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장비 거인 에릭슨, 클라우드 사업 진출···보니지 7조4000억원에 인수

통신장비업계의 거인 에릭슨이 클라우드 통신업체 보니지(Vonage)를 62억 달러(약7조4000어원)에 인수하기로 합의했다고 CNN이 22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이번 계약은 스웨덴 기업의 인수합병(M&A) 가운데 수 년 만에 최대 규모였다. 이는 지난해 미국 무선 네트워크 회사인 크레이들포인트(Cradlepoint)를 11억 달러(약 1조3000억원)에 인수한 데 이은 것이다.

▲통신 장비업계의 거인인 스웨덴 에릭슨이 클라우드 기반 인터넷전화(VoIP)업체 보니지를 인수하면서 클라우드 사업에 진출했다. 사진은 에릭슨 본사 건물. (사진=에릭슨)

에릭슨은 발표문을 통해 “이 합병 합의는 보니지 이사회에서 만장일치로 승인됐다”고 밝혔다. 또 “이번 거래는 무선 엔터프라이즈 분야에서 전세계로 확장하려는 에릭슨의 명시적인 의도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2030년까지 기존 고객들에게 7,000억 달러(약 831조원)에 이르는 시가총액을 늘려주게 된다”고 말했다.

보니지는 미국의 공용 비즈니스 클라우드 통신 제공업체다. 뉴저지주 홈델 타운쉽에 본사를 둔 이 회사는 지난 2001년 인터넷전화(VoIP) 기반의 통신 서비스 제공업체로 설립됐다.

보니지는 지난해부터 올해 9월 30일까지 12개월 동안 14억달러(약 1조 6618억 원)의 매출을 올렸으며 이자·세금·감가상각비전 조정이익(EBITDA) 마진 14%, 현금유동성 1억900만달러(약 1294억원)를 기록했다.

보르예 에콜른 에릭슨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2017년 취임 후 수년만에 이뤄진 이번 인수로 새로운 국면을 만들었다.

그는 에릭슨이 2000년대 초반 멀티미디어에 새로이 진출한 이후 사업에 대한 구조조정과 사업방향을 재조정하는 데 주력해 왔다. 에릭슨은 이 인수 회사의 영업이익을 맞추기 위해 고군분투하며 이익을 내는 데 무게를 두어 왔다.

클라우드 기반 보니지 통신플랫폼은 전 세계 12만이 넘는 고객과 100만 이상의 등록된 개발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에릭슨은 이번 거래가 2024년부터 (비현금 상각 영향을 제외할 때) 주당수익을 높이고 현금유동성을 자유롭게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번 거래는 보니지 주주 승인, 규제 승인, 기타 조건 등을 조건으로 내년 상반기에 마무리될 전망이다.

이재구 기자

jklee@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한국 찾은 폴 헤니건 워크데이 APJ 총괄사장...불확실한 시대에 직면한 기업이 기억할 키워드는 ‘회복 탄력성’ ‘지능형 디지털 백본’

방한한 폴 헤니건(Paul Henaghan) 워크데이 아시아 태평양 및 일본(APJ) 총괄사장은 기자간담회를 통해 “전 세계 1만여개의 워크데이 고객사가 코어에 인공지능(AI)과 머신러닝(ML)을 장착한 워크데이 플랫폼을 활용하면서 미래의 업무(future of work)에 적응하고 성장하고 있으며, 워크데이 또한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꾸준히 성장 기회를 포착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파워테스크, 한국투자액셀러레이터로부터 투자 유치

노코드 업무자동화 솔루션 ‘아웃코드’의 운영사 파워테스크는 한국투자액셀러레이터 바른동행 3기에 선정돼 Pre-A(프리 A) 라운드 투자를 유치했다고 1일 밝혔다. 파워테스크는 업무에 필요한...

포스텍  블록체인   · 디지털자산 전문가 4기 과정 수료

포스텍 블록체인 및 디지털자산 전문가 과정 4기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었다. 30일 강남 해시드라운지에서 열린 이번 수료식에는 포스텍 홍원기 교수와 우종수 교수를 비롯한 포스텍...

도미노, 금융위 로보어드바이저 테스트베드 심사 통과

자산관리 플랫폼 ‘도미노’의 운영사 패스트포워드는 자체개발한 AI 로보어드바이저 '도미노 오토파일럿'이 금융위원회와 코스콤이 주관하는 제20차 로보어드바이저(RA) 테스트베드 운용심사를 통과했다고 31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