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형성이 힘든 가난한 젊은 세대

지금의 젊은 세대는 가난한 세대라는 말을 많이 듣습니다. 안타깝지만, 사실 장기적인 자산 형성의 관점에서는 그 말이 맞습니다. 부동산을 비롯한 모든 것의 가치가, 소득 수준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상승해 왔기 때문입니다. 

✉️ 메일리 뉴스 레터 구독  | 팟캐스트: 스포티파이 & 애플 팟캐스트 

다음 차트는 1984년부터 2021년까지 미국의 주택 가격과 소득의 중앙값 추이를 보여주는데요, 소득 수준이 27% 정도 상승한 반면 주택 가격은 370%(!) 이상 상승했습니다.

사실 부동산뿐만 아니라 소비자 물가 전체에서도 같은 일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아래 차트는 CPI(소비자물가지수)와 소득의 중앙값을 나타내고 있는데요, CPI도 같은 기간 160%나 상승하였습니다. 부동산도 소비자물가지수도 소득 수준보다 훨씬 빨리 상승한 것입니다. 


데이터 출처: Federal Reserve Economic Data 및 미니애폴리스 연방준비은행

30대 후반인 저희 부모님 세대는 집을 구입함으로써 자산을 형성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점점 소득 수준과 집값의 차이가 점점 커지고 있으므로, 집 구입으로 자산을 형성하는 것이 점점 어려워지고 있는 것입니다. 즉, 장기적인 자산 형성을 위해서는 다른 방법이 필요한 것입니다.

다행히도 지금의 젊은 세대도 부동산을 통해 자산을 형성할 수 있게 하는 이노베이션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렌트-투-온(Rent-to-Own, 월세를 내면서 해당 부동산의 소유권을 조금씩 늘리는 형식)이나 공동소유와 같은 콘셉트가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Divvy Homes와 같은 스타트업은 렌트-투-온 시장을 개척하고 있고, Pacaso와 같은 스타트업은 휴가 렌트 주택 시장의 공동소유 시장을 이끌고 있습니다. 이들 기업의 평가액은 각각 17억 4000만 달러(약 2조 5천억 원), 15억 달러(약 2조 2천억 원)나 됩니다.

다른 얼터너티브 투자 자산 클래스도 상승하고 있습니다. 아트, 와인, NFT, 스니커즈 등 모두 새로운 형태의 자산 형성 방법입니다. 실제로 아트는 젊은 세대에게 주목받고 있고 규모가 커지고 있는 자산 클래스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부족합니다. 젊은 세대가 장기적인 자산을 형성할 수 있도록 보다 선택폭을 더 늘릴 필요가 있고 벤처캐피털 투자도 그중 하나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스타트업 자체는 더 이상 익숙하지 않은 것이 아니며 스타트업 투자에 관심을 갖는 사람은 점점 늘고 있습니다. 스타트업 투자는 리스크가 높은 것도 사실입니다. 그러나 예를 들어 벤처 캐피털 펀드에 투자를 함으로써 위험을 크게 줄이면서 잠재적으로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도 있습니다.

미국은 이미 이러한 움직임이 시작되었습니다. 저는 벤처캐피털의 펀드 오브 펀드 매니저로서의, 벤처 캐피털 투자 자체가 더 많은 사람들에게 장기적인 자산 형성을 위한 선택지로 활용될 수 있는 방법을 찾을 수 있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 메일리 뉴스 레터 구독  | 팟캐스트: 스포티파이 & 애플 팟캐스트 

References:

Investing in the Art Market: A $1.7 Trillion Asset Class - https://caia.org/blog/2021/07/22/investing-art-market-17-trillion-asset-class 

Real Estate 3.0 – The Ownership Revolution - https://www.nfx.com/post/real-estate-3-proptech-the-ownership-revolution 

Real Median Household Income in the United States - https://fred.stlouisfed.org/series/MEHOINUSA672N 

Median Sales Price of Houses Sold for the United States - https://fred.stlouisfed.org/series/MSPUS 

Consumer Price Index - https://www.minneapolisfed.org/about-us/monetary-policy/inflation-calculator/consumer-price-index-1913- 

본 글의 원문은 여기에서 볼 수 있습니다.

윤소영 기자

ericahue@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한국 찾은 폴 헤니건 워크데이 APJ 총괄사장...불확실한 시대에 직면한 기업이 기억할 키워드는 ‘회복 탄력성’ ‘지능형 디지털 백본’

방한한 폴 헤니건(Paul Henaghan) 워크데이 아시아 태평양 및 일본(APJ) 총괄사장은 기자간담회를 통해 “전 세계 1만여개의 워크데이 고객사가 코어에 인공지능(AI)과 머신러닝(ML)을 장착한 워크데이 플랫폼을 활용하면서 미래의 업무(future of work)에 적응하고 성장하고 있으며, 워크데이 또한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꾸준히 성장 기회를 포착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파워테스크, 한국투자액셀러레이터로부터 투자 유치

노코드 업무자동화 솔루션 ‘아웃코드’의 운영사 파워테스크는 한국투자액셀러레이터 바른동행 3기에 선정돼 Pre-A(프리 A) 라운드 투자를 유치했다고 1일 밝혔다. 파워테스크는 업무에 필요한...

포스텍  블록체인   · 디지털자산 전문가 4기 과정 수료

포스텍 블록체인 및 디지털자산 전문가 과정 4기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었다. 30일 강남 해시드라운지에서 열린 이번 수료식에는 포스텍 홍원기 교수와 우종수 교수를 비롯한 포스텍...

도미노, 금융위 로보어드바이저 테스트베드 심사 통과

자산관리 플랫폼 ‘도미노’의 운영사 패스트포워드는 자체개발한 AI 로보어드바이저 '도미노 오토파일럿'이 금융위원회와 코스콤이 주관하는 제20차 로보어드바이저(RA) 테스트베드 운용심사를 통과했다고 31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