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리호, 오늘 18시 24분 발사 재시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하 항우연)은 어제 누리호 점검 과정에서 발생한 이상 상황에 대한 조치를 완료하고 오늘 18시 24분 누리호 3차 발사를 목표로 발사 운용 절차를 진행하기로 최종 결정하였다.

출처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오늘 개최된 '누리호 발사관리위원회'에서는 발사 준비 자동 제어 시스템과 발사대 장비 제어 시스템의 이상 상황에 대한 점검 및 조치 결과를 보고 받고 누리호 3차 발사 일시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항우연은 문제 발생 직후 원인 규명에 즉시 착수해 점검 결과 발사대의 헬륨 저장탱크와 지상장비 시스템을 제어하는 장치에서 명령어가 순차적으로 전달되지 않은 것을 확인하고, 해당 장치의 제어 프로그램을 수정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해당 수정 작업 완료 후, 여러 차례 반복 시험을 수행하는 과정을 거쳐 제어 프로그램이 안정적으로 작동함을 확인하였다. 발사관리위원회는 해당 점검 결과를 검토하여, 발사 재개가 가능하다고 판단하였다. 

누리호 발사관리위원회는 기술적 준비 상황을 종합적으로 재점검하고 기상 조건도 어제와 동일하게 안정적인 상태임을 확인하여 오늘 18시 24분에 누리호를 발사하기로 최종 결정하였다.

이에 따라 16시 경부터 추진제(연료, 산화제) 충전이 진행될 예정이며 17시 54분경 발사체 기립 장치가 철수되면 발사 10분 전부터 발사 자동 운용에 들어가게 된다.

당초 누리호는 24일 오후 6시 24분 발사를 앞두고 있었지만 기술적 문제(발사 제어컴퓨터와 발사대 설비를 제어하는 컴퓨터 간 통신 이상)가 발생해 발사가 전격 중단됐다.

윤소영 기자

ericahue@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나는 챗GPT와 결합하는 최초의 상용 휴머노이드”

최근 노르웨이 로봇업체 원엑스(1X)가 인간형 로봇(휴머노이드 로봇) ‘이브(Eve)’로 전세계의 주목을 한 몸에 받고 있다. 주목받는 더 큰 이유는 다른 데 있다. 이브가 오픈AI의 챗GPT와 결합해 상용화하는 최초의 인간형로봇(휴머노이드 로봇)이 될 것이란 예상 때문이다.

AI시대의 반도체···엔비디아형 vs 인텔형 희비 쌍곡선

엔비디아가 인공지능(AI)시대 흐름에 올라탄 반도체주 시장을 요동치게 만들었다. 이를 테면 엔비디아형(GPU 주도형)기업은 급상승세, 인텔(CPU주도)형은 급하락세를 보이며 극과 극을 달렸다. 지난...

누리호 탑재 차세대소형위성 2호 임무수행 순항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부)는 25일 오후 6시 24분 누리호에 실려 발사된 차세대소형위성 2호가 목표 궤도에 성공적으로 안착한데 이어, 한국과학기술원 인공위성연구소 지상국과의 양방향...

‘안 하면 나만 손해’, 아주 가까운 ‘헬스케어’ 기술들

[AI요약] 피트니스 추적부터 맞춤형 영양 지도와 질병 관리, 정신 건강에 이르기까지, 우리는 보다 건강한 생활방식을 위해 기술을 수용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