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아시스마켓, 의왕 새벽배송 풀필먼트센터 新 물류기지 가동

본격 가동에 돌입한 오아시스마켓의 의왕 풀필먼트센터 전경. (사진=오아시스마켓)

오아시스마켓이 새벽배송 풀필먼트센터를 통해 이랜드리테일, KT알파 등 협력사와 함께 온라인 식품 시장 본격 확대에 나선다.

새벽배송 전문기업 오아시스마켓은 경기도 의왕시에 새로운 물류 거점인 ‘의왕 스마트 풀필먼트센터’를 구축하고 본격 가동을 시작했다고 26일 밝혔다.

기존 운영해 온 성남 스마트 통합 물류센터 대비 약 7~8배 규모인 의왕 스마트 풀필먼트센터는  효율화된 시스템으로 대규모 물류를 소화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풀필먼트는 물건을 판매하려는 업체들의 위탁을 받아 배송과 보관, 포장, 배송, 재고관리, 교환·환불 서비스 등의 모든 과정을 담당하는 ‘물류 일괄 대행 서비스’를 말한다. 오아시스마켓은 여기에 자사가 보유한 흑자 기반의 새벽배송 서비스를 장착, 온라인 식품시장 확대를 견인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의왕 스마트 풀필먼트센터에서 주목할 점은 오아시스마켓의 주문 수요를 소화하는 것은 물론 다른 기업의 물류 대행까지 진행한다는 것이다. 오아시스마켓은 올 하반기 전략적 투자자(SI)이자 사업 파트너인 이랜드리테일, KT알파와의 합작사 ‘오아시스알파’를 통한 새벽배송 물류 대행을 준비하고 있다.

또한 의왕 풀필먼트센터는 오아시스마켓이 그간 쌓아온 흑자 기반 이익 창출 전략을 적용해 입점사들이 충분히 활용할 수 있게 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오아시스마켓의 새벽배송 서비스에 기반한 신선식품 온라인 배송 등을 입점 기업에도 제공해 온라인 식품 시장 확대를 꾀한다는 계획이다.

오아시스마켓이 의왕 풀필먼트센터에 적용하는 자사 노하우는 냉동·냉장·상온 상품을 한 곳에 담는 합포장 기술이다. 또한 자사의 강점인 빠른 배송과 예측 가능한 배송 시간 등의 특징을 풀필먼트 서비스에도 적용한다.

본격 가동에 돌입한 오아시스마켓의 의왕 풀필먼트센터 전경. 다양한 카테고리의 상품을 적재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이 특징이다. (사진=오아시스마켓)

이를 오아시스마켓은 의왕 풀필먼트센터 설계 시 가전·주방 등 다양한 카테고리의 상품을 적재할 수 있도록 높은 층고와 넓은 면적을 충분히 활용하는 방식을 적용했다. 또 필요에 따라 2층 혹은 3층으로 구획화해 작업자의 일처리 효율을 극대화했다. 이를테면 새벽배송 물류가 집중된 공간은 픽킹존과 패킹존을 다른 층으로 구별해 동선을 단순화하는 한편, 근로자들이 맡은 업무에 더욱 집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오아시스마켓에 따르면 의왕 풀필먼트센터는 가동 일주일 만에 일 최대 5000건의 주문을 소화하는 등 성과를 내고 있다. 향후 기존 성남 물류센터를 통해 소화 중인 일 평균 2만 5000건을 더해 올해 안에 주문 소화 건수를 4만 건까지 확대하고 내년까지 일 10만건까지 늘린다는 목표다.

새벽배송 서비스 지역 역시 수도권 바깥으로 확대한다. 현재 충청권 일부 지역에 제공하는 새벽배송 서비스를 연내 충청도 전체 지역으로 확대해 보다 많은 소비자들이 오아시스마켓 장보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의왕 센터는 서부 권역 배송을 주로 담당하며 향후 충청 이남의 새벽배송 기지 역할을 담당할 예정이다.

한편 의왕 풀필먼트센터는 오아시스마켓의 모회사 ㈜지어소프트의 자회사 ㈜실크로드가 운영한다. 지난해 2월 ㈜지어소프트는 50억원을 출자해 100% 자회사 ㈜실크로드 신주를 취득한 바 있다.

안준형 오아시스마켓 대표는 “의왕 스마트 풀필먼트센터가 협력사와 합작사의 물류 특화기지가 될 수 있도록 기존 성남 물류센터의 새벽배송 풀필먼트 노하우를 적극 발전 및 도입할 것”이라며 “다사다난한 온라인 식품시장에서 풀필먼트센터 입점사와의 합종연횡 전략으로 안정적인 성장을 이어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황정호 기자

jhh@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토스뱅크 ‘공모주 청약 일정’ 하반기 ‘공모주 대어’ 청약도 원스톱으로

토스뱅크는 ‘두산 로보틱스’ 등 이른바 ‘공모주 대어’들이 하반기 청약 일정을 앞두고 있는 가운데 청약부터 실제 매수, 매도를 원하는 고객들의 니즈까지...

문화산업 발전을 위한 환경 조성…“규제에 앞서 다양성에 대한 이해가 선행돼야”

한국인터넷기업협회가 각 유관 협회들과 공동 주관한 ‘문화산업 발전을 위한 상생협력 환경 조성 방안’ 세미나가 개최됐다. 지난 18일 전경령회관 컨퍼런스센터에서 개최된...

한국인터넷기업협회, 문화산업 발전을 위한 상생협력 환경 조성 방안 세미나 개최

한국인터넷기업협회는 오는 18일 전경련회관에서 ‘문화산업 발전을 위한 상생협력 환경 조성 방안’을 주제로 한 세미나를 개최한다고 14일 밝혔다. 한국인터넷기업협회에 따르면 이번...

스티비, ‘프로 요금제' 출시. 이메일 마케팅 가능성 확장

이메일 뉴스레터 서비스 스티비(Stibee)에서 ‘프로 요금제'를 출시하며 이메일 마케팅을 위한 새로운 기능들을 선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