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이 은밀한 광고 단가 조정을 인정했다

구글이 은밀하게 10%까지 광고 단가 조정을 인정했다고 Search Engine Land가 19일(현지 시간) 보도했다. 구글은 검색 광고를 판매할 때 평균적인 광고주에 5%까지 입찰가를 조정해왔다고 한다.

구글의 광고 담당 임원인 제리 디실러(Jerry Dischler)는 미국 연방 반독점 법정에서 일부 검색 결과에 대해서는 광고 금액을 10%까지도 인상했다고 밝혔다. 그는 구글이 광고주에 가격 변화를 알리지 않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한 디지털 광고 전문가는 X(전 트위터)에서 "나는 이 사실을 알고 있었지만 구글의 부사장이 실제로 언급한 것은 놀랍다. 구글은 쉽게 광고 가격을 조정해왔다"고 언급했다.

구글 광고(Google Ads)에서 스마트 자동 입찰은 모든 광고 입찰에서 전환 수 또는 전환 가치를 높이기 위해 구글 AI를 이용해 입찰가를 최적화하는 방법으로 '실시간 입찰'이라고도 알려져 있다.

구글 애즈 홈페이지 캡처

디실러는 자신의 팀이 구글의 CFO에 제출한 목표 수익을 달성하기 위해 살짝 조정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구글의 총 수익 중 60% 이상은 검색광고에서 발생한다. 구글 광고 담당 임원 제리 디실러는 2020년 구글의 검색 광고로 인한 수익은 1천억 달러 이상이라고 밝혔다.

구글이 시장에서의 명백한 경쟁을 직면하지 않고도 광고 가격을 올릴 수 있다는 것은 법무부가 주장하는 구글의 불법적인 독점이라는 논리를 설득력있게 만들 수 있다.

미국 법무부와 14개 주정부는 구글 광고 부문에 반독점법 위반 소송을 제기했다. 미국 법무부 등은 구글의 반경쟁 행위가 인터넷의 미래를 위협하고 있다는 주장이다. 은 지난 9월 12일부터 10주간 재판이 진행된다. (끝)

본 기사의 원문은 여기서 볼 수 있습니다.

거북이미디어연구소

getough@gmail.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직원 고과, 상대평가와 절대평가 중 어떤 게 좋을까?

최근 직원 평가 방법을 상대평가에서 절대평가로 전환했다는 기업들의 기사를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습니다. 일부 기사에서는 절대평가가 상대평가보다 ‘좋다’라는 인식을 주기도 하는데요.

2023 한국 데이터 저널리즘 어워드 : 올해의 데이터 시각화 수상작은?

데이터에 관련해서도 많은 시상식이 열리지만, 오늘은 ‘2023 한국 데이터 저널리즘 어워드’를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그중 뉴스젤리는 데이터 시각화 기업으로서 ‘올해의 데이터 시각화 상’을 수상한 두 작품을 여러분과 함께 살펴보려고 합니다! 각 작품의 흥미로운 제작 배경과 사용한 데이터, 그리고 활용한 데이터 시각화까지 함께 알아볼까요?

쿠팡 ‘계획된 적자’ 시즌2 시작하나요?

대부분의 경쟁자가 긴축 모드에 돌입했다는 점도 큰 차이점입니다. 특히 이는 쿠팡에게 매우 좋은 일이라 할 수 있는데요. 일단 최대 경쟁자인 네이버만 해도, 성장보다는 수익에 초점을 맞추고 있고요. 신세계 그룹 역시 당장의 실적 부진 반등이 최우선 과제라, 공격적인 투자를 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이에 따라 나 홀로 투자 모드로 돌아선 쿠팡이 얻는 효과는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모두가 멈출 때 혼자 달리면 격차는 벌어질 수밖에 없으니까요.

우리 제품의 '광팬' 고객, 어떻게 만들 수 있을까?

어떤 제품이 자신이 추구하는 가치를 실현시켜주면 여기에 유대감을 느끼고 애착을 갖게 되며, 이런 관계가 꾸준히 지속되면 제품에 대한 신뢰가 쌓여 이를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다른 사람들에게 홍보하는 광팬 고객이 된다는 거죠. 그럼 구체적으로 뭘 어떻게 해야 하는 걸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