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마이크로소프트, 실적 호조에도 주가는 하락?… "시장 기대치 못 미쳐"

  • 투자자 기대치와 실적 간의 괴리 해소 여부
  • 빅테크 기업의 규제에 따른 향후 불안정 요소 각인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의 실적 호조에도 주가는 냉담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사진=Applelnsider)

월 스트리트(Wall Street. 월가)는 20일(현지시간)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의 2024년 1분기 실적이 시장 예상을 웃돌았음에도 불구하고 주가가 하락세를 보이며 냉담한 반응을 보였다.

구글은 매출 863억 1천만 달러, 주당 순이익 1.64달러를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3%, 18% 증가했다. 이는 모두 시장 예상치를 상회한 수준이다. 애널리스트들은 실적 발표 전, 853억 3천만 달러의 매출을 예상했지만 이를 상회하는 실적을 보인 것이다. 또한 클라우드 매출은 25% 증가하며 성장세를 이어갔다.

마이크로소프트도 매출 620억 2천만 달러, 주당 순이익 2.93달러를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8%, 15% 증가했다. 월가는 매출 611억 2천만달러, 수당이익 2.78달러를 예상했었다. 역시 시장 예상치를 웃돌았다. 애저 및 기타 클라우드 서비스의 매출이 전년보다 30% 증가했는데, 이는 업계가 전망한 성장률 27.7%를 뛰어 넘는 수치다.

하지만 투자자들은 이미 긍정적인 결과를 완전히 반영한 주가라고 생각했던 것으로 보인다. 실적 발표 후 실제 숫자가 기대치에 미달하자 실망감이 퍼져 주가 하락으로 표출되었다.

특히 구글의 경우 광고 부문 매출이 시장 예상치를 하회하며 주가 하락의 원인으로 지목됐다. 광고 부문 매출은 655억 2천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23% 증가했지만, 시장 예상치인 659억 4천만 달러에는 미치지 못했다.

이러한 하락세는 단기적인 실망감뿐만 아니라 시장 전체의 불안정한 분위기도 반영할 가능성이 있다. 비록 금리 인하론이 고개를 들고 있지만, 작년부터 이어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공격적인 금리 인상과 인플레이션 우려 등으로 시장이 불안정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월 스트리트의 반응은 미래를 예측하는 정확한 도구는 아니지만, 앞으로의 경제 상황과 주가 움직임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더욱이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빅테크 기업에 대한 규제 강화 움직임이 뚜렷해지고 있다. 미국에서는 공정거래위원회(FTC)가 애플, 구글, 아마존, 메타 등 4대 빅테크 기업을 상대로 반독점 소송을 제기했다. FTC는 이들 기업이 시장 지배력을 남용하여 경쟁을 제한하고 소비자에게 피해를 끼쳤다고 주장하고 있다.

리나 칸 FTC 위원장이 의회에서 발언하고 있는 모습. (사진=RecordEagle)

유럽연합(EU)도 빅테크 기업에 대한 규제 강화에 나서고 있다. EU는 지난 2020년 디지털 시장법(DMA)을 채택했다. DMA는 빅테크 기업의 시장 독점력을 제한하고 소비자 보호를 강화하기 위한 법안으로 DMA는 올해 7월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이외에도 미국과 유럽은 빅테크 기업의 개인정보 보호, 플랫폼 책임 등 다양한 분야에서 규제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

빅테크 기업 규제 강화, 어떤 의미?

빅테크 기업 규제 강화는 기업의 영향력 확대에 대한 우려가 반영된 결과다. 특정 기업은 시장 지배력을 바탕으로 막대한 수익을 올리고 있으며, 이는 경쟁을 제한하고 소비자에게 피해를 끼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어 왔다.

이러한 규제는 영향력 확대를 억제하고 시장 경쟁을 활성화하기 위한 목적도 있다. 또한, 빅테크 기업의 책임을 강화하여 소비자 보호를 강화하기 위한 목적도 있다. 다만, 미국과 유럽 등 빅테크 기업의 규제 강화는 그들의 사업 활동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규제가 강화되면 빅테크 기업은 시장 독점력을 유지하기 어려워지고, 경쟁을 위한 투자를 늘릴 수밖에 없을 것이다. 또한, 개인정보 보호와 플랫폼 책임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면 빅테크 기업의 사업 모델에 변화가 생길 수 있다.

한편 업계에서는 빅테크 기업 규제 강화는 글로벌 기술 산업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하고 있는 분위기다. 그들의 영향력이 축소되면 신규 기업의 성장 기회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빅테크 기업의 책임 강화는 소비자 보호와 시장 경쟁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보여진다.

김광우 기자

kimnoba@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모르면 손해! 3억 구독자 등에 업은 ‘넷플릭스 무료게임’ 최신 리스트

넷플릭스가 넷플릭스게임즈를 키우기 위해 에픽게임즈의 인재를 영입하면서 곧 기업에 상당한 움직임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올해 초 넷플릭스게임즈는 2024년 로드맵을 발표했으며, 여기에는 스트리밍 플랫폼을 통해 액세스할 수 있는 최대 14개의 새로운 게임이 포함돼 있다.

도대체 왜?···머스크의 트럼프 지지 속내 3가지

일론 머스크는 트럼프가 미 대통령에 당선되더라도 바이든 행정부에서 겪은 푸대접 대신 오히려 최소 3가지 이익을 기대하며 그를 지지했을 것으로 보인다. (물론 기본적으로 머스크는 트럼프와 ‘배짱이 맞아서’ 지지했을 것이다.) 그 3가지는 ▲바이든 행정부의 전기차 보조금 공제법 폐지시에도 자사의 보급경 전기차(모델 3)는 경쟁력있다는 점 ▲바이든 행정부가 머스크와 테슬라에 보인 푸대접을 더 이상 받지 않을 것이라는 점 ▲바이든 행정부가 테슬라 자율주행 기술을 예의주시하며 잠재적으로 증권과 전신 사기 혐의로 이어질 수 있는 조사 개시를 회피할 수 있으리란 기대감이다.

[AGI 콘퍼런스 2024] 김동신 센드버드 대표 “AI 챗봇 서비스 도입의 목적은 개인화된 고객 커뮤니케이션 자동화, 사용자 경험 극대화입니다”

김동신 센드버드 대표는 “바퀴를 재발명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AI 서비스 개발 시 이런저런 시도로 시행착오를 거치는 과정이 불가피하지만 결국 ‘사업적 성과’로 이어지도록 빨리 시장에 선보이고 개선하는 작업을 진행해야 한다는 것이다.

‘웨이모 Vs 크루즈 Vs 사이버캡’ 미국의 ‘로보택시’ 삼파전

제너럴모터스의 자율주행차 사업부인 크루즈가 도시에서 운행하도록 설계된 자율주행 셔틀 오리진의 생산을 무기한 연기 발표하자 알파벳은 자사의 자율주행차 사업부인 웨이모에 대대적인 투자를 발표했다. 테슬라 역시 전용 로봇택시인 사이버캡 공개 계획을 미루면서, 웨이모의 미국 로보택시 시장 선점에 청신호가 켜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