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TX의 창업자를 비난하는 것보다 중요한 일

FTX는 최근 가장 핫한 뉴스입니다. 어떻게 두 번째로 큰 암호화폐 거래소가 며칠 만에 사라졌을까요? 세쿼이아에서, 타이거, 블랙록까지, 매우 많은 저명한 투자자들에게 투자를 받으며 FTX는 급속히 성장했고 CEO이자 창업자인 샘 뱅크먼 프리드(통칭 SBF)는 다음 세대의 워런 버핏이라고까지 불렸습니다.

✉️ 메일리 뉴스 레터 구독  | 팟캐스트: 스포티파이 & 애플 팟캐스트 

이를 계기로 많은 사람들이 SBF를 강하게 비난하며 그를 사기꾼 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SBF의 트윗을 통해서도 알 수 있지만, 당연히 그도 이런 사태가 되는 것을 원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어디까지가 진짜 이야기고 어디까지가 거짓말인지 몇 안 되는 사람들만이 진실을 알 것입니다. 다만 지금 SBF나 FTX를 탓하는 것은 간단합니다. 정말 어려운 것은 이 사건을 통해 무엇을 배우고 앞으로 나아갈지를 생각하는 것입니다.

우선, 모든 암호 자산 프로젝트의 거버넌스에 대해서는 다시 한번 짚고 넘어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FTX의 문제는 바이낸스(최대 암호화폐 거래소)가 FTX의 암호화폐인 FTT를 청산하겠다고 발표한 데서 비롯되었습니다. FTT의 최대 보유자 중 한 명인 바이낸스는 FTT를 5%를 보유하고 있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바이낸스의 발표는 시장에 큰 임팩트가 있었고 다른 FTT 홀더들도 속속 자신의 지분을 정산해 낸 것입니다. 그 결과 당연히 FTT의 가격은 폭락을 면치 못했습니다.

FTT를 포함한 많은 암호 자산의 문제는 보통 전체 토큰의 대부분을 소유한 소수의 토큰 홀더가 존재한다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 암호 자산을 어느정도 통제할 수 있는 소수의 거물들이 존재한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CoinCarp에 따르면 Solana의 10%, Avalanche의 43%, Polygon의 67%는 상위 10명의 홀더가 소유하고 있습니다. 분산형이여야 할 암호화폐가 현실적으로는 과점(Oligopoly)에 가까운 상태가 되어 있는 겁니다.

또 하나 고려해야 할 것은 자산의 안전성을 담보하는 방법입니다. 가장 알기 쉬운 방법은 법 규제입니다. 우리가 은행 계좌에 돈을 맡길 때 안심할 수 있는 것은 법률로 어느 정도 지켜지고 있다는 안정감이 있기 때문입니다. 한편, 보다 미래 지향적인 방법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는 것입니다. 분산형 거래소(DEX)의 구상이나 분산형 자율 조직(DAO)이 이에 해당할지도 모릅니다. 분명히 법 규제 정비에는 엄청난 시간이 걸리고 블록체인 기술의 진정한 가능성을 제한해 버릴 가능성도 있습니다. 그러나 후자에 대해서는 이미 많은 똑똑한 사람들이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으며 조금씩 참신한 해결책이 발견될 것이라고 믿고 있습니다.

저는 아직도 암호 시장을 믿고 있습니다. 암호 시장에는 이미 너무 많은 사람과 많은 자본이 관련되어 있어 암호 시장 전체가 붕괴되기는 그리 쉽지 않을 것입니다. 11월 13일 현재 비트코인 가격은 16,500달러이지만 2017년 암호화폐 붐 때 피크 가격은 19,500달러였습니다. 즉, 비트코인 가격이 이만큼 급락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지난 주기의 정점 가격에 가깝다는 것입니다. 지금 우리는 주식시장에서 거래되는 암호화폐 거래소(물론 코인베이스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습니다)가 존재하는 세계에 살고 있습니다. 또 비트코인 ETF도 등장하였습니다. 이 모든 것은 불과 몇 년 전까지만 해도 꿈같은 이야기였지만 모든 것이 현실화 되었습니다. 이번 FTX와 테라의 소동을 바탕으로 암호화폐 업계가 어떤 교훈을 얻고 또 앞으로 어떻게 발전해 나갈지 보는 것이 아주 기대됩니다.

References:
https://www.coincarp.com/ 

본 기사의 원문은 이곳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김영록

yk@vridge.co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직원 고과, 상대평가와 절대평가 중 어떤 게 좋을까?

최근 직원 평가 방법을 상대평가에서 절대평가로 전환했다는 기업들의 기사를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습니다. 일부 기사에서는 절대평가가 상대평가보다 ‘좋다’라는 인식을 주기도 하는데요.

2023 한국 데이터 저널리즘 어워드 : 올해의 데이터 시각화 수상작은?

데이터에 관련해서도 많은 시상식이 열리지만, 오늘은 ‘2023 한국 데이터 저널리즘 어워드’를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그중 뉴스젤리는 데이터 시각화 기업으로서 ‘올해의 데이터 시각화 상’을 수상한 두 작품을 여러분과 함께 살펴보려고 합니다! 각 작품의 흥미로운 제작 배경과 사용한 데이터, 그리고 활용한 데이터 시각화까지 함께 알아볼까요?

쿠팡 ‘계획된 적자’ 시즌2 시작하나요?

대부분의 경쟁자가 긴축 모드에 돌입했다는 점도 큰 차이점입니다. 특히 이는 쿠팡에게 매우 좋은 일이라 할 수 있는데요. 일단 최대 경쟁자인 네이버만 해도, 성장보다는 수익에 초점을 맞추고 있고요. 신세계 그룹 역시 당장의 실적 부진 반등이 최우선 과제라, 공격적인 투자를 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이에 따라 나 홀로 투자 모드로 돌아선 쿠팡이 얻는 효과는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모두가 멈출 때 혼자 달리면 격차는 벌어질 수밖에 없으니까요.

우리 제품의 '광팬' 고객, 어떻게 만들 수 있을까?

어떤 제품이 자신이 추구하는 가치를 실현시켜주면 여기에 유대감을 느끼고 애착을 갖게 되며, 이런 관계가 꾸준히 지속되면 제품에 대한 신뢰가 쌓여 이를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다른 사람들에게 홍보하는 광팬 고객이 된다는 거죠. 그럼 구체적으로 뭘 어떻게 해야 하는 걸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