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G 쉽지 않네…" 애플 자체 5G 통신칩 개발 난항

밍치궈, "차세대 아이폰15에서도 퀄컴 칩 쓸 가능성 높아" 전망

[AI요약] 애플이 5G 통신칩 자체 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나 과정이 순조롭지 않다고 애플 전문 분석가 밍치궈가 최근 밝혔다. 애플은 퀄컴 의존도를 탈피하기 위해 2019년부터 인텔의 통신칩 사업 부문을 인수, 자체 통신칩 개발에 몰두하고 있다.

애플이 5G 통신칩 자체 개발에 난항을 겪고 있다는 소식이다 (사진=테크42)

애플이 M1/M2 칩셋처럼 자체 개발한 5G 통신칩을 개발해 쓰겠다는 계획이 순조롭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당분간 퀄컴의 5G 칩셋에 의지하는 구도가 불가피하다는 전망이 나왔다.

대만 TF 인터내셔널 증권의 애플 전문 분석가 밍치궈는 29일(현지시간)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애플의 5G 통신칩 개발 지연 소식을 알렸다.

그는 공급망 측 조사를 통해 "애플이 오는 2023년 아이폰15 시리즈 출시에 맞춰 5G 통신칩을 자체 개발하는 계획에 상당한 차질이 발생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따라서 올 가을 출시하는 아이폰14를 비롯해 내년 출시할 계획인 아이폰15 시리즈까지 퀄컴의 5G 통신칩 탑재가 불가피하다는 견해를 밝힌 것.

애플은 5G 통신칩 자체 개발을 통해 퀄컴에 의존하고 있는 네트워크 모뎀 칩셋을 모두 대체한다는 계획을 세운 바 있다. 애플의 계획이 성공한다면 퀄컴의 애플향 매출 80%가 사라지는 최악의 상황을 맞이하게 된다.

그러나 5G 통신칩 자체 개발이 최근 난항에 빠진 것으로 보인다. 올해 초까지만 하더라도 2023년 양산 계획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는 소식이 들렸지만, 최근 밝혀지지 않는 문제로 인해 2023년 양산이 쉽지 않다는 견해가 나온 것.

일각에서는 최근 애플이 강력하게 요구하는 전력효율성 문제가 자체 5G 통신칩 개발에 발목을 잡은 것이 아니냐는 조심스런 관측도 나오고 있다. 애플이 요구한 성능이 100% 나오지 않는 문제다.

애플은 지난 2019년 인텔의 통신칩 사업 부문을 10억달러(약 1조2900억원)에 인수한 뒤 현재까지 아이폰과 아이패드에 탑재할 수 있는 5G 통신칩 자체 개발에 몰두하고 있다. 한편, 관련해 퀄컴 주가는 이날 하루 전보다 3.48% 상승한 131.6달러를 기록했다.

추현우 기자

goodgle@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현존 디스플레이 최고 재생률 540Hz···1000Hz 가려면?

지금 사용하는 LCD 모니터의 움직임 성능은 대부분 이미지를 매초 60번 새로 고치는 60Hz 재생률을 보인다. 고급 스마트폰에서 60Hz 재생률을 넘어선 것이 불과 3년 정도 밖에 안된다. 삼성전자가 2020년 120Hz 재생률의 OLED 스마트폰을 내놓았다. 최근 나온 PC용 모니터는 무려 540Hz 재생률을 보인다. 최근 급속한 발전을 보이는 디스플레이 재생률 진전과 전자업계가 내놓은 최고 재생률 디스플레이 현황과 향후 발전 가능성 및 이를 위한 과제 등을 살펴봤다.

드디어 시작된 ‘챗GPT’와 음성대화, 얼마나 흥미진진할까요?

생성형 AI챗봇 챗GPT가 이제 사용자와 대화를 할수 있게 된다. 챗GPT와 대화는 이미 비슷한 기능을 제공하는 음성 AI비서 아마존의 알렉사, 애플의 시리 등과는 어떤 차별점이 있을지 주목받고 있다.

[인터뷰] 홍일호•안성현 팩토스퀘어 공동창업자 “공장 네트워크화를 통한 소량생산 B2B 제조 솔루션을 만들고 있습니다”

팩토스퀘어는 소량생산에 어려움을 겪는 브랜드의 페인포인트를 해결하는 것을 넘어 공장에는 자사의 자동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팩토스퀘어의 생태계' 구축 비전을 그려가고 있다.

[인터뷰] 김하욱·백수현 링크 공동창업자 “원료부터 개발까지, 데이터 기반 최적화된 레시피를 제공하는 식품 제조 솔루션을 만들고 있습니다”

식품 제조 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기치로 내세운 링크가 제시한 것은 파편화된 원재료 데이터를 하나로 모아 자동화하고, 배합에 필요한 화학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수집해 단시간에 최적의 레시피를 찾을 수 있도록 돕는 솔루션 기반 플랫폼이다. 가장 주목되는 부분은 링크가 초기 시장 검증 과정에서 9개월이 소요되는 식품 개발 과정을 한달 반으로 줄이는 성과를 달성했다는 점이다. 이 성과를 바탕으로 링크 팀은 이미 리드 고객사 50곳을 확보하고, 플랫폼 고도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