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맵, 서울 지하철역 승강장 간격·높이 정보 제공

(이미지=카카오)

카카오가 서울교통공사와 손잡고 교통 약자를 비롯한 열차 이용자의 안전한 이동을 돕는다.

카카오는 서울교통공사가 제공하는 승강장 연단(열차와 승강장 사이의 거리) 정보를 카카오맵에 적용했다고 8일 밝혔다. 교통약자의 지하철 이용 편의 증진을 위해 지난 7월 서울교통공사와 맺은 업무협약(MOU)의 일환이다.

카카오맵은 지난 2020년 7월부터 전국 도시철도 1107개 역사에서 ▲장애인 화장실 ▲수유시설 ▲휠체어 리프트 ▲휠체어 충전 등 편의시설 구비 여부를 안내해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과 고령자 등 교통약자의 이동 편의성을 높이고 있다. 서울교통공사는 앞으로도 카카오맵의 지하철역 서비스 고도화에 필요한 데이터를 제공하고 교통약자를 위한 콘텐츠의 활용을 지원한다.

박성혁 카카오 벡터지도데이터셀장은 “서울교통공사와의 데이터 협업을 바탕으로 누구나 카카오맵을 활용해 별도의 도움 없이 혼자서도 쉽게 지하철에 탑승할 수 있는 이동 지원 서비스를 더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카카오는 지난 4월 디지털 접근성 강화를 위한 ‘배리어 프리 이니셔티브(barrier free initiative)’를 추진하기 위해 국내 IT기업 최초로 ‘디지털 접근성 책임자(Digital Accessibility Officer, DAO)’를 선임한 바 있다.

카카오가 디지털 접근성을 개선한 사례로는 ▲저시력 장애인을 위한 카카오톡 고대비 테마 제작 ▲카카오톡 기본 이모티콘 대체 텍스트 적용 ▲QR체크인 및 잔여백신 예약 접근성 개선 등이 있다.

허우녕 인턴기자

twins6524@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티맵 '훈훈' 이벤트…대리기사 대상 최대 10만 포인트 추가 지급·기상 연계 운행수익 보너스 혜택 확대

티맵모빌리티(이하 티맵)은 연말 추위 속 고군분투하는 대리운전 기사들을 위해 다양한 연말 이벤트를 마련했다고 8일 밝혔다. 우선 주행 실적에 따라 편의기능과...

송승재 라이프시맨틱스 대표이사, ‘국회의장 공로장’ 수상

디지털헬스케어 전문 기업 라이프시맨틱스의 송승재 대표이사가 국회의장 공로상을 수상했다. 라이프시맨틱스는 지난 5일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 엘타워에서 열린 ‘올해의 벤처상’ 행사에서...

삼쩜삼, ‘삼쩜삼뱅크’로 4번째 인터넷전문은행 도전

세금 신고·환급 도움 서비스 ‘삼쩜삼’을 운영하는 자비스앤빌런즈가 4번째 인터넷전문은행을 추진한다고 6일 밝혔다. 가칭 ‘삼쩜삼뱅크’는 소상공인과 N잡러를 대상으로 하며, 지난 3년간 삼쩜삼 운영으로 체감한 노동 환경의 극적인 변화를 4번째 인터넷전문은행인 ‘삼쩜삼뱅크’에 적용, 새로운 금융 시스템을 통해 세금에 이어 금융에서도 사각지대를 없애겠다는 방침이다. 자비스앤빌런즈 삼쩜삼뱅크는 1금융권에서 금융 혜택을 받는 근로소득자나 사업자는 물론 근로소득을 유지하면서 개인 사업을 운영하거나 파트타이머, 프리랜서 등 다양한 형태로 진화하고 있는 N잡러를 주요 대상으로 보고 있다. 소상공인 및 자영업자 등 개인 사업자도 포함된다. 혜택을 받지 못했던 고객들을 안정적이 제도적 금융 시스템으로 유입시킴으로써 기존 금융권과의 차별화를 꾀하겠다는 전략이다. 20년 5월 삼쩜삼 서비스를 처음 선보인 자비스앤빌런즈는 지난 3년간 세무 영역에서 사각지대에 있던 고객들의 세금 신고 및 환급을 도왔다. 이를 통해 1,800만 명의 고객을 모았으며, 누적 환급액은 9,099억 원을 기록하는 등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뤘다. 무엇보다 서비스 초기에는 2030세대의 관심이 집중되었으나 최근에는 5060세대가 전체 고객의 16%를 차지하고 21년 이후...

권준혁 드롭박스 한국 담당 이사 “AI 툴 사용 필수 시대, 제조·리테일·미디어 워크플로우 개선에 집중할 것”

글로벌 시장을 대상으로 워크플로우 혁신 및 업무 효율성을 강화하는 협업 플랫폼을 제공하고 있는 드롭박스가 5일 올 한해 성과를 바탕으로 AI 기술을 도입한 제품을 내세우며 내년도 한국 시장 전략을 공개했다. 이날 테크42와 만난 권준혁 드롭박스 한국 엔터프라이즈 비즈니스 및 파트너 세일즈 리드(이하 한국 담당 이사)는 “올 한해 가장 큰 성과는 드롭박스의 서비스가 엔터프라이즈 시장으로 확대됐다는 점”이라며 말문을 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