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택이 아닌 필수, 이제는 ESG 2.0이다

[AI요약] 2020년 정부의 ‘탄소중립 선언’ 이후 기업의 온실가스 저감 등 환경에 초점이 맞춰졌던 ESG가 최근 비즈니스와 재무제표에 투영되는 구조로 전환되며 2.0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이제 모든 기업들에게 ESG는 지속 가능한 경영을 위해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된 것이다. 사회적 책임을 고려한 기업 활동과 투자 방식이 부각되며 이미 세계적으로 많은 금융기관에서 ESG 평가를 적용하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많은 기업들이 이제는 ESG에 대한 관점을 비용이 아닌 투자로 보기 시작했다. 큰 틀에서는 탄소 배출을 피할 수 없었던 산업 구조의 친환경 전환도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그 외에도 올해는 세계적으로 환경문제를 넘어 프리랜서 임시직 등 비정규직 노동자(gig worker) 문제가 ESG와 연계돼 주요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국내 전문가들도 올해 ESG 이슈에 대해 환경 문제와 더불어 기업들의 협력사, 노동자들에 대한 대처가 중요한 비재무적 가치로 평가받을 것이라는 지적을 하고 있다.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가 조합된 단어인 ESG는 이제 환경을 넘어 사회적책임이 기업활동과 투자자의 투자 의사 결정에 중요한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됐다. (이미지=픽사베이)

2020년 정부의 ‘탄소중립 선언’ 이후 기업의 온실가스 저감 등 환경에 초점이 맞춰졌던 ESG가 최근 비즈니스와 재무제표에 투영되는 구조로 전환되며 2.0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이제 모든 기업들에게 ESG는 지속 가능한 경영을 위해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된 것이다.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가 조합된 단어인 ESG는 도입 초기, 기업의 재무적 요소와 함께 투자 의사 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비재무적 요소로 부각됐다.

이후 ESG는 기업의 경영활동이 환경을 비롯해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시대를 맞이하며 재무적 성과만을 우선시 하던 과거를 벗어나 장기적 관점에서 기업 가치와 지속가능성에 적잖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기업의 ESG 성과를 반영한 사회책임투자(SRI)는 투자자들의 장기적인 투자 동기로 작용, 기업이 사회 공동의 이익을 위해 나서게 하는 동력이 되고 있다.

이렇듯 사회적 책임을 고려한 투자 방식과 그에 따른 기업 활동이 부각되며 이미 세계적으로 많은 금융기관에서 ESG 평가를 적용하고 있다. 2000년 처음 이를 도입한 영국을 비롯해 스웨덴, 독일, 캐나다, 벨기에 프랑스 등이 연기금을 중심으로 ESG 정보 공시 의무제도를 도입했고 UN은 2006년 유엔책임투자원칙(UNPRI)을 통해 ESG 이슈를 고려한 사회책임투자를 권장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최대 화두가 된 ESG, 이유는?

우리나라는 2020년 탄소중립을 선언하고, 세계에서 14번째로 탄소중립·녹색성장기본법을 제정하며 빠른 속도로 에너지 전환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이미지=픽사베이)

ESG에 대한 본격적인 관심은 2015년 유엔 기후변화회의에서 채택된 파리협정이 2016년 11월 4일부터 포괄적으로 적용되는 국제법으로서 효력을 발휘하면서부터 시작됐다. 초기 환경오염 방지 노력에 초점이 맞춰진 ESG로 인해 세계 각국은 자발적인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수립하고 이를 준수하고자 노력해 왔다.

우리나라 역시 지난 2020년 10월 문재인 대통령이 국회 시정연설에서 ‘2050년 탄소중립’을 선언하고 그해 ‘2050 대한민국 탄소중립 비전’을 발표하며 제도적인 기반 마련에 힘쓰고 있다. 파리협정의 참가국으로서 이전 정부부터 이어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를 재확인한 것이다. 이어 지난해 5월에는 대통령 직속 ‘2050 탄소중립위원회’가 출범했고, 8월에는 세계에서 14번째로 탄소중립·녹색성장기본법이 국회를 통과하기도 했다.

화석연료 절감과 재생에너지 비율 확대는 이러한 노력의 일환을 추진되는 에너지 전환 사업이다. 문제는 그 과정에서 적지 않은 비용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에너지 전환 비용 충당을 위해 전기요금 인상들이 뒤따르는 이유다.

산업 구조적으로도 이러한 변화에 발맞추기 위해서는 개별 기업의 온실가스 배출 저감을 위한 투자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러한 노력은 자발적으로 이뤄지는 것이 가장 좋지만, 기업들로서는 당장의 수익이 나지 않는 투자에 소극적일 수밖에 없다. 결국 지난해 1월 금융위원회는 오는 2025년부터 자산 총액 2조원 이상의 유가증권시장 상장사의 ESG 공시 의무화를 도입하고, 오는 2030년부터는 모든 코스피 상장사로 확대 적용하는 정책을 발표 하기에 이르렀다.

사실 우리나라는 2009년 이명박 정부 시절부터 2020년까지 우리나라의 온실가스 배출 전망치(BAU) 대비 30%를 감축하겠다는 목표를 세계에 공언했고, 2015년 박근혜 정부에서는 이를 다시 2030년까지 37% 감축하겠다는 NDC를 제출했다. 오락가락하던 감축 목표는 결국 앞서 언급된 탄소중립·녹색성장기본법을 통해 지난해 2030년까지 35% 이상 감축하는 것으로 법제화된 것이다.

비용에서 투자로 관점 전환, 기업들의 ESG 접근법 달라져

초기 정부 주도로 ESG 체계를 도입해야 하는 산업계에서는 불만이 표출되기도 했다. 하지만 코로나 19 상황을 거치며 ESG는 시대적 가치로 부상했고, 기업들 역시 이젠 ESG에 대한 관점을 비용이 아닌 투자로 보기 시작하고 있다. (이미지=픽사베이)

환경에 초점이 맞춰진 정부 주도의 ESG 적용에 대해 산업계는 ‘무리한 목표 설정’이라는 지적과 함께 ‘경영 상의 한계’를 이유로 불만을 표출하기도 했다. 하지만 코로나19 상황을 거치며 ESG는 시대적 가치로 부상했고, 기업의 가치 평가에도 수익성을 넘어 사회적 책임이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며 상황은 급변하고 있다.

‘피할 수 없으면 즐기라’는 말처럼 변화를 실감하고 있는 많은 기업들이 이제는 ESG에 대한 관점을 비용이 아닌 투자로 보기 시작한 것이다. 큰 틀에서는 탄소 배출을 피할 수 없었던 산업 구조의 친환경 전환도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기업들이 ESG 경영을 중시하기 시작한 또 다른 이유는 실제 성과로 연결되는 사례들이 점차 증가하는 것을 확인했기 때문이기도 하다. 국내 ESG 평가 기관 중 하나인 서스틴베스트가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ESG 최우수 등급인 AA와 A를 받은 기업이 코스피 평균 영업이익률보다 높은 영업이익률을 나타내고 있다.

덕분에 지난해 우리나라 산업계는 ESG 열풍이 불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하지만 한편으로 상당수의 기업들이 ESG를 일종의 트렌드에 맞춘 홍보 수단으로 활용하는 측면도 없지 않았다. 즉 ESG 경영을 내세우면서도 환경적인 관리는 고사하고 사회적책임, 지배구조 요소에서 수준에 미달하는 기업들이 여전히 적지 않다는 말이다.

글로벌 시장 진출에 필수불가결한 요소, 이젠 ESG 2.0

ESG가 기업들에게 필수불가결한 요소가 되고 있는 또 다른 이유는 세계 각국이 자국에 진출하는기업에서 인권과 환경에 부정적인 리스크가 발생하는 것을 기피하는 상황이 심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유럽연합(EU)의 경우 올해 자국 진출 기업의 사업 영역 뿐 아니라 직간접적 공급업체에서 발생하는 인권, 환경 관련 리스크까지 관리할 의무를 부과하는 공급망 실사법 도입이 예정돼 있다. 또 대부분의 글로벌 기업이 탄소중립을 선언하며 온실가스 감축과 관련해 기업간 요구도 강력해지는 추세다. 즉 글로벌 기업과 거래를 하기 위해서라도 ESG 기준을 충족해야 하는 상황이 도래한 셈이다.

특히 올해는 세계적으로 환경문제를 넘어 프리랜서 임시직 등 비정규직 노동자(gig worker) 문제가 ESG와 연계돼 주요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미국 비영리단체 저스트 캐피털이 올해 실시한 ESG 지표다. 이 단체는 ESG 요소인 환경, 사회적책임, 지배구조 측면에서 미국 기업을 대상으로 순위를 매겼는데, 공유경제의 대표 모델로 손꼽히던 우버(Uber)가 비정규직 노동자 비율이 많은 등의 문제로 100위에서 탈락한 것이다. 반면 글로벌 간편결제 기업인 페이팔(PayPal)은 노동자들의 가처분 소득을 높여 회복력과 생산성 등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쳤다는 이유로 6위를 기록했다.

ESG 1.0이 환경 측면에서 ESG 체계에 대응하기 위한 기업들의 사업 구조, 경영 방식의 변화 단계였다면 ESG 2.0은 사회적책임 이행을 통한 기회 창출 단계라 할 수 있다. (이미지=픽사베이)

이렇듯 ESG 요소에서 환경을 넘어 사회적책임이 부각되는 것을 두고 전문가들은 이를 ‘ESG 2.0’ 시대에 진입하는 과정으로 설명하기도 한다. ESG 1.0이 환경 측면에서 ESG 체계에 대응하기 위한 기업들의 사업 구조, 경영 방식의 변화 단계였다면 ESG 2.0은 사회적책임 이행을 통한 기회 창출 단계라는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올해는 ‘ESG 워싱에 대한 규제 및 감독 강화’ 또한 주요 이슈로 부각될 전망이다. ‘ESG 워싱’이란 환경, 사회, 지배구조의 각 ESG 지표에 대한 개선을 실제 이행하지 않으며 하는 것처럼 위장하는 기업 행태를 의미한다.

앞서 ESG 지표에서 환경 요소가 부각될 당시에 지적됐던 ‘그린 워싱’도 같은 맥락이다. 문제는 이러한 ESG 워싱에 대해 지난해 프랑스가 벌금 규제를 도입한데 이어 올해는 영국이 소비자 피해배상과 형벌 규정을 적용하는 등 강력한 단속에 돌입하고 있다는 점이다. 우리나라 역시도 ‘한국형 녹색분류체계’가 도입돼 시범 운영된다.

글로벌 금융정보기관인 MSCI(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네셔널)에서 발표한 ‘2022년 ESG 트렌드’는 기후 최우선, ESG 주류화, 새로운 위험과 기회 등 3가지 테마로 올해 ESG 확대를 전망하고 있다.

국내 전문가들도 올해 ESG 이슈에 대해 환경 문제와 더불어 기업들의 협력사, 노동자들에 대한 대처가 중요한 비재무적 가치로 평가받을 것이라는 지적을 하고 있다.

이와 함께 부각되는 것이 ‘공정전환’이다. 공정전환은 사업 구조 변화 속에 부득이하게 발생하는 노동자들의 실업을 외면하지 않고 새로운 일자리 전환을 지원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요구는 기업은 물론 정부 기관에도 해당되는 기준이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 역시 우리 사회는 숨가쁜 변화가 이어질 전망이다. 그 과정에서 과연 우리나라 기업들은 이러한 ESG 2.0에 얼마나 잘 대응할 수 있을까? 이러한 측면에서 봤을 때 지속적으로 제기되는 비정규직 문제, 위험의 외주화, 골목상권 침해 논란, 플랫폼 노동자 문제 등 기업들이 해결해야 할 숙제는 한두 가지가 아니다.

황정호 기자

jhh@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모르면 손해! 3억 구독자 등에 업은 ‘넷플릭스 무료게임’ 최신 리스트

넷플릭스가 넷플릭스게임즈를 키우기 위해 에픽게임즈의 인재를 영입하면서 곧 기업에 상당한 움직임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올해 초 넷플릭스게임즈는 2024년 로드맵을 발표했으며, 여기에는 스트리밍 플랫폼을 통해 액세스할 수 있는 최대 14개의 새로운 게임이 포함돼 있다.

도대체 왜?···머스크의 트럼프 지지 속내 3가지

일론 머스크는 트럼프가 미 대통령에 당선되더라도 바이든 행정부에서 겪은 푸대접 대신 오히려 최소 3가지 이익을 기대하며 그를 지지했을 것으로 보인다. (물론 기본적으로 머스크는 트럼프와 ‘배짱이 맞아서’ 지지했을 것이다.) 그 3가지는 ▲바이든 행정부의 전기차 보조금 공제법 폐지시에도 자사의 보급경 전기차(모델 3)는 경쟁력있다는 점 ▲바이든 행정부가 머스크와 테슬라에 보인 푸대접을 더 이상 받지 않을 것이라는 점 ▲바이든 행정부가 테슬라 자율주행 기술을 예의주시하며 잠재적으로 증권과 전신 사기 혐의로 이어질 수 있는 조사 개시를 회피할 수 있으리란 기대감이다.

[AGI 콘퍼런스 2024] 김동신 센드버드 대표 “AI 챗봇 서비스 도입의 목적은 개인화된 고객 커뮤니케이션 자동화, 사용자 경험 극대화입니다”

김동신 센드버드 대표는 “바퀴를 재발명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AI 서비스 개발 시 이런저런 시도로 시행착오를 거치는 과정이 불가피하지만 결국 ‘사업적 성과’로 이어지도록 빨리 시장에 선보이고 개선하는 작업을 진행해야 한다는 것이다.

‘웨이모 Vs 크루즈 Vs 사이버캡’ 미국의 ‘로보택시’ 삼파전

제너럴모터스의 자율주행차 사업부인 크루즈가 도시에서 운행하도록 설계된 자율주행 셔틀 오리진의 생산을 무기한 연기 발표하자 알파벳은 자사의 자율주행차 사업부인 웨이모에 대대적인 투자를 발표했다. 테슬라 역시 전용 로봇택시인 사이버캡 공개 계획을 미루면서, 웨이모의 미국 로보택시 시장 선점에 청신호가 켜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