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마다 피곤한 이유? 당신의 휴식은 '가짜'

‘#Bedrotting’ 이라는 말, 

들어 보셨나요? 

요즘 해외 Z세대들의 유행어인데요. 틱톡, 인스타그램 스토리 등 SNS에서 해시태그 1억 회가 넘을 정도로 인기입니다. 직역하면 ‘침대에서 썩기’, 즉 하루 종일 침대에 꼼짝하지 않고 누워있는 것을 의미하죠. 침대에 누워 영화도 보고, 유튜브도 보고, 친구와 전화로 수다도 떨고, 배고프면 배달음식을 시켜 먹으면서 쉬다가, 그 모습을 사진 찍어 SNS에 공유하는 겁니다. 피로가 일상이 된 사회 속에서, 휴식이 새로운 놀이문화가 된 거죠.

 최근 소셜미디어 '틱톡'을 중심으로 'Bedrotting'이 새로운 트렌드로 부상하고 있다.

하지만 많은 전문가들에 따르면, 이렇게 침대에서 시간을 보내는 것은 현대인의 진정한 휴식에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주말 내내 집에 콕 박혀서 푹 쉬었다고 생각했는데, 오히려 월요일 출근길이 평소보다 더 피곤하게 느껴진 적 다들 있으실 텐데요. 그 이유는 바로... 몸은 쉬었지만 뇌가 쉬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대부분의 현대인은 육체 노동보다 정신 노동에 더욱 시달립니다. 다가오는 마감 기한, 중요한 일이 달린 의사 결정, 머리를 쥐어짜게 만드는 문제 상황 속에서 우리 뇌는 매일매일 긴장상태로 일하죠. 번아웃(Burn-out)을 겪지 않으려면, 뇌가 충분한 휴식을 통해 피로를 회복할 수 있어야 합니다. 


뇌의 피로를 풀어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액티브 레스트(Active rest)’가 필요합니다. 웬만해서는 일을 멈추지 않는 뇌를 쉬게 하기 위해, 일부러 뇌가 좋아하는 활동을 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편하게 TV를 보며 빈둥거린다고 해서, 뇌까지 편한 것은 아닙니다. 들어오는 무의미한 자극을 처리하느라 더 바쁘죠. 특히, 잠을 자지 않으면서 계속 누워 있는 것은 뇌피로에 최악입니다. 지금이 수면 상태인지 각성 상태인지 뇌파가 혼란을 느껴, 나중에는 잠을 자도 피로가 풀리지 않게 될 수도 있기 때문이죠. 

정신이 지친 당신을 위한 ‘액티브 레스트’의 방법을 3가지 알려드립니다. 

첫째, 몸을 움직이세요. 30분 정도 걷거나 자전거를 타면서 신체를 움직여주면 뇌의 혈류량이 증가하고, 뇌신경의 연결을 튼튼하게 해주는 신경전달물질(BDNF)이 분비됩니다. 머리가 안 돌아간다고 느껴질 때 몸을 움직이면 생각이 잘 떠오르는 것은 이 때문입니다. 

둘째, 아침을 꼭 드세요. 위에 부담없는 간단한 과일, 견과 정도도 충분합니다. 뇌는 포도당으로 움직이는데, 식사 후 12시간이 지나면 체내에는 포도당이 없습니다. 오전 시간을 공복으로 일하면, 연료 없이 달리는 자동차처럼 뇌의 체력은 점점 더 약해지죠. 

셋째, 나만의 ‘리프레시 행동’을 발견하세요. 번 아웃이 오면, 심적으로 너무 지쳐 모든 활동에 대한 동기가 사라져버립니다. 하지만 그럴 때 억지로 몸을 일으켜 어떤 행동이든 하고 나면, ‘어? 훨씬 기분이 나아지는데?’하는 기분이 들 때가 있습니다. 정신의학에서는 ‘행동 활성화’라고 부르는 효과죠. 바로 그 행동을 기억해두세요. 강아지 산책, 설거지, 책장 정리, 샤워 등 나만의 리프레시 행동을 찾아 적절히 사용하면 지친 뇌에게 활력을 줄 수 있습니다. 


여러분은 남는 시간을 어떻게 활용하시나요? 피곤하다는 말을 입에 달고 살면서도, 쉬고 싶은 뇌를 끊임없이 부려먹고 있는 건 아니겠죠? 액티브 레스트(Active rest)로 ‘진짜 피로’를 날려보세요. 

IGM세계경영연구원

insightlab@igm.or.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직원 고과, 상대평가와 절대평가 중 어떤 게 좋을까?

최근 직원 평가 방법을 상대평가에서 절대평가로 전환했다는 기업들의 기사를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습니다. 일부 기사에서는 절대평가가 상대평가보다 ‘좋다’라는 인식을 주기도 하는데요.

2023 한국 데이터 저널리즘 어워드 : 올해의 데이터 시각화 수상작은?

데이터에 관련해서도 많은 시상식이 열리지만, 오늘은 ‘2023 한국 데이터 저널리즘 어워드’를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그중 뉴스젤리는 데이터 시각화 기업으로서 ‘올해의 데이터 시각화 상’을 수상한 두 작품을 여러분과 함께 살펴보려고 합니다! 각 작품의 흥미로운 제작 배경과 사용한 데이터, 그리고 활용한 데이터 시각화까지 함께 알아볼까요?

쿠팡 ‘계획된 적자’ 시즌2 시작하나요?

대부분의 경쟁자가 긴축 모드에 돌입했다는 점도 큰 차이점입니다. 특히 이는 쿠팡에게 매우 좋은 일이라 할 수 있는데요. 일단 최대 경쟁자인 네이버만 해도, 성장보다는 수익에 초점을 맞추고 있고요. 신세계 그룹 역시 당장의 실적 부진 반등이 최우선 과제라, 공격적인 투자를 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이에 따라 나 홀로 투자 모드로 돌아선 쿠팡이 얻는 효과는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모두가 멈출 때 혼자 달리면 격차는 벌어질 수밖에 없으니까요.

우리 제품의 '광팬' 고객, 어떻게 만들 수 있을까?

어떤 제품이 자신이 추구하는 가치를 실현시켜주면 여기에 유대감을 느끼고 애착을 갖게 되며, 이런 관계가 꾸준히 지속되면 제품에 대한 신뢰가 쌓여 이를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다른 사람들에게 홍보하는 광팬 고객이 된다는 거죠. 그럼 구체적으로 뭘 어떻게 해야 하는 걸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