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릎 관절염 환자에 희소식···전기 임플랜트로 연골 재생 성공

미국 코네티컷대 과학자들이 무릎 골관절염 환자의 관절에 임플랜트를 시술해 이들이 관절을 주기적으로 움직일 때 미세한 전기장을 발생시켜 연골이 새로이 나도록 유도하는 실험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토끼를 이용해 이러한 결과를 확인한 코네티컷대 탄 응우옌(왼쪽)과 양 류. (사진=코네티컷대)

미국 코네티컷대 과학자들은 관절염 환자의 손상된 무릎 관절에 작은 망사를 이식해 전류를 발생시킴으로써 새로운 연골의 성장을 촉진할 수 있었다고 17일(현지시각) 이 대학 신문을 통해 발표했다.

실제로 이 대학 과학자들은 이 장치를 사용해 토끼 무릎 연골을 재생시키는 실험에 성공했다

골관절염은 전세계 노령층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관절염이다. 이 병은 사람의 관절이 손상되어 발생하는 흔하고 고통스러운 질병이다. 보통 연골의 패드가 이 부분들을 완충시키지만 부상이나 나이가 들면 닳을 수 있다. 연골이 닳으면서 관절 뼈와 뼈가 닿기 시작하고 걷기 등의 일상적인 활동은 끔찍한 통증을 유발할 수 있기에 새로운 연골의 성장은 통증을 줄이는 열쇠가 된다.

따라서 이번 성과는 전 세계의 최소 수천만명 이상 관절염 환자의 정상적 보행을 되살려 줄 해결책이 될 수 있다.

코네티컷대의 두 생명공학자는 관절이 압력을 느낄 때 압전(piezoelectricity)으로 알려진 작은 전류를 발생시키는 약 0.5mm 두께의 작은 그물망 이식물(임플랜트)을 개발했고 이를 토끼관절에 적용해 효과를 입증했다. 이들은 실험에서 토끼 무릎의 연골을 재생시키는데 성공했는데 이는 관절염에 걸린 인간의 관절 치유의 길을 열어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기에 충분하다. (맨 아래 동영상 참조)

이 임플란트를 관절염 환자에 시술해 정기적인 관절 움직임으로 임플란트가 전기장을 생성함으로써 세포가 임플란트를 끌어들여 새로운 연골로 성장하도록 유도한다는 것이다.

무릎 연골이 닳은 환자들의 연골이 자라날 수 있도록 자극하는 전류 발생 이식물(임플랜트). 관절염은 관절 내 표면이 손상됐을 때 발생하는 질환이다. 뼈 양끝을 완충시켜 보호해 주는 연골이 시간이 지나면서 닳아 생긴다. (사진=탄 응우옌, 코네티컷대)

이 연구는 코네티컷대 생명공학자인 탄 응우옌에 의해 주도돼 왔는데 그는 인간에 대한 실험으로 나아가는 데 조심스럽다고 말한다.

응우옌은 “이것은 매우 흥미로운 결과지만 우리는 사람에 가까운 크기와 무게를 가진 더 큰 동물에게 이것을 실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 기술이 임상시험을 통과한다면 전세계 노년층에 가장 흔한 관절염 유형인 골관절염을 앓는 수많은 환자들의 고통을 덜어줄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현재까지 알려진 가장 좋은 치료법은 손상된 연골을 신체의 다른 곳에서, 때로는 기증자로부터 채취한 건강한 조각으로 대체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이 건강한 연골이 환자 자신의 것이라면 이식을 위해 연골을 떼어 낸 신체 다른 부위에 상처가 날 수 있다. 다른 사람에게서 기증 받은 것이라면 환자의 면역 체계는 그것을 거부할 수도 있다.

응옌은 기존의 2가지 접근법, 즉 골관절염의 통증을 완화하기 위해 화학적 성장인자를 증폭시킴으로써 신체가 스스로 연골을 성장하도록 유도하는 연구나 생체 공학적 뼈대에 의존하는 접근법 가운데 어느 것도 효과가 없다고 말한다. 심지어 그 둘을 결합해도 소용없다고 덧붙였다.

이재구 기자

jklee@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인터뷰]-2편- 강지호 앤틀러 코리아 대표 파트너, “다음 세대 유니콘을 이끌 창업자를 발굴하고 있습니다”

앞서 강지호 대표는 스스로를 제품 기획 전문가라며 앤틀러 코리아가 진행하는 프로그램을 ‘제품을 설계하는 관점’으로 접근한다고 이야기했다. 파운더들을 서비스 이용자로 보고, 이들이 강한 스타트업이 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설계했다는 것이다. 여기에는 그 스스로 여러 차례의 창업을 통해 실패와 성공을 모두 거친 경험이 녹아들어가 있다. 그렇다면 평생 창업가로서의 삶을 살아왔던 그가 글로벌 VC인 앤틀러의 새로운 시도에 동참한 이유는 무엇일까?

머스크와 석학들, 폭주기관차 같은 AI 막자···AI 통제 촉구 향배는?

“챗GPT-4보다 더 똑똑한 인공지능(AI) 개발(AI 훈련)을 6개월 간 중단해야 한다. 이 중단은 공개적이고 검증 가능해야 하며 모든 주요 행위자를 포함해야 한다.” AI기반 챗GPT4가 세계적으로 선풍적 인기를 얻고 있는 가운데 ‘AI에 대한 통제력 상실’을 우려한 AI 비평가와 석학 1000여명이 AI 개발을 6개월 간 중단할 것을 요구하는 공개서한을발표했다.

‘검색의 왕’ 구글의 AI 챗봇 ‘바드’ 사용법

IT업계 이슈를 휩쓸고 있는 오픈AI의 ‘챗GPT’에 대응하기 위해 구글이 내놓은 AI 챗봇 ‘바드’가 혹평 속에서 논란이 되고 있다. 이번에는 바드가 챗GPT의 데이터를 통해 학습됐다는 것이다. AI 중심의 광고 사업으로 업계 재편을 원하는 마이크로소프트와 ‘검색의 왕’ 지위에 맞게 왕좌를 지키려는 구글의 AI기술 전쟁이 본격화됐다.

[인터뷰] -1편- 강지호 앤틀러 코리아 대표 파트너, “성과를 내는 스타트업이 되기 위한 조건은?”

앤틀러 코리아는 한국에 처음 시도된 1기 배치 프로그램의 성과를 바탕으로 이달 초 2기 배치 프로그램을 가동하고 있다. 1기의 성공 사례가 알려진 만큼 2기에 참여하는 창업가들의 열기는 더욱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그런 그들과 현장에서 함께 부대끼며 호흡하고 시행착오를 줄여주기 위해 노력하는 앤틀러 코리아 사람들의 중심에는 강지호·정사은 대표 파트너(지사장)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