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몰에 진심인 MZ세대, ‘최애’는?

코로나19와 함께 급성장한 이커머스 시장에서 특정 분야에 특화한 전문몰의 인기가 나날이 치솟고 있다. 이들 전문몰은 쿠팡이나 SSG닷컴 등과 같이 가격이나 배송경쟁력으로 승부하기 보다 패션, 리빙, 뷰티, 아이디어 상품 등 개인의 취향과 특정 타깃에 집중한 카테고리로 주목받고 있다.

카테고리 킬러형 버티컬 커머스로도 불리는 전문몰은 특정 분야에 집중적인 관심을 보이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전문몰의 서비스에 유독 두드러진 반응을 보이는 것은 MZ세대로 불리는 2030세대다. 최근 앱·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굿즈가 이러한 MZ세대의 전문몰 선호도를 조사한 자료는 이들이 전문몰에 얼마나 ‘진심’인지를 다시 한 번 확인하게 한다.

MZ세대가 가장 많이, 자주 사용한 서비스는 ‘에이블리’

와이즈앱·리테일·굿즈는 지난해 12월 한국인 만 10세 이상 스마트폰 사용자(Android + iOS)를 표본 조사한 결과, 전체 MZ세대에서 가장 많이 사용한 전문몰 앱으로 에이블리를 꼽았다. 조사 기간 에이블리를 사용한 MZ세대는 366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에이블리 뒤를 이은 것은 지그재그(333만명), 브랜디(267만명), 올리브영(260만명), 아이디어스(206만명), 무신사(198만명), 오늘의 집(165만명) 순이었다.

세대별로 살펴보면, 20대에서는 지그재그(229만명), 에이블리(216만명), 브랜디(175만명), 올리브영 (154만명), 무신사(146만명), 아이디어스(124만명), 오늘의 집(74만명) 순으로 지그재그와 에이블리,   무신사와 아이디어스의 순위가 뒤바뀌었다.   

30대에서는 에이블리, 올리브영, 지그재그, 브랜디, 오늘의 집, 아이디어스, 무신사 순으로 조사돼20대에 비해 뷰티, 화장품에 관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MZ세대에서 가장 자주 사용한 앱은 사용회수 기준 5억 7000만 회를 기록한 에이블리로 조사됐다. 그 뒤로 지그재그가 5억 5000만 회, 아이디어스 1억 8000만 회, 무신사 1억 2000만 회, 오늘의 집 9000만 회, 브랜디 7000만 회, 올리브영 4000만 회 등을 기록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사용자가 많다고 해서 반드시 사용회수가 높은 것은 아니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세대 별로는 20대에서 지그재그를 가장 많이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30대에서는 에이블리를 가장 많이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에이블리는 이번 조사에서 사용자 수, 사용 횟수 등 모든 항목에서 1위를 기록했다. (이미지=에이블리 홈페이지)

위 조사는 앱/리테일 분석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굿즈가 만 10세 이상 한국인 안드로이드, 아이폰 스마트폰 사용자 대상 표본조사로 지난해 12월 한달 간 진행됐다.

와이즈앱·리테일·굿즈는 표본 조사를 바탕으로 이 기간 구글과 애플의 앱마켓에 공개된 전문몰 앱을 대상으로 해당 앱을 1번 이상 사용한 사람의 수, 사용자들이 같은 기간 해당 전문몰 앱을 실행한 총 횟수 등을 추정했다고 밝혔다.

황정호 기자

jhh@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청정에너지 필요하죠, 그래서 심해채굴을 한다고요?

심해채굴은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광물 부족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수 있지만 논란의 여지가 많다. 심해채굴이라는 잠재적인 대규모 사업이 세계 금속산업을 어느 정도 지속가능하게 만들 것인지, 그리고 불가피한 생태계 영향이 청정에너지 수익을 위해 가치가 있는지 여부는 여전히 논쟁, 관점 및 과학적 조사가 필요한 과제로 남아 있다.

[인터뷰] -1편- 한상엽 소풍벤처스 대표 “기후테크 기반 생태계 구축과 함께 글로벌 투자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한국의 로컬 VC인 소풍벤처스가 미국 VC인 콜라보레이티브펀드로부터 투자를 받았다는 사실은 남다른 의미를 담고 있다. 이제까지 국내 VC가 펀드에 출자하거나 합작법인을 설립했다는 소식은 간혹 들려왔지만, 지분투자는 드문 사례가 아닐 수 없다. 이에 대해 한상엽 대표는 “단순한 펀드 출자자를 넘어서 깊은 관계를 맺는 이해관계자가 된 것”이라고 자평했다. 실제로 양사는 이번 투자와 함께 전략적 파트너십 관계를 맺고 한국과 동남아 등 아시아 지역의 기후테크 스타트업을 발굴하고 투자 전략을 공유한다는 계획이다.

애플워치9, 허공을 두드리게 만들다

애플이 최신 스마트워치에 대해 제스처 제어 기능인 ‘더블탭’을 디바이스의 주력 기능으로 전면에 내세웠다. 전작에도 비슷한 기술을 탑재했으며, 경쟁사 제품에도 비슷한 기능이 있음을 가만하면, 애플의 이러한 결정은 점점 더 터치가 없어질 스마트워치와 스마트폰의 미래를 보여준다.

자, ‘틱톡샵’이 이제 영업을 시작했습니다

과거 미국 내 전자상거래 진출에 실패했던 틱톡이 다시한번 틱톡샵을 통해 해당 시장 확장에 나섰다. 국가안보 위협을 지적하며 압박을 가하고 있는 미국 국회의 입장에도 불구하고 시장 확장이라는 강행을 불사하는 틱톡의 속내가 궁금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