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t GTP로 무장한 MS 검색과 광고 분야 1위 구글에 도전

2023년 3월 13일부터 16일까지 두바이에서 MS Start 파트너 서밋이 열렸습니다.

Chat GTP로 무장한 MS 검색과 광고 분야 1위 구글에 도전하다

  • 두바이에서 열린 Partner Summit에서 MS는 Chat GPT로 무장한 검색 뉴빙(New Bing)과 자사 광고회사 Xandr를 소개하며 구글이 지배하는 검색시장과 온라인 광고시장을 잠식하려는 야심을 드러냄
  • MS는 2019년 수동편집하던 MSN을 개인화와 관심사 알고리즘을 중심으로 자동화하해 MS Start로 리브랜딩했음
  • MS는 언론사와의 파트너십을 강화하기 위해 MS Start Partner Summit을 개최하고 27개국에서 약 50여개의 주요 언론사와 매체를 초청하고 자사의 비전과 제품을 소개
  • 구글은 검색기술과 언론사와 콘텐츠기업에 제공하는 광고 플랫폼을 통해 급속하게 성장하고 광고시장을 장악해왔음
  • MS는 구글과의 경쟁을 위해 전세계 유력 언론사들과 직접 만나 자사의 비전과 제품, 협업 제안을 하고 언론사들이 원하는 것을 직접 청취함
  • MS는 자사가 최소한 구글을 대체할 수 있는 회사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언론사들이 더 많은 버티컬 콘텐츠와 영상을 제공하고, 소셜로그인(SSO : Single sign on)에 MS를 추가하고, MS의 자회사인 Xandr사의 광고플랫폼 사용도 고려해줄 것을 요청함

MS Start 설명과 파트너 매체와의 협업 추진

  • MS는 정보 과잉, 독자 유지가 어렵고, 낭비되는 검색시간 등 사용자의 니즈에 맞춰 MSN을 없애고 MS Start로 리브랜딩(2019년)
  • MS Start는 수동편집에서 개인화된 알고리즘 배열, 뉴스 중심에서 사용자 중심 콘텐츠, 웹사이트 링크 검색에서 통합된 경험을 제공하고 있음
  • MS Start는 브랜드와 알고리즘을 변경한 후 콘텐츠 소비와 광고 수입에서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음
  • 마이크로소프트가 소유한 MS Start, 링크드인, 스카이프 등 디지털 자산 전반에 대한 숫자와 비전 발표
  • MS는 파트너의 성장이 자사의 성장이라고 확신
  • MS는 파트너와 경쟁하지 않는 신뢰할만한 기업이며 자사가 타 경쟁사와는 달리 믿을만한 회사라는 언급을 수차례 반복
  • 유럽과 동남아 등 구글의 점유율이 높은 언론사들은 MS가 최소한 구글을 견제할 수 있는 역할을 해줄 것을 기대하는 눈치였음

뉴빙(the New Bing) 발표

  • 뉴빙 New Bing 검색 결과를 시연하는 Michael Schechter 마이크로소프트 Vice President_2023년 03월 14일-Chat GTP로 무장한 MS 검색과 광고 분야 1위 구글에 도전
  • 뉴빙 New Bing 검색 결과를 시연하는 Michael Schechter 마이크로소프트 Vice President_2023년 03월 14일
    (구글이 주도하던) 검색은 20여년간 거의 변화가 없었지만 이제 변화의 시기가 왔음
  • Chat GPT와 함께 변화한 뉴빙이 20여년간 변화가 없었던 검색 시장에서 활약할 것임
  • MS빙에 적용된 모델은 ‘prometheus 모델’로 Chat GPT보다 강력하다고. 관련성, 주석이 달린 검색결과, 최신 검색결과, 검색 지역에 대한 이해, 안전성 등이 적용됐음
  • Chat GPT를 빙검색에 적용한 후 검색 수 클릭수, 검색 데이터 색인(search index)이 급증하고 있음
  • 뉴빙은 검색 원천 사이트로 트래픽을 유입되도록 만들었으며 MS의 파트너사에는 ‘stories from Microsoft Start’라는 신규 코너를 통해 더 많은 인링크 조회수와 이에 비례하는 수익배분금을 지급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임

저는 MS Xandr를 스터디하고 일부 사이트에 적용해본 후 결과를 공유드리겠습니다.

언제일지는 모르겠습니다만 (끝)

본 글의 원문은 여기에서 볼 수 있습니다.

거북이미디어연구소

getough@gmail.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직원 고과, 상대평가와 절대평가 중 어떤 게 좋을까?

최근 직원 평가 방법을 상대평가에서 절대평가로 전환했다는 기업들의 기사를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습니다. 일부 기사에서는 절대평가가 상대평가보다 ‘좋다’라는 인식을 주기도 하는데요.

2023 한국 데이터 저널리즘 어워드 : 올해의 데이터 시각화 수상작은?

데이터에 관련해서도 많은 시상식이 열리지만, 오늘은 ‘2023 한국 데이터 저널리즘 어워드’를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그중 뉴스젤리는 데이터 시각화 기업으로서 ‘올해의 데이터 시각화 상’을 수상한 두 작품을 여러분과 함께 살펴보려고 합니다! 각 작품의 흥미로운 제작 배경과 사용한 데이터, 그리고 활용한 데이터 시각화까지 함께 알아볼까요?

쿠팡 ‘계획된 적자’ 시즌2 시작하나요?

대부분의 경쟁자가 긴축 모드에 돌입했다는 점도 큰 차이점입니다. 특히 이는 쿠팡에게 매우 좋은 일이라 할 수 있는데요. 일단 최대 경쟁자인 네이버만 해도, 성장보다는 수익에 초점을 맞추고 있고요. 신세계 그룹 역시 당장의 실적 부진 반등이 최우선 과제라, 공격적인 투자를 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이에 따라 나 홀로 투자 모드로 돌아선 쿠팡이 얻는 효과는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모두가 멈출 때 혼자 달리면 격차는 벌어질 수밖에 없으니까요.

우리 제품의 '광팬' 고객, 어떻게 만들 수 있을까?

어떤 제품이 자신이 추구하는 가치를 실현시켜주면 여기에 유대감을 느끼고 애착을 갖게 되며, 이런 관계가 꾸준히 지속되면 제품에 대한 신뢰가 쌓여 이를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다른 사람들에게 홍보하는 광팬 고객이 된다는 거죠. 그럼 구체적으로 뭘 어떻게 해야 하는 걸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