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업계 지난해 돌아 보니… 올해 ‘대변혁의 시기’ 본격화 될 듯

[AI요약] 지난해부터 게임업계는 광풍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던 메타버스·P2E(Play to Earn) 신사업 바람이 몰아쳤다. 오래도록 흥행을 이어간 스테디셀러를 중심으로 아성을 쌓았던 3N(넥슨, 넷마블, 엔씨소프트)가 주춤하는 사이 카카오게임즈, 위메이드가 치고 나가는 한해기도 했다. 이렇듯 지난해 게임 업계의 상황을 복기해 보면 타성에 젖어 기존 방식으로 선보인 게임은 참패를 면치 못한 반면, 적극적으로 신사업 진출과 새로운 시도를 한 업체들은 시장의 기대감을 한 몸에 받았다. 이에 각 업체들은 저마다 메타버스, 블록체인, P2E 등 새로운 전략을 내세우며 올해 진검 승부를 예고하고 있다.

지난해 게임업계는 신사업 광풍과 함께 3N이 실적 부진을 피하지 못한 반면, 카카오게임/위메이드 등이 큰 폭의 성장을 이뤄내는 극적 상황이 연출됐다. (이미지=픽사베이)

지난해부터 게임업계는 광풍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던 메타버스·P2E(Play to Earn) 신사업 바람이 몰아쳤다. 오래도록 흥행을 이어간 스테디셀러를 중심으로 아성을 쌓았던 3N(넥슨, 넷마블, 엔씨소프트)가 주춤하는 사이 카카오게임즈, 위메이드가 치고 나가는 한해기도 했다.

이러한 징후는 사실 지난해 내내 분기 별 실적발표마다 드러났다. 코로나19 장기화로 사회 전반의 변화가 이어진 가운데, 게임업계는 비대면 문화 확산에 따른 반사이익을 톡톡히 챙긴 분야 중 하나였다.

하지만 이 기회를 살린 것은 성공에 안주하던 3N이 아니라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았던 강소 게임사들이었다. 이들의 전략은 메타버스, P2E를 비롯해 블록체인 기반의 신사업 진출을 발빠르게 진행한 것이었고, 그 전략은 결과적으로 효과를 보고 있다.

중국 게임 규제 장기화, 신작 흥행 부진 등에 발목 잡힌 3N

넥슨, 엔씨, 넷마블 등의 지난해 실적 악화는 이미 각 분기 실적 발표를 통해 예측된 바 있다. 주 원인으로는 중국 정부의 청소년 게임 규제 강화, 신작 흥행 부진 등으로 지목되고 있다.

3N은 지난해 전반적인 실적 악화를 보였다. 악재는 지난해 강화된 중국 정부의 청소년 게임 규제였다. 이로 인해 넥슨의 경우 중국 시장에 선보려 했던 ‘던전앤파이터 모바일’ 출시 계획이 무산되는 불운을 겪었다.

엔씨소프트(이하 엔씨)의 경우 지난해 5월 출시한 ‘트릭스터M’의 흥행이 기대치를 밑돈데다 설상가상으로 8월에 출시한 ‘블레이드&소울2’가 당초 약속과 달리 리니지와 비슷한 과금체계를 적용한 것에 성난 유저들의 반발을 사며 주가 급락을 경험하기도 했다.

넷마블 역시 지난해 6월 선보인 ‘제 2의 나라’ 8월에 연 이어 출시한 ‘마블퓨처 레볼루션’이 잇따라 저조한 흥행 성적을 기록하며 아쉬운 한 해를 보내야 했다.

3N의 연 이은 부진은 결국 지난해 실적 하락으로 돌아왔다. 8일 실적을 공개한 넥슨의 경우 전년보다 매출(일본 도쿄 증시 상장 기준)은 6%, 2745억엔(약 2조 8530원), 영업이익은 18% 감소한 915억엔(약 9516억원)을 기록했다.

9일 실적을 공개한 넷마블의 경우 지난해 인수한 소셜카지노 게임업체인 ‘스핀엑스게임즈’의 실적이 반영된 4분기 해외 매출 상승에 힘입어 연간 연결기준 매출은 2조 5059억원을 기록 전년 대비 0.8% 증가세를 보였지만, 문제는 영업이익이었다. 지난해 1545억원을 기록한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무려 43.2% 감소로 사실상 반토막이 난 상황이다.

오는 15일 실적 공개를 앞둔 엔씨의 경우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의 추정치에 따르면 지난해 매출은 2조 3532억원으로 전년 대비 2.61%가 하락했고, 영업이익 역시 41.57% 하락한 4819억원이 될 것으로 보인다.

물론 그렇다고 해도 3N의 매출 규모나 보유한 저력은 단연코 국내 게임 업체들 가운데 우위를 유지하고 있다. 코로나19 확산이 본격화된 2020년 세 회사의 매출 합계는 8조원을 넘어서는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하기도 했다. 이는 지난해 주춤하며 다시 7조원 대로 하락했지만, 각 업체는 절치부심하며 신사업과 해외 시장 다변화에 나서는 중이다.

1조 클럽에 들어온 카카오게임즈, P2E 이슈 선점한 위메이드

카카오게임즈는 신작 '오딘'이 흥행에 성공하며 엔씨의 리니지를 위협하는 상황까지 연출하고 있다. (이미지=카카오게임즈)

3N이 주춤한 한해였다면 카카오게임즈, 위메이드 등은 신작 흥행과 트렌드 변화에 발빠르게 대응하며 이슈를 선점해 큰 폭의 성장을 이뤘다.

카카오게임즈의 경우 지난해 중반부터 시작된 카카오 공동체의 위기와 별개로 사상 최대 매출인 1조 125억원을 기록하며 본격적인 1조 클럽 가입을 알렸다. 영업이익은 1143억을 기록 전년 대비 72%가 증가한 성과를 거뒀다.

주목할 부분은 신작 ‘오딘:발할라 라이징’의 흥행과 해외 진출 모바일 게임들의 성과가 적지 않았다는 것이다. 카카오VX 등 자회사의 지속성장으로 기타 매출 역시 전년 동기 약 140%가 증가한 1505억원을 기록한 것도 역대 최대 실적 경신에 힘을 보탰다.  

위메이드는 지난해 '미르4'를 통해 P2E 이슈를 선점하는가 하면 블록체인 게임 플랫폼 '위믹스'를 선보이며 높은 실적을 기록했다. (이미지=위메이드)

위메이드의 경우는 더욱 놀랍다. 지난해 ‘미르4’로 P2E 게임 이슈를 선점하더니 블록체인 게임 플랫폼 ‘위믹스’로 신사업 이슈를 주도했다. 그 결과 매출은 전년 대비 3배 이상 증가한 5606억원을 기록했다. 전년인 2020년 128억의 영업손실도 지난해는 3258억원의 영업이익으로 돌아서며 높은 수익성 개선을 이뤄냈다.

신사업 주도권 싸움 원년, 진검 승부 예고

지난해 게임 업계의 상황을 복기해 보면 타성에 젖어 기존 방식으로 선보인 게임은 참패를 면치 못한 반면, 적극적으로 신사업 진출과 새로운 시도를 한 업체들은 시장의 기대감을 한 몸에 받았다.

이에 각 업체들은 저마다 메타버스, 블록체인, P2E 등 새로운 전략을 내세우며 올해 진검 승부를 예고하고 있다.

넷마블의 경우 올해 블록게임 진출 원년을 선언하며 ‘세븐나이츠 레볼루션’ ‘넷마블 프로야구 2022’ 등에 이어 상반기 내에 2개의 신작을 추가로 선보인다는 게획이다. 특히 연내 출시를 목표로한 ‘모두의마블:메타월드’는 대체불가토큰(NFT)와 P2E를 모두 적용한 것으로 알려져 유저들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있다.  

엔씨와 넥슨의 경우 최근 사우디 국부펀드 PIF가 각각 8000억원, 1조원 규모의 투자를 했다는 소식이 알려지며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를 통해 PIF는 단숨에 엔씨의 지분 6.69%, 넥슨의 지분 5.02%를 보유하며 4대 주주에 올랐다.

지난해 시작된 메타버스, 블록체인, P2E 등 신사업 움직임은 올해 더욱 본격화되며 치열한 경쟁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미지=픽사베이)

엔씨는 그간 어려움을 겪었던 해외 거점인 ‘엔씨웨스트’가 지난해 1분기 흑자전환에 성공하며 북미 게임 시장 공략에 다시금 불을 지피는 중이다. 지난해 3분기 컨퍼런스콜에서 P2E 게임과 글로벌 진출을 공식 선언한 엔씨인 만큼 올해를 사업 성공의 원년으로 삼고 있다. 엔씨웨스트는 지난 2012년 엔씨가 북미시장 공략을 내세우며 세운 해외 법인으로 콘솔 게임이 주류인 시장 적응에 어려움을 겪으며 최근까지 자본잠식 위기에 빠지는 등 부진을 면지 못했다.

하지만 2020년 말 콘솔 음악 게임 ‘퓨저(FUSER)’가 흥행하며 분위기가 반전됐다. 이후 엔씨웨스트는 비용절감 노력과 함께 최근에는 PC온라인 MMORPG(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 길드워2의 신규 확장팩 '엔드오브드래곤즈'를 오는 28일 출시한다는 소식을 알리며 기대감을 증폭시키고 있다.  

엔씨는 향후 출시되는 모든 게임의 글로벌 시장 동시 출시를 통해 글로벌 유저를 확보하고, 자사 대표 게임의 글로벌 버전 P2E 적용 등을 통해 글로벌 시장을 공략한다는 방침이다.

넥슨은 최근 ‘어벤저스:엔드게임’ ‘캡틴아메리카:시빌워’ 등을 만든 루소 형제의 ‘AGBO 스튜디오’에 약 4800억원 규모의 투자를 감행하며 자사 게임 IP를 활용한 콘텐츠 확장을 추진하고 있다.

넥슨의 행보 역시 남다르다. 지난 1월 ‘어벤저스:엔드게임’ ‘캡틴아메리카:시빌워’ 등을 만든 루소 형제의 ‘AGBO 스튜디오’에 약 4800억원 규모의 투자를 감행하며 게임IP 활용성을 높이는 파트너십을 구축한데 이어, 신작을 통한 게임 IP강화, 신기술 개발과 투자를 이어가며 시대 변화에 맞춘 전반적인 체질 개선에 나서고 있다.

카카오게임즈 역시 최근 자회사 프렌즈게임즈의 사명을 ‘메타보라’로 바꾸며 글로벌 블록체인 파트너사 참여 소식을 밝혔다. 카카오게임즈의 인사이트와 네트워크를 이른바 ‘보라 생태계’에 접목해 게임을 넘어 카카오 공동체와의 시너지를 발휘할 환경을 갖추겠다는 것이다. 이는 카카오게임즈가 지난해 12월 가상자산 ‘보라(BORA)’의 발행사인 웨이투빗을 인수 후 프렌즈게임즈와 합병한 것의 연장선이라 할 수 있다.

한편 ‘미르4’로 P2E 게임 이슈를 선점하며 지난해 높은 실적 개선을 기록한 위메이드는 올해 위믹스 플랫폼 100개 게임 온보딩(유통), 블록체인 디파이(DeFi, 달중앙화 금융) 서비스 확대, 블록체인 및 메타버스 기업 대상 전략적 투자 확대 등의 계획을 밝힌 바 있다.

황정호 기자

jhh@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AI포럼] 이건복 MS Digital & App Innovation 리드 “생성형 AI는 나와 상관없다고 생각하는 순간, 격차는 벌어집니다”

이건복 마이크로소프트 Digital & App Innovation 리드는 ‘생성형 AI 에이전트 기반 혁신’ 주제 발표를 통해 “생성형 AI가 나와 상관없다고 생각하는 순간, 격차는 이미 벌어지게 된다”며 “다양한 버티컬 산업에서 AI 기반의 대화형 서비스를 통해 코든 것이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으로 개편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음속으로 튜브를 달리는 ‘하이퍼루프’ 미래열차가 곧 출발합니다

우리 기업 포스코가 참여한 음속으로 튜브 속을 달리는 하이퍼루프 테스트 트랙이 네덜란드에서 개통됐다. 그동안 하이퍼루프는 ‘꿈의 기술’로 불리며 미래형 열차로 주목받았으나, 미국 기술의 실패로 좌절을 겪기도 했다. 그러나 유럽에서 가장 긴 하이퍼루프 테스트 트랙이 개통되면서 자기부상 기술과 진공관 운송 기술이 만난 ‘미래열차’의 실현이 가까워졌다.

[AI포럼] 이요한 서울대 보라매병원 교수 “수요자 입장에서 바라보는 의료 생성 AI의 조건”

‘Agile AI Forum(AI포럼)’의 마지막 3회차에서 특히 주목도가 높았던 것은 개발자 입장이 아닌 수요자 입장에서 의료에 적용되는 AI 기술의 방향성과 선결 과제를 언급한 이요한 서울대 보라매병원 정형외과 교수의 발표였다. KGIF(한국생성AI파운데이션) 부회장이기도 한 이 교수는 ‘생성AI와 Treatment algorithm’를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AI와 최상의 ‘맥주 맛’

과일 맛이 나는 램빅을 선호하든 복잡한 트라피스트 맥주를 선호하든 벨기에 맥주는 다양성, 품질 및 전통으로 오랫동안 유명해졌다. 이제 벨기에의 과학자들은 AI의 힘을 활용해 더 나은 맥주를 만들 수 있다고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