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WC] 300억달러 투자, 일론 머스크의 '스타링크'…5G 빈틈 메꾸는 우주 인터넷

[AI 요약] 일론 머스크 스페이스X CEO는 거대 위성통신망 구축 사업인 '스타링크'에 최대 300억 달러의 투자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빠른 성장세에 있는 스타링크는 인프라 비용이 절대적으로 높으므로 다수의 투자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향후 우주 인터넷망을 구축해 소외지역에 고속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일론 머스크는 테슬라로 전기자동차 분야에 혁신을 가져왔고 스페이스X를 통해 민간 우주 여행의 가능성을 만들어 냈다. 그리고 또 한가지, 전 지구의 인터넷 연결을 위한 고속 인터넷 서비스 실현에 나섰다. 우주에 위성을 띄우는 '우주 인터넷망'을 구축하는 방식이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및 스페이스X CEO는 거대 위성통신망 구축 사업인 '스타링크'에 최대 300억 달러(약 33조 9540억원)의 투자를 할 것이라고 29일(현지시간) MWC 2021 기조강연에서 말했다. 현재까지 스타링크 사용자는 7만명을 넘어섰고, 1년 안에 50만명이 이를 사용할 수 있다고 머스크 CEO는 덧붙였다. 빠른 성장세에 맞춰 최대 300억달러의 투자가 요구된다는 것이다.

이날 기조연설에 머스크 CEO는 온라인 화상 연결로 참가했다. 현재 빠르게 성장세에 있는 스타링크지만 위성을 띄우는 만큼 인프라 비용이 절대적으로 높다. 이 때문에 스타링크의 흑자 전환을 위해서는 대대적인 투자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최소한 50억~100억 달러의 투자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일론 머스크 스페이스X CEO가 MWC 2021에서 온라인 기조연설을 하고있다. 우주 인터넷 '스타링크'를 통해 전지구의 인터넷 연결 계획을 밝혔다. (사진=MWC)

스타링크는 민간 우주개발기업인 스페이스X가 주도하는 위성 기반 전 지구 인터넷 서비스 사업이다. 약 1만2000기가 넘는 소형 위성을 지구 저궤도에서 연결하는 우주 인터넷망을 구축해 , 지상에 통신 설비를 갖추지 못한 후진국이나 지역, 즉 소외지역에 고속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목표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MWC 행사 자체가 2년만에 열렸다. 참가 기업도 2019년 행사에 비해 절반으로 줄어드는 등 반쪽짜리 행사가 됐다. 이러한 상황에서 전세계적으로 비대면 시스템 기반의 문화가 형성되고 있고, 여기에 필요한 것이 전 지구의 인터넷 연결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번 일론 머스크의 MWC 기조연설 주제 '스타링크'는 시의적절하다. 실제로 현재 전세계 인구의 절반 정도인 37억명은 인터넷 연결의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다. 또한 지역적인 특성상 남극, 북극, 해상, 사막 등의 지역에서도 인터넷 연결이 어렵고, 비싼 비용으로 사용이 제한된다.

스타링크는 우주에 위성 통신국을 띄워서 전 지구에 쉽고 값 싼 인터넷을 제공하려는 목표를 가진 서비스다. 수익성 여부를 떠나, 어찌보면, 일론 머스크가 인류에게 제공하는 또다른 혁신이라고 부를 수 있는 사업이다. 아직은 시범 서비스로 제공되고 있는데, 미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영국을 비롯한 유럽 일부 지역에서만 운영된다.

스페이스X의 스타링크 서비스 통신위성 (사진=플리커)

머스크 CEO는 "스타링크는 5G와 유선 인터넷의 빈틈을 메꿔 광대역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면서, "현재 1500개 이상의 위성을 연결해 12개국에서 시범 운영을 하고 있는데, 사업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스타링크가 자체 서비스만으로 인터넷을 제공하는 것은 아니다. 우주에 기지국이 있는 만큼,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는 아니기에 5G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전 세계 이동통신사와도 파트너십 체결을 통해 연계 서비스를 제공할 방침이다. 또한 이통사와의 허가 비용, 지역 통신 서비스 제공 등을 협의하고 있다.

머스크 CEO는 "스타링크의 인터넷 연결 지연시간은 유선인터넷, 5G 지연 시간과 비슷하지만 향후 20밀리초(1밀리초는 1000분의1초) 아래로 줄일 수 있을 것"이라며, "500달러(약 56만원) 정도의 스타링크 연결 장비 가격도 250~350달러로 낮출 것"이라고 말했다.

김효정 기자

hjkim@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인터뷰] 김민석 로켓툴즈 대표 “데이터 수집과 분석, CRM까지 자동으로 하는 ‘AI 마케터’를 만들고 있습니다”

로켓툴즈는 퍼스트파티데이터를 분석하고 고품질 데이터로 추출해 정합성을 높이는 단계는 물론 CRM 마케팅에 필요한 타깃 정의, 콘텐츠 제작, 세팅, 결과 분석까지 제공하는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다. 여기에 더해 고객이 회원 가입시 쿠폰을 발급하고 자사몰에 접속했을 때 뜨는 팝업, 구매 유도를 위한 카카오톡 알림톡까지 자동으로 연계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이름하여 ‘AI 마케터’다.

달에서 문자하고 화성에서 스트리밍할까요?

달 탐험을 강화하고 궁극적으로 위성 행성에 인간이 존재할수 있는 미래를 모색하기 위해 NASA와 노키아가 올해 말, 달에서 4G 모바일 네트워크를 출시할 준비를 진행중이다. 이는 우주 식민지 주민이 개인 디바이스를 네트워크에 연결해 지구인이 사용하는 모든 앱과 서비스에 액세스할수 있는 스마트폰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서울대생들이 만든 소셜 스타트업, ‘시공간’ “LLM 활용, 대화형 챗봇으로 시각장애인의 온라인 쇼핑을 돕는 서비스 만들었습니다”

시공간이 개발·출시한 서비스는 총 세 가지다. 우선 대표 서비스인 ‘픽포미’를 들 수 있다. 이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쇼핑 서비스로 다양한 상품 정보를 LLM(거대언어모델) 기반 AI로 요약해 시각장애인들에게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 ‘브로디’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사진 해설 서비스로, ‘글공방’은 자체적으로 시각장애인을 위한 대체텍스트 제작이 어려운 기업들을 위한 ‘대체텍스트 제작’ B2B 서비스로 고도화를 진행 중이다.

AI의 파괴적 혁신···2D 레이더 지도를 몇분만에 3D지도로

최근 전세계적으로 지진 발생 소속이 부쩍 잦아진 것 같다. 요 근래만 해도 일본 근해의 지진이 있고 뉴욕지진, 대만 지진이 세계를 놀라게 했다. 이런 지진이 발생했을 때 도시지역이라면 재난 발생지역을 입체적으로 보여주는 3D지도가 긴요해진다. 때마침 IEEE스펙트럼은 독일 뮌헨 분데스베어대학교가 이런 지도 제작을 단 몇 분 만에 만들어줄 인공지능(AI) 모델을 개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