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다음달 갤탭S8에 최초로 울트라 버전···14.6인치 140만원대

삼성전자가 다음달 중 발표할 것으로 예상되는 갤럭시 탭 S8시리즈에는 사상 최초로 울트라 버전이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노치가 있는 14.6인치 디스플레이 버전인 것으로 알려졌다. (사진=빈 푸트레)

삼성전자가 다음달 공개할 갤럭시탭 S8 라인업에 사상 최초로 울트라 버전을 추가한다. 노치와 2개의 카메라가 들어가는 14.6인치 화면 모델로 가격은 140만원 초반대로 알려졌다.

독일 빈푸투레(WinFuture)·아푸알스 등은 16일(현지시각) 삼성전자가 발표를 앞둔 갤럭시탭S8 울트라는 최대 120Hz의 재생속도, 2960⨯1848화소 14.6인치 슈퍼아몰레드 디스플레이, 1200만 화소 카메라 2대 등을 포함하며 스냅드래곤 8 1세대 칩셋을 사용한다고 보도했다.

갤럭시탭 S8 울트라모델에는 또 최대 16기가바이트(GB) 램에 512GB의 내장 메모리 옵션, 그리고 1만1200밀리암페어시(mAh)의 배터리가 함께 제공된다.

또한 이보다 한단계 낮은 중급 갤럭시탭 S8 플러스에는 2800⨯1752화소 해상도의 12.7인치 슈퍼 아몰레드 디스플레이가 사용된다. 다만 갤탭S8플러스에는 울트라와 달리 노치가 없으며 1만90mAh 배터리가 장착된다.

기본형 갤럭시 탭 S8 모델은 단연코 전체 모델 중 가장 작으며 2560⨯1600화소의 해상도에 노치가 없는 11인치 저온폴리실리콘 박막필름트랜지스터(LTPS TFT) 디스플레이, 8000mAh 배터리를 탑재한다.

갤럭시탭S8과 S8플러스는 모두 울트라 버전에 비해 더작은 8GB 램과 더 작은 256GB 내장 메모리 옵션을 갖고 있다.

갤럭시탭 S8 울트라와 갤럭시탭 S8/S8플러스 비교

갤럭시 탭 S8 플러스는 노치가 없는 12.7인치 디스플레이 버전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사진=빈 푸투레)
유출된 갤럭시 탭 S8울트라 렌더링. (사진=@온리크스/아푸알스)

보도에 따르면 모든 갤럭시탭 S8 모델에는 후면에 1300만 화소 듀얼 카메라와 600만 화소 광각 카메라를, 전면에는 1200만화소 카메라를 각각 탑재하며(울트라에만 2개의 전면 카메라), S펜 호환성, 언더 디스플레이 지문인식센서, 5G통신 옵션, 돌비 애트모스를 지원하는 쿼드스피커가 들어간다.

보도는 또 삼성전자의 새로운 태블릿 라인업에는 퀄컴 스냅드래곤8 1세대 칩과 아드레노 730 GPU가 탑재될 것이라고 밝혔다.

아직 갤럭시탭 S8에 대한 확인된 가격 정보는 없지만, 아푸알스(Appuals)에서 유출된 정보는 예상 가능한 가격대를 알려준다.

아푸알스에 따르면 와이파이 전용 갤럭시탭 S8 울트라는 1040~1060유로(약 1187~1210달러, 141만5000~144만2000원)부터 시작되며, 내장 메모리 및 5G 통신 기능이 포함되면 가격이 추가된다.

와이파이 전용 갤럭시탭 S8플러스는 880~900유로(약 1004~1027달러, 약 120만~122만5000원)에서 시작한다. 기본 갤럭시탭 S8은 680~700유로(약 776~799달러, 약 92만5000~92만3000원)에서 시작한다.

빈푸투레는 삼성전자가 다음달 8일 삼성 언팩 행사에서(잠재적으로 삼성 갤럭시S22와 함께), 또는 다음달 28일 시작되는 모바일월드콘퍼런스(MWC)에서 갤럭시탭S8 라인업을 공개할 것으로 예상했다. 삼성은 지난 2020년 마지막으로 갤럭시 탭 S7 라인업을 출시했는데, 이 라인업은 탭 S7과 탭 S7 플러스 두 가지 태블릿으로만 구성돼 있다.

이재구 기자

jklee@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인터뷰] 최선은 닥터오레고닌 대표 “연구개발부터 제품화까지 일사천리, 건강기능식품 시작으로 신소재 의약품까지 곧 선보일 겁니다”

최 대표는 국내 자생식물에서 추출한 100종 이상의 고함량 폴리페놀 약효 물질에 대한 자체 DB 라이브러리를 보유하고 있으며, 기존 추출법 대비 최대 10배 이상의 고함량 약효물질 표준 추출법 및 활성증대를 위한 비당체 전환기술에 대한 원천기술 역시 보유하고 있다. 그간의 기술이전 경험을 바탕으로 고객 수요 대응 타깃물질 발굴-추출-효능 검증-시제품 제작 및 평가-시험인증-제형화 등 천연물 연구개발 전주기를 꿰뚫는 노하우도 확보한 상태다.

‘촬영인력 필요없다’ 엔비디아와 ‘AI 올인’하는 세계 최대 광고대행사

세계 최대 광고대행사가 실제 광고 촬영 대신 AI기술을 활용해 인력과 비용을 줄이는 방법을 선택했다. 이제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모든 제품을 타켓층에 맞춤형으로 제공할수 있게 됐다. WPP와 엔비디아의 이번 협력은 광고업계 주요 기업이 AI를 신속하게 배포하는 최신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나는 챗GPT와 결합하는 최초의 상용 휴머노이드”

최근 노르웨이 로봇업체 원엑스(1X)가 인간형 로봇(휴머노이드 로봇) ‘이브(Eve)’로 전세계의 주목을 한 몸에 받고 있다. 주목받는 더 큰 이유는 다른 데 있다. 이브가 오픈AI의 챗GPT와 결합해 상용화하는 최초의 인간형로봇(휴머노이드 로봇)이 될 것이란 예상 때문이다.

[인터뷰] 이혜준 카이헬스 대표 “AI 비전 기술로 난임 문제를 해결하고 있습니다”

산부인과 의사 출신의 이혜준 대표가 이끄는 ‘카이헬스’는 지난 2021년 10월 창업 이후 그해 12월 디캠프-서울의대 창업경진대회 우승을 시작으로 지난해 5월 NIA(한국정보화진흥원) 인공지능 태아/배아 데이터셋 구축 사업 선정, 8월 팁스 선정 등의 성과를 연이어 달성하며 단숨에 유망 헬스케어 스타트업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러한 카이헬스의 기술력은 미국과 유럽의 난임학회 발표를 비롯해 최근 싱가포르 정보통신미디어개발청(IMDA)으로부터 인정을 받으며 글로벌 시장 진출의 교두보까지 마련한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