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쓰는 여행에서 돈 버는 여행으로… T2E 서비스 주목

여행 스타트업 트립비토즈가 업계 최초로 T2E (travel to earn) 서비스를 선보인다 (사진=트립비토즈)

게임을 즐기면서 돈을 번다는 개념으로 시작된 P2E는 다른 업종으로 확산되면서 그 형태가 세분화되고 있다. 가장 적극적인 건 운동과 접목한 M2E (move to earn)로 진화한 헬스케어 분야다.

걷는 만큼 돈을 버는 호주의 NFT 서비스 스테픈(StepN)이 대표적이다. 스테픈의 전 세계적인 인기에 힘입어 네이버, 컴투스 등 국내 빅테크 기업들도 M2E에 관심을 두기 시작했다.

음악업계는 L2E (like to earn)를 표방한다. SK스퀘어의 자회사이자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플로(FLO)의 운영사인 드림어스컴퍼니는 올해 상반기 중 누구나 크리에이터가 되어 콘텐츠를 만들어 올리는 오픈 플랫폼으로의 전환 계획을 밝혔다. 크리에이터와 팬덤의 커뮤니티 활성화를 통해 누구나 수익화 할 수 있는 L2E 생태계를 만들어 나가겠다는 것이다.

영상 기반 호텔 예약 플랫폼을 운영하는 여행 스타트업 트립비토즈는 여행업계 최초로 T2E (travel to earn) 기반 서비스를 선보인다. 여행자가 여행에서 찍은 동영상을 트립비토즈 앱에 공유한 뒤 다른 이들로부터 좋아요를 받을 때 마다 트립비토즈 생태계 내에서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는 트립캐시를 얻는 시스템이다.

트립비토즈의 프로덕트 기획을 총괄하고 있는 이용수 CPO는 "여행을 통해 메타버스 상의 전 세계 호텔과 도시를 점령하고 그에 따른 보상을 받는 T2E 요소가 강화된 신규 앱 런칭을 올여름 앞두고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여행을 사랑하는 전 세계인들에게 한층 더 다양한 보상을 제공할 것을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조인숙 기자

aloha@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티맵 '훈훈' 이벤트…대리기사 대상 최대 10만 포인트 추가 지급·기상 연계 운행수익 보너스 혜택 확대

티맵모빌리티(이하 티맵)은 연말 추위 속 고군분투하는 대리운전 기사들을 위해 다양한 연말 이벤트를 마련했다고 8일 밝혔다. 우선 주행 실적에 따라 편의기능과...

송승재 라이프시맨틱스 대표이사, ‘국회의장 공로장’ 수상

디지털헬스케어 전문 기업 라이프시맨틱스의 송승재 대표이사가 국회의장 공로상을 수상했다. 라이프시맨틱스는 지난 5일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 엘타워에서 열린 ‘올해의 벤처상’ 행사에서...

삼쩜삼, ‘삼쩜삼뱅크’로 4번째 인터넷전문은행 도전

세금 신고·환급 도움 서비스 ‘삼쩜삼’을 운영하는 자비스앤빌런즈가 4번째 인터넷전문은행을 추진한다고 6일 밝혔다. 가칭 ‘삼쩜삼뱅크’는 소상공인과 N잡러를 대상으로 하며, 지난 3년간 삼쩜삼 운영으로 체감한 노동 환경의 극적인 변화를 4번째 인터넷전문은행인 ‘삼쩜삼뱅크’에 적용, 새로운 금융 시스템을 통해 세금에 이어 금융에서도 사각지대를 없애겠다는 방침이다. 자비스앤빌런즈 삼쩜삼뱅크는 1금융권에서 금융 혜택을 받는 근로소득자나 사업자는 물론 근로소득을 유지하면서 개인 사업을 운영하거나 파트타이머, 프리랜서 등 다양한 형태로 진화하고 있는 N잡러를 주요 대상으로 보고 있다. 소상공인 및 자영업자 등 개인 사업자도 포함된다. 혜택을 받지 못했던 고객들을 안정적이 제도적 금융 시스템으로 유입시킴으로써 기존 금융권과의 차별화를 꾀하겠다는 전략이다. 20년 5월 삼쩜삼 서비스를 처음 선보인 자비스앤빌런즈는 지난 3년간 세무 영역에서 사각지대에 있던 고객들의 세금 신고 및 환급을 도왔다. 이를 통해 1,800만 명의 고객을 모았으며, 누적 환급액은 9,099억 원을 기록하는 등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뤘다. 무엇보다 서비스 초기에는 2030세대의 관심이 집중되었으나 최근에는 5060세대가 전체 고객의 16%를 차지하고 21년 이후...

권준혁 드롭박스 한국 담당 이사 “AI 툴 사용 필수 시대, 제조·리테일·미디어 워크플로우 개선에 집중할 것”

글로벌 시장을 대상으로 워크플로우 혁신 및 업무 효율성을 강화하는 협업 플랫폼을 제공하고 있는 드롭박스가 5일 올 한해 성과를 바탕으로 AI 기술을 도입한 제품을 내세우며 내년도 한국 시장 전략을 공개했다. 이날 테크42와 만난 권준혁 드롭박스 한국 엔터프라이즈 비즈니스 및 파트너 세일즈 리드(이하 한국 담당 이사)는 “올 한해 가장 큰 성과는 드롭박스의 서비스가 엔터프라이즈 시장으로 확대됐다는 점”이라며 말문을 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