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 이젠 GM, 포드보다 더 많이 버는 자동차 회사

테슬라 모델S(좌), 모델3, 모델Y (사진=테슬라)

여전히 제네럴모터스(GM)와 포드가 테슬라보다 훨씬 더 큰 기업이라고 믿는다면, 앞으로는 그 선입관을 조금씩 지워야 할 때가 온 것 같다. 물론 종업원 수, 공장 규모, 연간 자동차 생산량 등 규모 자체를 따지자면, 테슬라는 GM과 포드에 비할 바가 아니다. 겨우 연간 100만대 정도 생산하는 중소 자동차 제조사일 뿐이니까.

그러나 이제 돈 버는 걸로 따지만 테슬라가 GM과 포드를 앞서기 시작했다. 특별하고도 어마무시한 테슬라의 시가총액뿐만 아니라 당기순이익(net income)에서도 이들 거대 자동차 제조사를 크게 능가하고 있다.

온라인 매체 더 스트리트에 따르면, 2022년 1분기를 기준으로 테슬라의 분기 순이익은 33억1000만달러(약 4조2172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2021년 1분기 순이익 4억3800만달러보다 650% 이상 증가한 실적이다.

반면, GM은 같은 기간 순이익은 29억3000만달러(약 3조7330억원)에 그쳤다. 테슬라보다 3억8000만달러 적은 순이익이다.

포드는 한 술 더 뜬다. 포드는 올 1분기 동안 31억달러(약 4조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다. 벌기는커녕 4조원에 가까운 돈을 불과 석 달 만에 까먹기만 했다는 뜻이다. 포드의 당기순손실은 전기차 스타트업 리비안 투자가 어긋났기 때문으로 파악된다. 그러나 포드는 지난 2021년 한 해 동안 총 23억달러의 순이익을 달성했다는 점을 고려할 때 단기간 순손실 규모가 작지 않음은 뼈아픈 문제로 지적된다.

테슬라의 순이익 규모가 큰 것은 테슬라 특유의 사업 구조가 한 몫하고 있다. 테슬라는 광고 홍보비를 거의 지출하지 않으며, 재투자금의 대부분을 연구개발(R&D) 부문에 집중하고 있다. 그리고 성과를 내고 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는 지난해 4월 트위터를 통해 "다른 기업은 광고와 여론 조작에 돈을 쓰지만 테슬라는 제품에 집중한다"며 자신의 경쟁력을 강조한 바 있다.

단적인 사례로 포드의 경우 차량 1대당 R&D 비용은 1186달러로 추정된다. GM은 불과 878달러다. 반면, 테슬라는 이들의 3배에 이르는 2984달러에 달한다. GM과 포드는 북미 최대의 스포츠 이벤트인 슈퍼볼 경기에 수천억원의 광고비를 집행한다. 반면 테슬라는 단 한 푼도 슈퍼볼 광고비를 집행하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슈퍼볼 경기 기간 차량 주문량은 테슬라가 가장 많았다.

미국에서(아마도 전 세계에서도) 가장 수익성이 높은 자동차 제조사를 꼽자면, 테슬라가 단연 으뜸이다.

올해 1분기 실적 발표에서 일론 머스크 CEO는 "테슬라는 매년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앞으로 몇 년 동안 연간성장률을 50%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자신한 바 있다. 중국 내 오미크론 확산, 전 세계적 반도체 수급난 등 대내외 악재에도 불구하고 테슬라의 성장은 꾸준히 유지되고 있다. 테슬라의 올해 연간생산량 목표는 200만대이다.

해당 기업의 포괄적 가치는 시가총액에서 드러난다. 2022년 5월 9일(현지시간) 기준으로 테슬라의 시가총액은 약 8154억달러다. 반면, GM은 557억달러, 포드는 537억달러다.

5시35분

sebebap567@ishyp.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직원 고과, 상대평가와 절대평가 중 어떤 게 좋을까?

최근 직원 평가 방법을 상대평가에서 절대평가로 전환했다는 기업들의 기사를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습니다. 일부 기사에서는 절대평가가 상대평가보다 ‘좋다’라는 인식을 주기도 하는데요.

2023 한국 데이터 저널리즘 어워드 : 올해의 데이터 시각화 수상작은?

데이터에 관련해서도 많은 시상식이 열리지만, 오늘은 ‘2023 한국 데이터 저널리즘 어워드’를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그중 뉴스젤리는 데이터 시각화 기업으로서 ‘올해의 데이터 시각화 상’을 수상한 두 작품을 여러분과 함께 살펴보려고 합니다! 각 작품의 흥미로운 제작 배경과 사용한 데이터, 그리고 활용한 데이터 시각화까지 함께 알아볼까요?

쿠팡 ‘계획된 적자’ 시즌2 시작하나요?

대부분의 경쟁자가 긴축 모드에 돌입했다는 점도 큰 차이점입니다. 특히 이는 쿠팡에게 매우 좋은 일이라 할 수 있는데요. 일단 최대 경쟁자인 네이버만 해도, 성장보다는 수익에 초점을 맞추고 있고요. 신세계 그룹 역시 당장의 실적 부진 반등이 최우선 과제라, 공격적인 투자를 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이에 따라 나 홀로 투자 모드로 돌아선 쿠팡이 얻는 효과는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모두가 멈출 때 혼자 달리면 격차는 벌어질 수밖에 없으니까요.

우리 제품의 '광팬' 고객, 어떻게 만들 수 있을까?

어떤 제품이 자신이 추구하는 가치를 실현시켜주면 여기에 유대감을 느끼고 애착을 갖게 되며, 이런 관계가 꾸준히 지속되면 제품에 대한 신뢰가 쌓여 이를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다른 사람들에게 홍보하는 광팬 고객이 된다는 거죠. 그럼 구체적으로 뭘 어떻게 해야 하는 걸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