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AI VS. 오픈소스AI 논쟁...'풀뿌리 AI'를 지켜야하는 이유

[AI요약] 제작자에 의해 통제되는 미국 기업들의 AI기술과는 반대로 EU는 대중에게 AI기술을 오픈해야 오히려 AI 주권을 갖게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오픈소스 연구개발이 사라질 경우 유럽은 필수 AI 인프라를 위해 소수의 외국 독점기업, 즉 미국에 크게 의존해야될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이다. 결국에는 오픈AI Vs. 오픈소스AI에 대한 논쟁이다.

유럽에서 풀뿌리 AI 연구개발 보호가 중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미지=ceps.eu)

'풀뿌리 AI', 대중을 위한 AI 기술개발 보호가 중요한 이유는 무엇일까.

AI 법안을 통한 풀뿌리 연구 보호 방안 등 유럽연합(EU)의 본격적인 AI연구 보호 조치 목소리에 대해 더가디언 등 외신이 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EU가 다가오는 AI 법안을 통해 유럽 국가들의 풀뿌리 AI 연구를 보호하지 않을 경우 미국 기술기업에 AI 통제권을 넘길 위험이 있다는 경고를 받고 있다. 독일 연구그룹 라이온(Large-scale AI Open Network, Laion)에 따르면, 유럽의회의 AI 연구에 대한 ‘획일적인’ 조치가 유럽내 개방형 연구 개발을 제거할 위험이 있는 것으로 지적된다.

연구자나 개발자가 다운스트림 사용을 모니터링하거나 제어하도록 요구하는 규칙은 유럽에서 오픈소스 AI를 출시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만들 수 있다는 우려다. 이는 AI 연구개발에 대한 투명성을 저해하고 학문의 자유를 제한하는 등 다양한 문제를 불러올 수 있는 것으로 지적된다.

현재 유럽은 AI 주권을 잃을 이유가 없다. 오픈소스 연구개발이 사라지면 유럽 과학계와 경제는 필수 AI 인프라를 위해 소수의 외국 독점기업에 크게 의존하게 되기 때문이다. 물론 여기서 외국 독점 기업은 미국기술기업일 가능성이 크다.

오픈AI(OpenAI)와 구글과 같은 기업의 AI 연구는 제작자에 의해 크게 통제된다. 예를 들어 챗GPT(ChatGPT) 뒤에 있는 모델을 다운로드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오픈AI가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유료 액세스에는 사용 방법에 대한 여러 가지 법적 및 기술적 제한이 따른다. 대조적으로 오픈소스 AI는 AI 모델을 만든 다음 누구나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대로 사용, 개선 또는 적응할 수 있도록 공개되고 있다.

라이온의 경우 오픈소스 AI를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수십억 달러 규모의 조직을 통제하고 종종 수억 달러의 개인 재산을 소유하는 미국 AI 기업과는 달리 AI 세계의 ‘자원 봉사자’인 셈이다.

라이온의 작업은 이미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라이온은 영국 스타트업 스테빌리티AI(Stability AI)로부터 자금을 지원받았으며, 다른 AI 연구원들이 자체 시스템을 교육할 수 있도록 개방형 데이터 세트 및 모델을 생성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인터넷에서 수집한 거의 60억개의 레이블이 지정된 이미지로 구성된 한 데이터베이스는 인기있는 스테이블디퓨전(Stable Diffusion) 이미지 생성 AI를 뒷받침하고 있다. 또한 오픈클립(Openclip)이라는 또다른 모델은 이미지에 레이블을 지정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오픈AI에서 구축한 개인 시스템을 재현했다.

그러나 이러한 작업은 논란이 될 수 있다. 스테이블디퓨전은 노골적이고 외설적이며 불안한 이미지를 생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라이온의 이미지 데이터베이스는 작품이 포함된 창작자의 권리를 존중하지 않는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이에 EU와 같은 기관은 AI 시스템이 수행하는 작업에 대한 책임을 지주회사로 간주하고 있지만, 이러한 규제로 인해 시스템을 일반 대중에게 공개하는 것이 불가능해지고 국가 경쟁력을 악화시킬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여기에 대한 대안으로 EU가 대중의 감독과 유럽의 가치를 따르는 통제된 조건하에서 차세대 모델의 안전한 개발을 위한 자체 공공시설을 갖춘 오픈소스 연구에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토니블레어연구소(Tony Blair Institute)는 영국이 오픈소스 연구를 적극적으로 진행하면서 미래 AI를 대중의 통제하에 두기 위한 ‘브릿GPT’(BritGPT)의 창설에 자금을 지원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크리스토프 슈만 라이온 대표는 “우리는 오픈소스 AI가 더 안전하고 접근하기 쉬우며 민주적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오픈소스 AI를 연구하고 있다”며 “향후 5년에서 10년 이내에 거의 인간 수준의 AI를 갖게 될 것이라고 확신하고 있다”고 서한을 통해 밝혔다. 슈만 대표는 “세상을 완전히 바꿀 AI 기술의 힘을 통해 민주화된 세상에서 다음 세대들이 자라나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산드라 와처 옥스퍼드대학교 인터넷연구소 교수는 “AI 기술 개발에 대해 속도를 늦춰야 된다고 말하는 사람들은 결국 해당 기술 개발에 성공해 기득권을 가진 사람들”이라며 “우리는 이미 암호화폐, 무인자동차 등 새로운 기술이 나올때마다 공포의 주기를 겪은적이 있다”고 지적했다.

와처 교수는 “불안과 공황은 좋은 정치적 조언자가 아니다”라며 “새로운 기술에 대한 규제를 서두르면서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과 의견을 조율하는데 초점을 맞춰야한다”고 강조했다.

류정민 기자

znryu@daum.net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현존 디스플레이 최고 재생률 540Hz···1000Hz 가려면?

지금 사용하는 LCD 모니터의 움직임 성능은 대부분 이미지를 매초 60번 새로 고치는 60Hz 재생률을 보인다. 고급 스마트폰에서 60Hz 재생률을 넘어선 것이 불과 3년 정도 밖에 안된다. 삼성전자가 2020년 120Hz 재생률의 OLED 스마트폰을 내놓았다. 최근 나온 PC용 모니터는 무려 540Hz 재생률을 보인다. 최근 급속한 발전을 보이는 디스플레이 재생률 진전과 전자업계가 내놓은 최고 재생률 디스플레이 현황과 향후 발전 가능성 및 이를 위한 과제 등을 살펴봤다.

드디어 시작된 ‘챗GPT’와 음성대화, 얼마나 흥미진진할까요?

생성형 AI챗봇 챗GPT가 이제 사용자와 대화를 할수 있게 된다. 챗GPT와 대화는 이미 비슷한 기능을 제공하는 음성 AI비서 아마존의 알렉사, 애플의 시리 등과는 어떤 차별점이 있을지 주목받고 있다.

[인터뷰] 홍일호•안성현 팩토스퀘어 공동창업자 “공장 네트워크화를 통한 소량생산 B2B 제조 솔루션을 만들고 있습니다”

팩토스퀘어는 소량생산에 어려움을 겪는 브랜드의 페인포인트를 해결하는 것을 넘어 공장에는 자사의 자동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팩토스퀘어의 생태계' 구축 비전을 그려가고 있다.

몰로코, ‘글로벌 모바일 앱 퍼포먼스 마케팅 보고서’ 첫 발간

머신러닝 솔루션 분야 글로벌 기업 몰로코(Moloco)는 글로벌 마케팅 여론조사기관 입소스(Ipsos)와 진행한 첫 ‘글로벌 모바일 앱 퍼포먼스 마케팅 보고서’의 주요 결과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