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시장에 진심" 솔라나 웹3 전용 스마트폰 선보인다

[AI요약] 솔라나가 '사가(Saga)'라는 이름의 웹3 기반 스마트폰을 출시한다. 6.67인치 안드로이드폰에 솔라나 블록체인과 디앱 지원, 지갑 통합, 디앱 스토어가 내장된 것이 특징이다. 솔라나랩스은 사가 폰 지원과 디앱 개발 촉진을 위해 약 13억달러 규모의 펀드, 그리고 모바일(Solana Mobile)이라는 자회사를 설립했다.

솔라나랩스가 발표한 사가(Saga) 스마트폰 (사진=솔라나랩스)

솔라나(SOL) 블록체인을 개발하는 솔라나랩스가 23일(이하 현지시간) '사가(Saga)'라는 이름으로 웹3(Web 3.0)) 기반 스마트폰을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솔라나랩스이 모바일 기기 개발사 오솜(Osom)과 협력해 개발한 솔라나 사가 폰은 안드로이드 OS를 사용하는 스마트폰으로 6.67인치 120Hz OLED 디스플레이와 512GB 저장용량, 12GB 램을 갖추고 있다. 핵심 칩은 퀄컴의 최신 스냅드래곤 8 플러스 젠1 칩으로 구동되며, 후면에는 500만화소 및 1200만화소 듀얼 카메라가 장착됐다.

솔라나랩스은 사가 폰을 암호화폐 관리에 최적화된 스마트폰으로 정의했다. 솔라나 사가 폰은 팬텀월렛 등 솔라나 블록체인에 기반한 디앱(dApp) 지원, NFT 거래용 앱과 NFT 마켓플레이스 앱, 암호화폐 거래소 오르카 앱 등이 사전 내장됐다.

원활한 디앱 지원을 위해 사가 폰에서 실행되는 개방형 디앱 스토어인 '솔라나 모바일 스택'(Solana Mobile Stack)이 설치됐다. 이를 통해 앱 수수료 없이 솔라나 기반 앱과 소프트웨어를 손쉽게 설치하고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기본적으로 안드로이드폰인 만큼 구글 플레이 스토어를 통한 안드로이드 앱 설치도 물론 가능하다.

아나톨리 야코벤코 솔라나 창시자는 사가 폰을 일컬어 "암호화폐가 모바일로 이동하는 변화된 시장의 흐름에 맞춰 개발된 제품"이라면서 "사가 폰을 통해 암호화폐 관리와 NFT 거래를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실행할 수 있다. 디지털 자산 관리를 스스로 하고자 하는 하드코어 이용자를 위한 스마트폰"이라고 설명했다.

솔라나 사가 폰이 최초의 암호화폐 스마트폰은 아니다. 오솜은 과거에도 에센셜 폰 시리즈를 통해 암호화폐와 보안 관리에 최적화된 스마트폰 제품을 선보인 바 있다. 사가 폰의 시판 가격은 1000달러이며 23일부터 미국과 캐나다, 영국에서 사전 예약 구매가 시작된다. 실제 제품 배송은 내년인 2023년 1분기 중으로 이뤄질 예정이다.

솔라나랩스은 사가 폰 지원과 디앱 개발 촉진을 위해 약 13억달러(약 1조6800억원) 규모의 펀드, 그리고 모바일(Solana Mobile)이라는 자회사를 설립했다. 단순한 외부 제휴에 의한 이벤트성 제품이 아닌 스마트폰 시장에 진심이라는 의지의 표명이기도 하다. 솔라나 모바일을 통해 지속적으로 모바일 앱 시장과 디앱 생태계 조성에 나선다는 것이 솔라나랩스의 목표다.

추현우 기자

goodgle@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인터뷰]-2편- 강지호 앤틀러 코리아 대표 파트너, “다음 세대 유니콘을 이끌 창업자를 발굴하고 있습니다”

앞서 강지호 대표는 스스로를 제품 기획 전문가라며 앤틀러 코리아가 진행하는 프로그램을 ‘제품을 설계하는 관점’으로 접근한다고 이야기했다. 파운더들을 서비스 이용자로 보고, 이들이 강한 스타트업이 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설계했다는 것이다. 여기에는 그 스스로 여러 차례의 창업을 통해 실패와 성공을 모두 거친 경험이 녹아들어가 있다. 그렇다면 평생 창업가로서의 삶을 살아왔던 그가 글로벌 VC인 앤틀러의 새로운 시도에 동참한 이유는 무엇일까?

머스크와 석학들, 폭주기관차 같은 AI 막자···AI 통제 촉구 향배는?

“챗GPT-4보다 더 똑똑한 인공지능(AI) 개발(AI 훈련)을 6개월 간 중단해야 한다. 이 중단은 공개적이고 검증 가능해야 하며 모든 주요 행위자를 포함해야 한다.” AI기반 챗GPT4가 세계적으로 선풍적 인기를 얻고 있는 가운데 ‘AI에 대한 통제력 상실’을 우려한 AI 비평가와 석학 1000여명이 AI 개발을 6개월 간 중단할 것을 요구하는 공개서한을발표했다.

‘검색의 왕’ 구글의 AI 챗봇 ‘바드’ 사용법

IT업계 이슈를 휩쓸고 있는 오픈AI의 ‘챗GPT’에 대응하기 위해 구글이 내놓은 AI 챗봇 ‘바드’가 혹평 속에서 논란이 되고 있다. 이번에는 바드가 챗GPT의 데이터를 통해 학습됐다는 것이다. AI 중심의 광고 사업으로 업계 재편을 원하는 마이크로소프트와 ‘검색의 왕’ 지위에 맞게 왕좌를 지키려는 구글의 AI기술 전쟁이 본격화됐다.

[인터뷰] -1편- 강지호 앤틀러 코리아 대표 파트너, “성과를 내는 스타트업이 되기 위한 조건은?”

앤틀러 코리아는 한국에 처음 시도된 1기 배치 프로그램의 성과를 바탕으로 이달 초 2기 배치 프로그램을 가동하고 있다. 1기의 성공 사례가 알려진 만큼 2기에 참여하는 창업가들의 열기는 더욱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그런 그들과 현장에서 함께 부대끼며 호흡하고 시행착오를 줄여주기 위해 노력하는 앤틀러 코리아 사람들의 중심에는 강지호·정사은 대표 파트너(지사장)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