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의 '암' 인수, 말 나온 김에 포기가 이익?···그럴 듯한 이유

미국 실리콘 밸리 산타 클라라에 있는 엔비디아 본사. 400억달러 규모의 반도체업계 사상 최대 규모인 암 인수를 포기한다는 보도가 나오고 있다. (사진=위키피디아)

과연 엔비디아는 반도체 역사상 가장 큰 400억 달러(약 48조 원) 규모의 암(ARM) 인수를 포기할 것인가.

지난달 25일 블룸버그가 엔비디아의 암 인수 포기설을 전하면서 엔비디아의 거취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심지어 포기가 이익이라는 분석까지 나온 마당이다. 왜 2년만에 이런 얘기가 나올까. 물론 제반 정황상 인수 포기 가능성이 설득력 있지만 어디까지나 소식통의 말을 전한 보도로 향후 추이를 지켜봐야 한다. 거래 불발 보도에 대해 엔비디아 대변인은 “우리는 이번 거래가 암을 가속화하고 경쟁과 혁신을 촉진할 기회를 제공한다는 최근 규제 서류에 상세히 표현된 견해를 계속 견지하고 있다”고 말해 여전히 인수 가능성 여지를 남겨놓았다. 하지만 이 설득력 있는 보도는 세계 반도체 업계가 기득권을 지키고 특정 업체에 주도권을 넘겨주지 않으려는 묘한 신경전을 읽게 하기에 충분하다.

엔비디아-암 불발설이 나온 배경과 향배에 대해 알아본다.

요약하자면 반도체 업계의 반발, 각국 독점 규제 당국의 부정적 시각, 여기에 더해 인수 합병 기간 장기화에 따른 비용 증가 부담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인수를 하지 않고도 우량기업 엔비디아의 발전성은 충분하다는 것이다. 주식시장 주가추이도 보도후 잠시 출렁이다가 다시 안정세로 나아가고 있다.

엔비디아가 암 인수하면 CPU 주도권 확보

영국 암 홀딩스 본사. (사진=위키피디아)

우선 2년이나 지난 시점에서 엔비디아의 암 인수 결렬설이 나오게 된 배경을 알려면 사상 최대 규모의 반도체 회사 인수 시도 배경부터 살펴봐야 한다.

엔비디아가 400억 달러에 암 홀딩스(Arm Holdings)를 인수할 계획을 처음 발표했던 때가 어느덧 2020년 9월로 거슬러 올라간다. 엔비디아는 소프트뱅크가 320억달러(약 38조 4000억원)에 인수한 암을 80억달러(약 9조 6000억 원)나 더 얹어 인수하겠다고 제안한 것이다.

이 거래는 표면상 세계 최고의 그래픽 칩(GPU) 설계업체인 엔비디아와 3위 암(GPU 말리 설계)을 합병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이 인수합병의 중심에는 칩에 사용되는 CPU 코어가 있다.

실제로 암의 CPU 표준 칩 설계(아키텍처)는 전 세계 스마트폰의 95%에서 볼 수 있다. 암의 칩 표준설계(아키텍처)는 전 세계 스마트폰의 95%에서 발견되며, 500개 이상의 회사가 암으로부터 CPU 아키텍처 사용허가를 받아 칩셋 설계를 한다.

암은 스마트폰 칩 분야를 진전시키는 디자인으로 세상을 변화시켰지만 이제는 컴퓨터쪽으로 도 영역과 영향력을 넓혀가고 있다.

애플이 컴퓨터에서 최초의 암 아키텍처 기반 칩셋을 사용한 컴퓨터들을 선보이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게다가 꽤 유망해 보이기까지 하다. 애플이 인텔 x86 컴퓨터를 완전히 대체하기 시작한 애플 M1 칩이 그것이다.

영국 암 홀딩스의 표준 반도체 설계(아키텍처)는 퀄컴 스냅드래곤 칩셋과 삼성전자 엑시노스 칩셋 설계의 근간이 되고 있다. 전세계 스마트폰 업체의 95%가 사용한다. (사진=각사)
이제 암 표준설계는 스마트폰을 넘어 컴퓨터로 영역을 넓히며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암아키텍처는 애플의 매킨토시와 아이패드 프로용 M1 칩셋의 근간이 되고 있다. (사진=애플)

이는 테그라 시리즈와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그래픽 카드들 중 일부의 배후에 있는 엔비디아가 CPU부문에서 가장 강력한 세력들 중 하나가 될 수 있음을 말해 준다.

이로써 암의 칩 아키텍처를 라이선스하는 유명 회사 고객 목록에 애플, 퀄컴, 삼성같은 거물 회사들이 나란히 포진하게 됐다. 엔비디아-암 거래가 반도체 역사상 가장 큰 거래가 되리라는 점은 어찌보면 당연하다. 이같은 암의 중요성 때문에 산업계의 많은 사람들이 엔비디아의 의도가 성공적으로 매듭지어질지 예의 주시하고 있다.

이 인수에 퀄컴과 같은 회사들이 반대입장을 표명하기 시작한 것은 당연해 보인다. 퀄컴은 엔비디아가 일단 암을 인수하면 퀄컴과 같은 다른 회사에 CPU 코어를 제공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를 내놓았다.

물론 엔비디아는 인수 후에도 기존 비즈니스 모델을 유지하겠다고 약속하고 있긴 하다.

그럼에도 이같은 업계의 반대는 엔비디아가 암을 인수하기 위한 거래을 막던 최대 장애물 가운데 하나로 여겨지며 독점당국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듯 보인다.

급격히 불거진 규제당국의 반독점 규제 장벽

엔비디아가 암을 인수하려면 미국, 영국, 유럽연합(EU)는 물론 중국 반독점 규제 당국의 장벽을 넘어야 하지만 상황은 녹록지 않다. 사진은 미국 연방거래위원회(FTC). (사진=위키피디아)

블룸버그의 보도 가운데 주목되는 대목은 ‘엔비디아가 규제당국과 지속적인 협의에도 불구하고 거래가 성사되지 않을 것임을’ 파트너들에게 조용히 알려왔다고 전한 점이다.

엔비디아의 암 인수는 세계최대 CPU 표준설계 소유권이 비 반도체 회사(소프트뱅크)에서 반도체회사(엔비디아)로 넘어간다는 점에서 반독점 규제당국의 엄중한 규제 칼날 아래 놓일 수 밖에 없다.

암 CPU 표준설계(아키텍처)가 세계 휴대폰의 95%에 들어 가 있다는 점은 독점 가능성과 직결돼 있다. 이러한 중요성과 거래의 규모 때문에 각국의 여러 규제 기관들이 이 계약을 승인해야만 엔비디아의 암 인수 거래가 종결된다.

그런데 각국 규제기관의 반응은 영 마뜩지 않다.

실제로 엔비디아가 암 인수 후 기존 비즈니스모델 유지하겠다고 약속했음에도 미국, 유럽연합(EU), 영국, 그리고 중국의 규제 기관들은 현재 이 거래를 막으려 하고 있다.

미국 연방거래위원회(FTC)는 이 거래가 반도체 업체 간 경쟁을 막을 것을 우려하면서 이를 막기 위한 소송을 제기했다. 게다가 암 본사가 있는 영국 정부도 제안된 거래에 깊이 들여다 보기로 결정했다.

중국정부는 다른 나라 규제당국이 이 거래를 승인할 경우 이를 저지할 태세다.

거래 제안 2년이 지났건만 이 거래에는 여전히 미국, 영국, 유럽연합(EU), 중국 등의 승인을 필요로 한다. 이 국가들은 아직 엔비디아-암 인수 거래를 승인하지 않았다.

게다가 퀄컴, 애플, 인텔, 마이크로소프트(MS),아마존으로 구성된 한 그룹은 공동으로 규제 기관에게 거래를 거절하도록 설득할 수 있다고 믿고 있다.

이 대목에서 퀄컴이 자동차 반도체 주력인 NXP반도체를 440억달러(약 52조 8000억 원)에 사들이려 했다가 불발된 건이 연상된다. 퀄컴이 거래를 성사시키기 위해 필요한 것은 중국의 승인뿐이었지만, 퀄컴은 2년간의 기다림 끝에 결국 NXP인수를 포기했다.

엔비디아, 즉각 거래 중단이 오히려 이득?

최근 한달간 엔비디아의 주가 상황.
최근 한달간 소프트뱅크 주가 상황.

엔비디아는 이번 계약이 성사되면 데이터 센터용 칩에 대한 추진력으로 활용하기를 희망하고 있었다고 전해진다.

그런데 엔비디아가 이 거래를 중단한다는 보도가 사실이라면 이를 통해 손해를 보는 것이 아닐까.

그럴 수도 있지만 증시 분석가들의 생각은 다른 것 같다.

이들은 엔비디아가 굳이 암을 인수하지 않아도 단독으로 비즈니스를 운영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한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이 회사 시가총액 5000억달러(약 600조 원)가 넘게 만들면서 이 회사를 반도체 업계에서 가장 가치 있는 미국 기업으로 만들었다.

이렇게 큰 회사는 이번 거래가 성사되지 않더라도 번창할 수 있다.

보도에 따르면 암을 매물로 내놓은 현 소유주 소프트뱅크는 회사 기업공개(IPO)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전해진다.

또하나. 엔비디아가 오히려 암초투성이인 암 인수 시도를 지금 중단할 경우 오히려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을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현재로선 서로 엇갈리는 보도가 나오고 있는데 공식 해명을 기다리거나, 아니면 협상이 확정될지 안 될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할 것 같다. 일단 암과 소프트뱅크 모두 새로운 보도에 대해 언급하지 않고 있다.

주식시장의 반응은 이 보도에 대한 투자자들의 반응을 읽는 주요 지표가 된다.

두 회사 주가는 지난 15일 보도이후 잠시 출렁였다가 다시 안정적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엔비디아의 암 인수 불발 보도의 충격이 흡수됐거나 아니면 이를 인정한 것인지도 모른다.

이 인수건과 별도로 암은 이제 막 암 v9(ARMv9) 아키텍처로 모바일 기기 부문에서 또 하나의 중요한 이정표를 만들었다. 이 회사는 향후 누가 소유주가 되던 앞으로 몇 년 동안 여전히 이 산업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이재구 기자

jklee@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2024 월드IT쇼 현장…혁신 또 혁신, 더 나은 내일을 만드는 첨단 기술을 만났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ICT 행사인 ‘2024 월드IT쇼’가 코엑스에서 성대한 막을 올렸다. 특히 눈길을 쓴 것은 디지털 혁신 융합기술을 선정하는 임팩테크 대상과 유망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한 ‘월드IT쇼 혁신상’의 주역들이다. 테크42는 독자적인 기술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에 도전하는 ‘월드IT쇼 혁신상’의 주인공들을 만나봤다.

UAE, 100억달러 투입 ‘e스포츠 섬’ 만든다···‘세계 게임 허브’ 야망

중동의 아랍에미리트(UAE)가 세계 최고 게임산업과 선수들을 끌어들이고 이 분야에서 자국 인재들을 부각시키기 위해 인상적인 긴 투자 목록에 e스포츠 섬(게이 섬)을 추가하고 있다. 최근 러시아 코롤레프에 본사를 둔 트루 게이머즈는 아부다비에 세계 최초의 e스포츠 섬을 건설할 계획을 밝혔다.

[인터뷰] 김보형·이희용 르몽 공동대표 “소상공인의 수익을 더해주는 AI 댓글 관리 서비스를 만들었습니다”

MVP(최소기능제품)을 통해 가능성을 확인 후 지난해 말 창업한 르몽이 지난 2월말 본격적으로 선보인 댓글몽은 2주 남짓 만에 1200여 자영업자가 서비스에 가입했다. 이렇다할 마케팅 없이 오직 초기 테스트 대상자들을 통한 입소문만으로 이뤄낸 성과였다. 가능성을 확인한 이 극초기 스타트업은 이제 서비스 고도화와 함께 적용 분야 확대, 글로벌 진출, 투자 유치 등을 계획들을 발빠르게 진행하고 있다.

EU ‘인공지능법’ 통과, GDPR 버금가는 강력한 규제 장벽 될 수도…대응법은?

EU 인공지능법 통과를 두고 국내 법률 전문가들은 공히 “GDPR 수준에 버금가는 강력한 규제 장벽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 놓고 있다. 실제 그 내용을 보면 EU 지역에서 출시되는 AI 관련 상품·서비스는 공급자의 소재지와 관계없이 모두 인공지능법에 적용 대상이 된다. 이에 법무법인 디엘지(전 법무법인 디라이트)가 마련한  ‘GDPR의 실무와 EU 최신 규제 동향’ 세미나에서는 GDPR을 통해 진행된 규제 내용과 더불어 인공지능법에 대한 국내 인공지능 기업의 대응 필요성이 주요 세션 중 하나로 다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