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스타그램, 미국서 “인플루언서 콘텐츠 보는데 유료로” 모델 테스트 개시

앞으로 인스타그램에서 소수의 크리에이터(창작자)나 인플루언서의 독창적 콘텐츠들을 보려면 월간 구독료를 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인스타그램은 19일 블로그를 통해 미국에서 이런 독창적 콘텐츠를 대상으로 한 유료 모델 테스트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인스타그램의 이 실험에 참여중인 농구선수 세도나 프린스(맨 왼쪽) 등 인플루언서와 창작자들. (사진=인스타그램)

인스타그램이 소규모 크리에이터(창작자) 및 인플루언서 그룹들과 함께 미국에서 이들의 콘텐츠를 대상으로 한 유료 구독 테스트를 시작했다고 더버지·테크크런치 등이 19일(현지시각) 보도했다.

보도는 미국 인스타그램 사용자들이 조만간 소수의 창작자들과 인플루언서들을 구독함으로써 독점적 콘텐츠와 기능에 접근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유료 구독자들은 가입자 전용 라이프 및 배지와 같은 독점 콘텐츠 및 기능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

인스타그램은 이날 블로그 게시물에서 19일부터 구독 테스트를 시작하며, 앞으로 몇 주 안에 더 많은 창작자들이 추가될 것이라고 밝혔다.

팬들은 그들이 팔로우하는 창작자들의 독점적인 라이프와 스토리와 같은 구독자 전용 콘텐츠에 접근하기 위해 매달 요금을 지불하게 된다.

가입자들은 또한 자신의 상태를 작성자에게 알리는 보라색 배지를 사용자 이름으로 받게 된다.

가격대는 한달에 0.99~99.99달러(약 1072~11만9000 원)이며, 창작자들은 구독자들의 구도 가격대를 선택할 수 있다.

애슐리 유키 제품 공동 책임자는 테크크런치에 인스타그램이 “‘적어도 2023년까지는’ 창작자들의 구독 매출을 가져가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농구선수 세도나 프린스, 올림픽 선수 조던 칠리스, 점성가 앨리자 켈리를 포함한 10명의 창작자들이 초기 시험의 일부로 참여하고 있다.

인스타그램 모그룹 메타의 마크 저커버그 최고경영자(CEO)는 “나는 창작자들이 창의적인 일을 하며 생계를 유지할 수 있는 도구를 계속해서 만들고, 이러한 도구를 곧 더 많은 창작자들의 손에 쥐어줄 수 있게 돼 기쁘다”고 페이스북 게시물에 썼다.

페이스북또한 창작자들 위한 자체 구독 프로그램 버전을 가지고 있다.

아담 모세리 인스타그램 대표는 이날 동영상에서 “구독은 인플루언서와 창작자들이 예측 가능한 소득을 얻을 수 있는 ‘최고의 방법 중 하나’”라고 말했다.

일부 창작자들은 이미 스토리에 접근하는 팬들을 대상으로 오프플랫폼으로 수수료를 부과함으로써 클로즈 프렌즈와 같은 인스타그램 기능을 수익화하고 있다.

인스타그램과 페이스북은 틱톡같은 플랫폼과 경쟁하기 위해 구독 모델을 출시하는 유일한 회사가 아니다. 트위터는 지난해 슈퍼 팔로우를 도입했고, 일부 크리에이터들은 파트레온이나 서브스택에서 오프플랫폼으로 추가 구독 콘텐츠를 제공한다.

이재구 기자

jklee@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넥스트엘레베이션 데모데이 현장…데이터, 블록체인, AI 기술 기반 스타트업 주목

이번 데모데이는 지원한 130여 스타트업 중 26대 1의 경쟁률을 뚫고 선발된 5개 스타트업이 지난 3개월 간 갈고 닦은 비즈니스 모델과 가능성을 소개하는 자리였다. 지난 8월 선발 이후 3개월 간 진행된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은 각 스타트업의 KPI설정부터 시작해 초기 전략 및 프롲덕트 전략 수립 등 세부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넥스트엘레베이션의 전문가 밀착 멘토링이 이뤄졌다.

2024년 매수해야 할 최고의 테크주 10개 기업

2022년 이례적으로 부진한 실적을 보인 테크주가 올해 다시 활기를 되찾은 모습이다. 전문가들은 10년 넘게 지속된 기술 부문의 단기 실적 저조가 장기 매수 기회가 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2024년까지 이어질 전망이다

美 제재 속 화웨이 7나노칩 상용화···미스터리 풀렸다

화웨이가 지난 8월 29일 자체 개발한 7나노미터 스마트폰 칩(기린 9000S)을 탑재한 최신 ‘메이트 60 프로’ 스마트폰을 발표하자 미국 등 서방세계는 경악했다. 미국 정부의 첨단 반도체 기술 및 제조장비 제재 속에서 이를 극복하고 최첨단 7나노칩을 양산했다는 뜻이었기 때문이다. 화웨이와 SMIC 모두 개발 과정 등에 대해 함구했지만 내막이 서서히 드러나고 있다.

창립 10주년 맞이한 ‘몰로코’… AI 기반 머신러닝 애드테크 기업으로 우뚝

창립 10주년을 맞이한 몰로코는 머신러닝 기반 퍼포먼스 광고 솔루션 포트폴리오를 중심으로 더욱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2021년 몰로코의 시리즈 C 투자 유치 당시 평가액은 15억달러(약 1조9800억원)에 달했는데, 올해 초 2차 주식공모를 통해 신규 투자 유치 과정에서 평가액은 20억 달러를 기록했다. 단 2년만에 40%의 평가액이 증가한 것이다.  그런 몰로코가 7일 그간의 성과와 새로운 10년의 비전을 제시하는 자리를 마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