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 셧다운제를 보는 두가지 시선

"게임중독이란 용어를 게임 과몰입으로 개선하는 내용의 ‘강제적 셧다운제 폐지 및 게임인식 개선법(청소년보호법 일부개정안)’을 대표발의했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허은아 의원은 지난 5일 강제적인 '게임 셧다운제'를 폐지하고 '선택적 셧다운제'로 일원화 하는 내용의 법안을 발의했다.

시선 1 : 게임은 그저(?) 과몰입할 뿐...강제적 셧다운제는 개선돼야

여성가족부 소관으로 적용되고 있는 강제적 셧다운제(오전 0시부터 오전 6시까지 16세미만 청소년에게 인터넷 게임을 제공하지 못하도록 하는 법안)가 규제 실효성이 없고, 게임산업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시선'에서 나온 내용이라 할 수 있다.

대신 문화체육관광부 소관의 선택적 셧다운제는 청소년 본인이나 학부모가 요청할 경우 제한을 하도록 하는 법제도로 일원화 하자는 것이다.

먼저 허 의원이 말하는 '게임 중독'과 '게임 과몰입'은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사전적 의미로 '중독'은 술, 마약, 게임 등에 지나치게 빠져서 그것 없이는 견디지 못하는 병적인 상태다. '과몰입'은 지나치게 깊이 파고들거나 빠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 두 단어의 차이는 그것 없이는 견디지 못하는 병적인 사태에 있다. 게임 중독을 질병으로 볼 것인가, 아닌가의 차이이기도 하다.

최근의 분위기는 게임을 질병으로 연결짓는 것이 적절치 않다는 분위기다. 정치권에서도 청소년의 행복추구권과 부모의 교육권을 보장하기 위해 셧다운제를 폐지하자는 법안들이 발의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전용기 의원은 "청소년의 게임 과몰입 문제는 국가가 아닌 가정에서 지도할 영역"이라면서 셧다운제 전면 폐지를 주장하기도 했다.

시선 2: 흔한 주변의 아이들을 볼 때, 셧다운제의 필요성은 인정된다

물론 셧다운제를 고수하자는 다른 시선도 존재한다. 최근에는 개인의 권리가 매우 중요시되는 만큼, 정치권에서 이를 드러내 놓고 찬성하는 목소리는 숨겨져 있다. 다만 2014년 헌법재판소에서 셧다운제는 헌법에 명시된 기본권을 침해하는 것으로 보기 어렵다는 합헌 결정이 난 바 있다. 게임 중독 내지는 과몰입으로 인한 폐해 사례가 적지 않은 사회 문제를 일으켰고, 지금도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뉴스 사회면이 아닌 실제 우리 주변에서 접해 볼 수 있는 사례를 보면, 16세 미만의 자녀를 둔 학부모라면 어느 정도 기존 법안을 옹호하고 있다.

서울 송파구에 거주하는 중학생 자녀를 둔 50대 초반 회사원 A씨는 자녀로 인한 심각한 가정문제를 겪고 있다. 이른바 '문제아'라는 자녀와 대화 단절, 학교에서 벌어지는 다양한 문제 등으로 회사까지 휴직하는 지경까지 이르렀다. 이러한 가정에서의 문제의 원인을 무엇 하나로 특정할 수는 없겠지만, 게임 과몰입도 상당한 부분을 차지했다. A씨는 "그놈의 OOOOOO"라고 특정 게임을 지목하면서, 자기 가정의 불화 문제를 한탄하기도 했다.

경기 고양시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4학년 자녀를 둔 40대 중반 회사원 B씨도 자녀의 게임 과몰입에 대한 고충을 토로했다. B씨는 "아이가 매일 게임 이야기만 하고, 게임을 하지 않으면 유튜브에서 게임관련 영상을 본다"면서, "게임을 못하게 하면 마치 금단 현상처럼 한두시간 어쩔 줄 몰라하며 짜증을 내고, 불안해 한다"고 말했다.

이들 2명의 사례가 전체 가정의 이야기는 아니겠지만, 기자의 생활범위 내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가정의 아이들이라는 점에서 셧다운제의 필요성 자체를 배제할 수는 없어 보인다. 실제 사례자의 자녀들은 새벽 시간에도 게임을 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고 한다. 지난 2011년 강제적 셧다운제의 시행 취지인 '청소년 게임 중독 방치 및 수면권 보장'을 위한 규제가 필요하다는 시선에 맞는 사례들이다.

그럼에도 시대착오적인 제도는 뜯어 고쳐야...

이처럼, 게임 셧다운제와 관련해서는 상반된 두가지 시선과 입장이 존재한다. 다만 청소년의 행복추구권과 게임 산업의 발전, 규제의 효율성을 고려해 볼 때 시행 10년째인 제도의 실효성은 재고돼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강제적인 게임 셧다운제가 한국에서만 하는 PC 게임에만 적용되는데, 최근에는 클라우드 게임의 성장으로 모바일(스마트폰, 태블릿)에서도 충분히 PC게임을 즐길 수 있다. 그러나 모바일에서 하는 게임은 규제에서 제외되는 모순이 있다. PC 게임에서도 부모의 아이디 도용이나 해외계정을 통한 우회방법이 있기 때문에, 일률적인 접속 차단 외에 더욱 구체적인 제재 방안도 필요하다.

게임 셧다운제 홍보 이미지

게임업계 관계자는 "기존 셧다운제는 국내 게임사들이 고립될 수 있는 갈라파고스 규제로 볼 수 있다. 게임환경이 모바일로 이동하고 있는 시점에서 PC 게임만 규제하는 것은 형평성은 물론, 시대착오적인 제도"라고 강력하게 비판했다.

한편, 21대 국회에서는 허은아 의원, 전용기 의원, 더불어민주당 강훈식 의원 등이 게임 셧다운제 폐지 및 개선을 위한 법안을 발의한 상태다.

김효정 기자

hjkim@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달에서 문자하고 화성에서 스트리밍할까요?

달 탐험을 강화하고 궁극적으로 위성 행성에 인간이 존재할수 있는 미래를 모색하기 위해 NASA와 노키아가 올해 말, 달에서 4G 모바일 네트워크를 출시할 준비를 진행중이다. 이는 우주 식민지 주민이 개인 디바이스를 네트워크에 연결해 지구인이 사용하는 모든 앱과 서비스에 액세스할수 있는 스마트폰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서울대생들이 만든 소셜 스타트업, ‘시공간’ “LLM 활용, 대화형 챗봇으로 시각장애인의 온라인 쇼핑을 돕는 서비스 만들었습니다”

시공간이 개발·출시한 서비스는 총 세 가지다. 우선 대표 서비스인 ‘픽포미’를 들 수 있다. 이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쇼핑 서비스로 다양한 상품 정보를 LLM(거대언어모델) 기반 AI로 요약해 시각장애인들에게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 ‘브로디’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사진 해설 서비스로, ‘글공방’은 자체적으로 시각장애인을 위한 대체텍스트 제작이 어려운 기업들을 위한 ‘대체텍스트 제작’ B2B 서비스로 고도화를 진행 중이다.

AI의 파괴적 혁신···2D 레이더 지도를 몇분만에 3D지도로

최근 전세계적으로 지진 발생 소속이 부쩍 잦아진 것 같다. 요 근래만 해도 일본 근해의 지진이 있고 뉴욕지진, 대만 지진이 세계를 놀라게 했다. 이런 지진이 발생했을 때 도시지역이라면 재난 발생지역을 입체적으로 보여주는 3D지도가 긴요해진다. 때마침 IEEE스펙트럼은 독일 뮌헨 분데스베어대학교가 이런 지도 제작을 단 몇 분 만에 만들어줄 인공지능(AI) 모델을 개발했다.

아이폰 판매량은 급감하고 삼성 이익은 900% 증가하는 이유

스마트폰 시장에서 중국소비자가 자국 브랜드로 눈을 돌리고, 삼성전자의 글로벌 시장 1위 왕좌 탈환으로 애플의 아이폰 판매량이 급감하고 있다. 미국 정부의 중국에 대한 외국 칩 기술 접근을 제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화웨이는 놀라운 성능의 메이트60를 공개하면서 충격을 안기기도 했다. 삼성은 이미 AI에 올인하고 이를 스마트폰을 통해 적극적으로 선보이는 가운데, 애플은 아직까지도 AI에 대한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하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