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SA, 물리학자 김상욱 교수 초청 런앤그로우 포럼 개최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이하 KOSA)가 회원 간 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제7회 SW 런앤그로우 포럼(이하 포럼)’을 개최한다고 16일 밝혔다.

오는 30일 삼정호텔에서 개최되는 이번 포럼은 김상욱 경희대학교 교수를 초청해 ‘물리학자가 불확실성과 함께 사는 법’이라는 주제로 진행된다.  

다정한 물리학자로 불리는 김 교수는 ‘알쓸신잡’ ’선을 넘는 녀석들’ 등 다양한 인문·교양 방송 프로그램에 출연해 대중들에게 친숙한 과학자로, ‘김상욱의 과학 공부’와 ‘김상욱의 양자 공부’ 등 저서를 펴내기도 했다.

김 교수는 강연을 통해 코로나19가 촉발한 예측불허의 시대 변화 속에서 변하지 않는 것들의 가치에 대해 전하고, 미래를 대비하는 철학으로서의 자연과학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를 폭넓게 나눌 예정이다.

정우철 KOSA 회원지원실장은 “이번 포럼을 통해 급변하는 시대에서 어떻게 하면 변하지 않는 것을 찾고, 중요한 것을 변하지 않게 할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 알 수 있는 시간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참가신청은 오는 24일까지 협회 홈페이지(www.sw.or.kr)에서 할 수 있다.

한편 KOSA는 회원사의 비즈니스 영역 확대 및 회원 상호 간 커뮤니케이션 활성화와 협력을 통한 동반성장 도모를 목적으로 매월 마지막주 화요일 조찬 형식으로 IT·경제·경영·인문 등 각계 전문가를 초청해 런앤그로운 포럼을 개최하고 있다.  

황정호 기자

jhh@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티맵 '훈훈' 이벤트…대리기사 대상 최대 10만 포인트 추가 지급·기상 연계 운행수익 보너스 혜택 확대

티맵모빌리티(이하 티맵)은 연말 추위 속 고군분투하는 대리운전 기사들을 위해 다양한 연말 이벤트를 마련했다고 8일 밝혔다. 우선 주행 실적에 따라 편의기능과...

송승재 라이프시맨틱스 대표이사, ‘국회의장 공로장’ 수상

디지털헬스케어 전문 기업 라이프시맨틱스의 송승재 대표이사가 국회의장 공로상을 수상했다. 라이프시맨틱스는 지난 5일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 엘타워에서 열린 ‘올해의 벤처상’ 행사에서...

삼쩜삼, ‘삼쩜삼뱅크’로 4번째 인터넷전문은행 도전

세금 신고·환급 도움 서비스 ‘삼쩜삼’을 운영하는 자비스앤빌런즈가 4번째 인터넷전문은행을 추진한다고 6일 밝혔다. 가칭 ‘삼쩜삼뱅크’는 소상공인과 N잡러를 대상으로 하며, 지난 3년간 삼쩜삼 운영으로 체감한 노동 환경의 극적인 변화를 4번째 인터넷전문은행인 ‘삼쩜삼뱅크’에 적용, 새로운 금융 시스템을 통해 세금에 이어 금융에서도 사각지대를 없애겠다는 방침이다. 자비스앤빌런즈 삼쩜삼뱅크는 1금융권에서 금융 혜택을 받는 근로소득자나 사업자는 물론 근로소득을 유지하면서 개인 사업을 운영하거나 파트타이머, 프리랜서 등 다양한 형태로 진화하고 있는 N잡러를 주요 대상으로 보고 있다. 소상공인 및 자영업자 등 개인 사업자도 포함된다. 혜택을 받지 못했던 고객들을 안정적이 제도적 금융 시스템으로 유입시킴으로써 기존 금융권과의 차별화를 꾀하겠다는 전략이다. 20년 5월 삼쩜삼 서비스를 처음 선보인 자비스앤빌런즈는 지난 3년간 세무 영역에서 사각지대에 있던 고객들의 세금 신고 및 환급을 도왔다. 이를 통해 1,800만 명의 고객을 모았으며, 누적 환급액은 9,099억 원을 기록하는 등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뤘다. 무엇보다 서비스 초기에는 2030세대의 관심이 집중되었으나 최근에는 5060세대가 전체 고객의 16%를 차지하고 21년 이후...

권준혁 드롭박스 한국 담당 이사 “AI 툴 사용 필수 시대, 제조·리테일·미디어 워크플로우 개선에 집중할 것”

글로벌 시장을 대상으로 워크플로우 혁신 및 업무 효율성을 강화하는 협업 플랫폼을 제공하고 있는 드롭박스가 5일 올 한해 성과를 바탕으로 AI 기술을 도입한 제품을 내세우며 내년도 한국 시장 전략을 공개했다. 이날 테크42와 만난 권준혁 드롭박스 한국 엔터프라이즈 비즈니스 및 파트너 세일즈 리드(이하 한국 담당 이사)는 “올 한해 가장 큰 성과는 드롭박스의 서비스가 엔터프라이즈 시장으로 확대됐다는 점”이라며 말문을 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