사체 본연의 역할인 위성 발사를 위한 기술을 확보함과 동시에 체계종합기업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도 최초로 발사 운용 등에 참여하여 역할을 수행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황정호 기자

jhh@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애플 비전프로, 놀랍고 오싹하기까지"…헤드셋 아닌 ‘공간 컴퓨터’ 세계가 열리다

애플이 애플워치 이후 약 10년만에 자사의 새로운 형식의 콤펙터인 혼합현실 기기 ‘애플비전프로’를 선보였다. 애플은 이번에 공개한 애플비전프로를 헤드셋이 아닌 ‘공간컴퓨터’로 칭했다. 대부분 ‘놀랍고 오싹하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는 애플비전이 공간컴퓨터로 불리는 이유는 무엇인가.

글로벌 빅테크, 왜 이런 기괴한 생각을···미래 아이디어 12가지

만약 현재 한창 관심을 끌고 있는 최신 기술의 집약체인 폴더블폰과 4족보행 로봇, 2족보행 로봇이 미래 지향적 제품이 아닐까 생각한다면 맞다. 일례로 삼성의 폴더블폰이 그랬고, 혼다의 아시모가 그랬으며, 타조다리에서 영감을 얻은 어질리티 로보틱스의 2족 보행로봇 디지트가 그렇다. 이처럼 어느 회사의 특허출원 내용을 살펴 본다는 것은 그 회사가 어떤 미래를 보고 기술을 개발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가 된다.

시큰둥한 AR·VR 헤드셋 시장…이번에도 ‘애플이 애플할까?’

메타는 아무도 모르는 메타버스를 구축중이고 구글은 자사의 AR·VR 헤드셋 출시를 중단했다. 연간 수억대의 아이폰을 팔며 아쉬울게 없는 애플이 리스크가 큰 AR·VR 헤드셋 시장에 뛰어드는 이유는 무엇일까.

“나는 챗GPT와 결합하는 최초의 상용 휴머노이드”

최근 노르웨이 로봇업체 원엑스(1X)가 인간형 로봇(휴머노이드 로봇) ‘이브(Eve)’로 전세계의 주목을 한 몸에 받고 있다. 주목받는 더 큰 이유는 다른 데 있다. 이브가 오픈AI의 챗GPT와 결합해 상용화하는 최초의 인간형로봇(휴머노이드 로봇)이 될 것이란 예상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