쉽지 않은 클라우드 전환, '실시간 동기화'가 핵심이다

바야흐로 클라우드의 시대다.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다수 산업이 침체 국면인 와중에도 클라우드 시장 만큼은 성장했다.

시너지리서치 그룹에 따르면 2021년 클라우드 인프라 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39% 증가한 420억달러(약 48조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2016년 이후 손에 꼽히는 증가율이다. 게다가 1년이 지난 후에는 약 4배 증가한 1520억 달러(약 175조원)까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만큼 클라우드를 도입하는 기업과 조직이 늘어난다는 것. 하지만 우리나라는 사정이 다르다. 시장조사업체 가트너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공공 및 민간 부문의 클라우드 전환율은 10%에 미치지 못한다. 해외의 경우, 미국은 40%, 일본은 33%로 우리보다 앞서고는 있다.

하지만 클라우드 시장 자체의 급격한 성장율을 감안한다면 낮은 수치다. 이러한 결과는 클라우드로 전환하는 기업과 그렇지 않는 기업의 나눠지고 있다는 것을 방증한다.

그렇다면 왜 이렇게 클라우드 전환율이 떨어지는 것일까?

"데이터 동기화 속도가 생성 속도보다 빨라야"

이에 대해 윤정일 실크로드소프트 대표는 3일 개최된 테크42의 웨비나 '클라우드 인사이트 1st'에서 "클라우드로 전환하려면 비즈니스를 멈춰야 하기 때문에 그 손실을 우려해 데이터 이관이 쉽지 않다"고 설명한다.

즉, 마이그레이션 과정에서의 데이터 이동에 대한 부담이 기업으로 하여금 클라우드 전환을 망설이게 하는 요인 중 하나라는 것. 물론 이중화 방식을 통해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이관하는 방법이 있다. 변경 데이터 캡쳐로 DB동기화를 수행하는 CDC(Change Data Capture) 기술로 미리 시스템 환경을 구축해놓고 실시간 동기화를 진행한다면 서비스를 멈추지 않고도 마이그레이션이 가능하다.

하지만 여기서도 문제가 있다. 바로 속도다. 윤정일 실크로드소프트 대표는 "실시간 동기화 속도가 데이터를 생성하는 속도보다 빨라야만 문제 없이 클라우드 전환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문제는 해당 기술을 거의 독점적으로 제공하는 기업이 오라클뿐이라는 것. 2009년 CDC 기술 2위 기업인 골든게이트(GoldenGate)를 인수한 오라클은 '오라클 실시간 동기화'라는 독점 기술로 관련 시장과 함께 클라우드 시장 마저도 값비싼 오라클을 사용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을 만들어냈다.

이에 윤정일 대표는 그 대안으로 실크로드소프트 솔루션을 제안한다. 윤정일 대표는 국산 솔루션이지만 "오라클 솔루션과 대등한 동기화 성능을 가지면서도 이들이 하지 않는 국산DB나 오픈소스DB로의 동기화를 지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클라우드 전환을 비싸고 어렵게 오라클에 한정하지 말고 쉽게 하는 게 중요하다는 것이다.

석대건 기자

daegeon@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달에서 문자하고 화성에서 스트리밍할까요?

달 탐험을 강화하고 궁극적으로 위성 행성에 인간이 존재할수 있는 미래를 모색하기 위해 NASA와 노키아가 올해 말, 달에서 4G 모바일 네트워크를 출시할 준비를 진행중이다. 이는 우주 식민지 주민이 개인 디바이스를 네트워크에 연결해 지구인이 사용하는 모든 앱과 서비스에 액세스할수 있는 스마트폰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서울대생들이 만든 소셜 스타트업, ‘시공간’ “LLM 활용, 대화형 챗봇으로 시각장애인의 온라인 쇼핑을 돕는 서비스 만들었습니다”

시공간이 개발·출시한 서비스는 총 세 가지다. 우선 대표 서비스인 ‘픽포미’를 들 수 있다. 이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쇼핑 서비스로 다양한 상품 정보를 LLM(거대언어모델) 기반 AI로 요약해 시각장애인들에게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 ‘브로디’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사진 해설 서비스로, ‘글공방’은 자체적으로 시각장애인을 위한 대체텍스트 제작이 어려운 기업들을 위한 ‘대체텍스트 제작’ B2B 서비스로 고도화를 진행 중이다.

AI의 파괴적 혁신···2D 레이더 지도를 몇분만에 3D지도로

최근 전세계적으로 지진 발생 소속이 부쩍 잦아진 것 같다. 요 근래만 해도 일본 근해의 지진이 있고 뉴욕지진, 대만 지진이 세계를 놀라게 했다. 이런 지진이 발생했을 때 도시지역이라면 재난 발생지역을 입체적으로 보여주는 3D지도가 긴요해진다. 때마침 IEEE스펙트럼은 독일 뮌헨 분데스베어대학교가 이런 지도 제작을 단 몇 분 만에 만들어줄 인공지능(AI) 모델을 개발했다.

아이폰 판매량은 급감하고 삼성 이익은 900% 증가하는 이유

스마트폰 시장에서 중국소비자가 자국 브랜드로 눈을 돌리고, 삼성전자의 글로벌 시장 1위 왕좌 탈환으로 애플의 아이폰 판매량이 급감하고 있다. 미국 정부의 중국에 대한 외국 칩 기술 접근을 제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화웨이는 놀라운 성능의 메이트60를 공개하면서 충격을 안기기도 했다. 삼성은 이미 AI에 올인하고 이를 스마트폰을 통해 적극적으로 선보이는 가운데, 애플은 아직까지도 AI에 대한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하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