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프로TV가 사업다각화에 나서는 이유는

기자협회보에 기자 영입, 매체 인수, IPO 추진… 삼프로TV 다음 행보는이라는 기사Wall Street Journal의 주식시장이 흔들리자 유튜브 인플루언서도 흔들리다(As the Stock Market Tumbles, so Does a YouTuber’s Influence)라는 기사를 보고 포스팅합니다

미국 주식시장과 유튜브 주식 인플루언서


하락장으로 돌아선 미국 주식시장
미국 주식시장이 최근 베어마켓이라는 하락장으로 돌입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베어마켓(bear market) 은 주식시장의 모든 주가가 최근 최고 가격에서 최소 20% 하락한 상태를 말합니다.

미국 S&P지수는 2022년 5월 19일 1월3일의 최고점 4,796.56에서 18.7%(895.77) 하락한 3,900.79를 기록했습니다.

모건스탠리는 베어마켓 랠리(불황으로 주식시장에서 약세장인 동안이 주가 또는 지수 등이 일시적인 주가 반등 현상)라고 언급하며 8월 중순까지는 주가가 3,400으로 하락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미국은 현재 인플레이션과 주가하락이라는 두 가지 문제점을 마주하고 있는데 미국 금융당국은 인플레이션을 막는 것을 우선적인 과제로 움직이고 있습니다

미국은 2021년 4월부터 12월까지 소비자물가가 7.2% 상승해 연간으로 계산하면 7.9%입니다. 이는 1980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고 인플레이션을 잡지 못한다면 바이든 정권은 재집권에 실패할 수도 있습니다.

금융당국의 인플레이션 대책은 통상 금리인상을 수반하고 금리가 인상되면 시중 자금이 경색되고 그러면 주식시장에 유입되는 자금이 감소되는 구조입니다.

유튜브 주식 인플루언서의 수익 감소


“Meet Kevin”이라는 182만명의 구독자를 보유한 유튜브의 금융 인플루언서는 미국 주식시장이 베어마켓으로 돌입하자 영향력과 수익이 동시에 감소하는 이중고를 겪고 있습니다.

Kevin은 2021년에 유튜브 광고 수익, 강연자료 판매, 후원광고를 통해 2천만달러를 벌었다고 합니다.

Kevin은 2010년에 유튜브 채널을 개설하고 부동산 콘텐츠, 경제 콘텐츠를 만들어왔습니다.

2021년 미국의 밈주식(meme stock : 장난처럼 매매하는 주식)인 GameStop과 극장체인회사인 AMC를 통해 주식 콘텐츠로 전업했고 거침없는 진행을 통해 구독자가 급증했다고 합니다.

유튜브 구독자 수는 2021년 봄에 수십만에서 2021년 8월에는 170만명으로 증가했습니다.

Kevin은 2021년 가을부터 미국 경제와 주식에 부정적인 전망을 하며 구독자 증가세는 주춤했고, 광고수익과 강연 판매금액도 감소하기 시작했습니다.

Kevin의 구독자들은 부자가 되는 방법을 원하는데 2021년 가을 이후 Kevin은 자산을 지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시작했기 때문입니다.

한국 증시 하락과 삼프로TV의 사업다각화


한투증권 김대준 애널리스트는 2022년 1월에 코스피가 베어마켓에 들었다고 말했습니다.

한국 경제와 증시의 상승에 힘입어 성장했던 삼프로TV는 하락 증시때문에 성장이 더뎌질 가능성이 높다고 봅니다.

미국의 유튜브 인플루언서와 같은 처지를 피하기 위해 삼프로TV는 다양한 대책들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삼프로TV는 2019년 1월에 유튜브 채널을 개설한 후 197만명(2022년 6월 2일 기준)의 구독자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다만, 최근 한국에서도 주식시장이 좋지 않아 영상 조회 증가는 더뎌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회사의 주요 사업 성장이 둔화될 경우 경제 콘텐츠 외에 다양한 콘텐츠를 생산하고 사업다각화를 진행하는 방법으로 쓸 수 있습니다.

2021년 8월에 삼프로TV의 라이브 클릭을 모아둔 1프로TV를, 10월은 교양 채널인 언더스탠딩을 론칭했고 2022년 4월엔 IT 전문 매체인 아웃스탠딩을 인수해 콘텐츠와 사업을 다각화하고 있습니다.

경제의 신들이 운영하는 채널이니만큼 당연히 한국경제의 둔화 가능성을 바라보고 미리 대비하는 것이라고 봅니다.

또한, 삼프로TV는 위에서 말씀드린 Kevin이라는 인플루언서와는 다르게 2천300만달러의 개인 비행기를 사려고 하는 것이 아니라 회사를 상장해 더욱 성장하기 위한 방법을 찾고 있습니다.

본 글의 원문은 여기에서 볼 수 있습니다.

거북이미디어연구소

getough@gmail.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변화하는 다이소에서 프라이마크향이 느껴진 거야

예전에 다이소가 코로나 팬데믹 때 경험으로 인해, 오프라인 중심의 판매 채널을 온라인까지 확장하는 노력을 하고 있다고 전해 드린 바 있습니다. 이미 유통산업의 주도권이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넘어간 지 오래이고, 앞으로도 이러한 흐름은 지속될 거란 걸 알았기 때문인데요. 이제 오프라인 매장은 접근성 하나에 기대어 고객을 모으던 관행에서 벗어나, 반드시 방문해야 할 이유를 제시해야만 살아남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다이소의 대형화 전략은 바로 이러한 배경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인간을 닮은 인공지능도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

지금의 인공지능은 이러한 언어구사 능력 이외에도 문제를 해결하고 상대방의 기분을 파악하며 데이터를 기억해 대화를 진행하는 능력을 갖고 있습니다. 사람들은 어떠한 문제를 경험했을 때 이를 해결하고자 골똘히 생각을 합니다. 여러 가지 방법을 고민한 끝에 몇 가지 방안을 찾아 이를 해결하고자 합니다.

구글이 은밀한 광고 단가 조정을 인정했다

구글이 은밀하게 10%까지 광고 단가 조정을 인정했다고 Search Engine Land가 19일(현지 시간) 보도했다. 구글은 검색 광고를 판매할 때 평균적인 광고주에...

커머스 관점으로 바라본 2023 키아프·프리즈

새로운 커머스 전장이 된 아트페어, 앞으로 우리가 주목해야 할 점은 새로운 각축장, 아트페어 지난 9월 10일을 끝으로, 서울을 뜨겁게 달궜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