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벽배송 1위 ‘마켓컬리’ 드디어 IPO 첫발...e커머스 국내 1호

[AI 요약] 신선식품 새벽배송기업인 ‘마켓컬리’ 운영사 컬리가 기업공개(IPO)에 나선다. 당초 올 초를 목표로 국내 e커머스 1호 상장을 추진해왔다. 컬리의 상장 성공은 유통 플랫폼 기업들의 기업공개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미 SSG닷컴과 오아시스마켓도 IPO를 준비 중이다.

마켓컬리를 운영하는 컬리는 지난 28일 유가증권시장(KOSPI) 상장을 위한 예비심사신청서를 한국거래소에 제출, 본격적인 IPO 절차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쿠팡이 미국 뉴욕증시에 입성한 데 이어 올해엔 컬리, SSG닷컴, 오아시스 등이 국내 상장을 예고한 바 있고, 그 중 컬리가 첫 타자다. 컬리의 상장 성공 여부에 따라 온라인 유통 플랫폼 기업들이 IPO에 몰릴 것으로 보고 있다.

상장 방식은 ‘유니콘 기업 특례 요건’을 통한다. 유니콘 기업 특례 요건은 시가총액 1조원 이상인 기업이 성장성을 인정받으면 적자가 나도 상장이 가능하도록 허용해주는 제도다. 지난해까지 누적 영업적자가 5000억원에 달한 컬리는 원래 기준대로면 상장이 불가능했다. 하지만 지난해 거래소가 유니콘 기업 특례 요건을 신설하면서 가능해졌다. 컬리보다 앞서 지난 1월 차량공유 플랫폼인 쏘카가 이 요건으로 상장 예비심사를 청구한 바 있다.

이르면 6월 코스피 상장...김슬아 대표 지분가치 3000

새벽배송 업계 1위 마켓컬리 운영사 컬리가 IPO에 나섰다 (이미지=마켓컬리 홈페이지 캡처)

업계는 컬리가 작년 말부터 상장을 준비한 만큼 이르면 오는 6~7월 거래소의 승인을 받을 것으로 보고 있다. 예비심사는 최소 45영업일이 걸린다. 심사 과정에서 큰 문제가 없다면 3분기 유가증권시장에 입성할 수 있다.

컬리가 기업공개를 통해 조달하는 자금은 1조원 가량이다. 예상 공모가(9만~13만원)를 기준으로 시총이 4조원대 후반에서 6조원대로 예상된다. 상장 후 창업자인 김슬아 대표의 지분가치는 3000억원대가 될 것으로 추정된다.

컬리는 당초 올 초 상장을 목표로 NH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JP모건을 대표 주관사로 선정하고 국내 e커머스 1호 상장을 추진해왔다. 하지만 김슬아 대표의 낮은 지분율 등과 관련 거래소와 협의가 길어지면서 일정이 지연됐다. 거래소는 김 대표 지분율이 6.67% 수준으로 낮은 만큼 우호 지분을 20% 이상 확보할 것을 권고했다.

이에 김 대표는 재무적투자자(FI)들로부터 우호지분을 확보하고 보호예수기간 2년 설정 등에 대해 협의를 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대표 지분은 상장 후 3년간 매각하지 않기로 했다.

컬리는 지난해 총 거래액 2조원을 달성했다. 이는 2020년 대비 65% 성장한 수치다. 가입 고객 수 또한 43% 증가해 1000만명을 돌파했다. 지난해 매출은 2020년 대비 64% 증가한 1조5614억원을 기록했다. 그러나 영업적자는 2177억원으로 2020년 대비 약 두 배로 증가했다. 적자 원인으로는 물류 인프라 및 인력 충원을 위한 투자 등이 꼽혔다.

컬리 이어 유통 플랫폼 줄줄이 상장할 듯

컬리의 상장 성공은 유통 플랫폼 기업들의 기업공개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미 SSG닷컴과 오아시스마켓도 IPO를 준비 중이다. 다만 올 들어 공모주 시장이 침체해 기업가치를 높게 평가받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SSG닷컴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대표 주간사를 선정한 이후, 상장 예비심사 청구 일정을 조율 중이다. SSG닷컴 상장 시 ‘몸값’은 컬리보다 높은 10조원대에 이를 것으로 보고 있다. 모기업인 이마트 시가 총액(4조원)과 신세계 시가 총액(2조3000억원)을 뛰어넘는다. 업계에서는 SSG닷컴 상장 이후 신세계그룹의 성장 동력이 온라인으로 바뀔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오아시스마켓은 지난해 3570억원의 매출액을 달성, 2011년 창립 이래 최대 실적을 거뒀다. 영업이익은 57억원으로 2020년 97억원 대비 감소했으나, 지속 흑자 경영을 유지 하고 있다. 지난 달 홈앤쇼핑으로부터 100억원 규모 투자를 유치할 당시 기업가치 1조200억원을 인정받았다. 오아시스마켓은 4~5개월 후에 IPO를 진행할 계획이다.

조인숙 기자

aloha@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마침내 발표한 사이버트럭 제 무덤 팠다?···결정적 기회 놓쳤다

테슬라에게 가장 아프게 다가온 평가는 아마도 사이버 트럭 발표가 우크라이나 전쟁이나 하마스 전쟁과 관련한 그의 반 유대인 실언을 덮지 못했다는 평가일 것이다. 그만큼 사이버트럭의 화제성이 떨어졌다는 얘기일 테니까. 사이버 트럭 발표까지의 상황, 지연을 가져온 약점, 차량 가격, 양산 이슈, 투자분석가들이 내놓은 테슬라에 미칠 영향과 미래 분석 내용 등을 함께 살펴본다.

여기, 우리의 관심이 간절한 ‘세계 최고의 부자’

일론 머스크가 ‘세계 최고의 부자’ 타이틀을 넘어 대중적으로 인정받는 ‘지식인’으로서의 입지를 다지고자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최근 X 플랫폼에 광고를 중단한 대형 광고주들을 상대로 막말을 하고 반유대주의 논란 후 이스라엘을 방문을 하는 등 기행처럼 보이는 행보도 결국 대중의 관심을 끌고자하는 그의 노림수라는 지적이다.

애플·구글 선정 ‘올해의 앱’ 놀랍게도 ‘챗GPT’는 아닙니다

애플은 하이킹 및 라이딩을 도와주는 ‘AllTrails’를 올해 아이폰 최고의 앱으로 선정했다. 구글은 교육용 앱인 ‘Imprint: Learn Visually’를 구글플레이 최고의 앱으로 선정했다. 특히 애플과 구글은 올해의 게임을 선정하기로 합의했으며, 모두 ‘Honkai: Star Rail’을 우승자로 꼽았다.

‘2023 Sheventures 데모데이’ 현장… “여성 스타트업 CEO가 떴다”

잔뜩 긴장한 표정이 역력한 여성 CEO들이 데모데이 무대에 올랐다. 하지만 어색함도 잠시, 이내 눈빛이 바뀌며 자신감에 찬 목소리로 자사의 비즈니스 모델과 사업성을 이야기한다. 이제 막 엑셀레이팅 프로그램을 거친 뒤라 서툰 부분도 조금씩 엿보였지만, 그 가능성 만큼은 확인할 수 있는 순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