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팅부터 일상까지 리프레이밍 법칙 적용하기

리프레이밍(Re-framing)이라는 말을 많이 들어봤을꺼다.

리프레이밍의 사전적의미는 프레이밍(Framing)을 다시(Re-) 하는 것을 말한다.

해당 단어를 조금 더 쉽게 풀어보자면, 프레이밍(Frame)은 '액자, 테두리'를 의미한다. 그래서 사람들이 가진 기본적인 생각과 관념 등을 의미한다.

프레임(Frame)은 어떤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기본적인 사고방식과 생각의 틀 , 즉 고정관념? 사고방식? 정도로 이해하면 된다.

사람들은 각작의 프레이밍(고정관념) 을 가지고 살아가기 때문에, 사람들을 변화를 원한다면 '리프레이밍' 이라는 작업이 필요하다.

대표적으로 리프레이밍은 보통 소비자의 심리와 사고의 틀을 전환하기 위해 기업들이 마케팅 기법으로 많이 활용된다. 또는 심리치료 부분에서 사람들을 치료하기 위해 리프레이밍 훈련을 한다.

심리학에서 '물구나무서기 방법' 이라고도 불리는 리프레이밍은 가족치료에서 비롯되었다. 사건을 완전히 다른관점에서 바라보면서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는 방식이다.

별볼일 없는 그림이라도 럭셔리한 액자의 테두리를 바꾸는 것만으로도 작품의 가치가 달라보이는 거서럼 지금까지의 낡은 테두리를 버리는 '틀 바꾸기' 는 우리에게 새로운 시각과 새로운 일상이 열리게 해줄것이다.

재미있는 리프레이밍 방식을 활용한 회사는 오티스엘레베이터가 있다. 당시 엘레베이터 속도가 느리다는 불만접수가 많았고 ~ 기술로는 빠르게 해결하기 어려운 오티스는 엘베 안에 날씬하게 보이는 거울을 크게 걸어놨다. 사람들은 그 거울을 보느라 엘베의 속도가 느리다는 불만접수는 전보다 적어진 효과를 보았다.

이처럼 리프레이밍을 통해 비용이나 기술적인 문제 해결이 아니더라도 다양한 솔루션을 만들어낼수 있다.

본 글의 원문은 여기에서 볼 수 있습니다.

장창

tech42@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변화하는 다이소에서 프라이마크향이 느껴진 거야

예전에 다이소가 코로나 팬데믹 때 경험으로 인해, 오프라인 중심의 판매 채널을 온라인까지 확장하는 노력을 하고 있다고 전해 드린 바 있습니다. 이미 유통산업의 주도권이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넘어간 지 오래이고, 앞으로도 이러한 흐름은 지속될 거란 걸 알았기 때문인데요. 이제 오프라인 매장은 접근성 하나에 기대어 고객을 모으던 관행에서 벗어나, 반드시 방문해야 할 이유를 제시해야만 살아남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다이소의 대형화 전략은 바로 이러한 배경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인간을 닮은 인공지능도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

지금의 인공지능은 이러한 언어구사 능력 이외에도 문제를 해결하고 상대방의 기분을 파악하며 데이터를 기억해 대화를 진행하는 능력을 갖고 있습니다. 사람들은 어떠한 문제를 경험했을 때 이를 해결하고자 골똘히 생각을 합니다. 여러 가지 방법을 고민한 끝에 몇 가지 방안을 찾아 이를 해결하고자 합니다.

구글이 은밀한 광고 단가 조정을 인정했다

구글이 은밀하게 10%까지 광고 단가 조정을 인정했다고 Search Engine Land가 19일(현지 시간) 보도했다. 구글은 검색 광고를 판매할 때 평균적인 광고주에...

커머스 관점으로 바라본 2023 키아프·프리즈

새로운 커머스 전장이 된 아트페어, 앞으로 우리가 주목해야 할 점은 새로운 각축장, 아트페어 지난 9월 10일을 끝으로, 서울을 뜨겁게 달궜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