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개척지 ‘비정형 의료 데이터’의 활용 방안을 AI로 제시한 스타트업

최근 미국의 데이터 과학 전문 기업인 사이언스아이오(ScienceIO)가 800만 달러 규모의 시드 펀딩을 받았다. 사이언스아이오는 의료 빅데이터 분야의 미개척지인 반정형, 비정형 데이터의 활용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사이언스아이오는 의료 관계자들은 방대한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지만, 대부분의 제대로 활용을 못 하고 있다는 현실에서 사업 기회를 포착했다.

의료 업계에 빅데이터 열풍이 분지 오래다. 하지만 의료 환경과 EMR, OCS, PACS 등의 의료 정보화 시스템이 갖는 특수성으로 활용에 제약이 있다. 데이터가 여러 곳에 흩어져 있고, 표준화도 제대로 되어 있자 않다 보니 여러 원천에서 확보한 데이터 간의 연관성을 통해 상황이나 의미를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 더불어 데이터 연계나 통합 시 개인정보 보호 관련 규제를 고려해야 하는 것도 걸림돌이다.

사이언스아이오는 AI 기술로 의료 데이터 활용의 새로운 길을 텄다. 사이언스아이오는 텍스트 형식으로 존재하는 의료 정보를 활용 가능한 데이터 자산으로 바꾼다. 눈길을 끄는 부분은 개인 정보를 노출하지 않고 의료 전문가들이 활용할 수 있는 정보로 전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사이언스아이오는 AI 기술로 비정형 의료 데이터 처리와 분석을 자동화한다. 사이언스아이오에 따르면 단 한 줄의 코드로 비정형 데이터 속에서 환자의 의학적 상태, 치료 절차, 생체 정보, 바이오마커 등을 식별한다. 이런 식으로 비정형 데이터 속에 담긴 텍스트를 구조화하고, 의료 연구와 진료 관련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실행 가능한 형태의 데이터 기반으로 만든다.

사이언스아이오는 수십억 개 이상의 데이터 포인트를 기반으로 AI 모델을 개발해 훈련하였다. 이 모델은 자연어 처리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데, 900만 개에 이르는 표준화된 단어를 텍스트에서 식별한다. 900만 개의 의학 표준 용어는 UMLS, SNOMED, ICD-10, RxNorm, MeSH 등을 포함하여 20개 이상의 산업 표준을 기준으로 정립한 것이다. AI 모델과 표준 용어를 바탕으로 사이언스아이오는 수십억 개의 문서를 연계해 의료진이 필요로 하는 상황에 맞는 통찰력을 짧은 시간 안에 제공한다. 전통적인 데이터 마이닝 기법으로는 시도조차 할 수 없는 일을 AI로 간단히 해낸다.

사이언스아이오는 API, 앱 등 다양한 방식으로 AI 플랫폼을 제공한다. 주요 활용 분야는 생화학, 유전학, 개인 맞춤 의학, 임상 치료, 신약 개발 등이다. 모두 데이터를 지속해서 추적하며 필요할 때 쿼리를 통해 필요한 통찰력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한 분야다.

지금까지 의료 정보화는 정보의 디지털화에 주력하였다. 그리고 빅데이터 열풍을 통해 데이터 통합과 접근에 대한 관심이 커졌다. 앞으로 의료 분야의 디지털 전환에 있어 데이터 중심 접근은 AI가 주도할 것으로 보인다.

AI는 의료 현장이 요구하는 데이터 융합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방대한 비정형 데이터를 대상으로 의미적인 연관 관계 분석을 하는 데 있어 AI만 한 기술도 없다. 사이언스아이오가 고객도 없이 기술 하나만으로 800만 달러 시드 투자를 유치한 이유다.

박창선 기자

july7sun@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인터뷰] 김민석 로켓툴즈 대표 “데이터 수집과 분석, CRM까지 자동으로 하는 ‘AI 마케터’를 만들고 있습니다”

로켓툴즈는 퍼스트파티데이터를 분석하고 고품질 데이터로 추출해 정합성을 높이는 단계는 물론 CRM 마케팅에 필요한 타깃 정의, 콘텐츠 제작, 세팅, 결과 분석까지 제공하는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다. 여기에 더해 고객이 회원 가입시 쿠폰을 발급하고 자사몰에 접속했을 때 뜨는 팝업, 구매 유도를 위한 카카오톡 알림톡까지 자동으로 연계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이름하여 ‘AI 마케터’다.

달에서 문자하고 화성에서 스트리밍할까요?

달 탐험을 강화하고 궁극적으로 위성 행성에 인간이 존재할수 있는 미래를 모색하기 위해 NASA와 노키아가 올해 말, 달에서 4G 모바일 네트워크를 출시할 준비를 진행중이다. 이는 우주 식민지 주민이 개인 디바이스를 네트워크에 연결해 지구인이 사용하는 모든 앱과 서비스에 액세스할수 있는 스마트폰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서울대생들이 만든 소셜 스타트업, ‘시공간’ “LLM 활용, 대화형 챗봇으로 시각장애인의 온라인 쇼핑을 돕는 서비스 만들었습니다”

시공간이 개발·출시한 서비스는 총 세 가지다. 우선 대표 서비스인 ‘픽포미’를 들 수 있다. 이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쇼핑 서비스로 다양한 상품 정보를 LLM(거대언어모델) 기반 AI로 요약해 시각장애인들에게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 ‘브로디’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사진 해설 서비스로, ‘글공방’은 자체적으로 시각장애인을 위한 대체텍스트 제작이 어려운 기업들을 위한 ‘대체텍스트 제작’ B2B 서비스로 고도화를 진행 중이다.

AI의 파괴적 혁신···2D 레이더 지도를 몇분만에 3D지도로

최근 전세계적으로 지진 발생 소속이 부쩍 잦아진 것 같다. 요 근래만 해도 일본 근해의 지진이 있고 뉴욕지진, 대만 지진이 세계를 놀라게 했다. 이런 지진이 발생했을 때 도시지역이라면 재난 발생지역을 입체적으로 보여주는 3D지도가 긴요해진다. 때마침 IEEE스펙트럼은 독일 뮌헨 분데스베어대학교가 이런 지도 제작을 단 몇 분 만에 만들어줄 인공지능(AI) 모델을 개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