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몰에 진심인 MZ세대, ‘최애’는?

코로나19와 함께 급성장한 이커머스 시장에서 특정 분야에 특화한 전문몰의 인기가 나날이 치솟고 있다. 이들 전문몰은 쿠팡이나 SSG닷컴 등과 같이 가격이나 배송경쟁력으로 승부하기 보다 패션, 리빙, 뷰티, 아이디어 상품 등 개인의 취향과 특정 타깃에 집중한 카테고리로 주목받고 있다.

카테고리 킬러형 버티컬 커머스로도 불리는 전문몰은 특정 분야에 집중적인 관심을 보이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전문몰의 서비스에 유독 두드러진 반응을 보이는 것은 MZ세대로 불리는 2030세대다. 최근 앱·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굿즈가 이러한 MZ세대의 전문몰 선호도를 조사한 자료는 이들이 전문몰에 얼마나 ‘진심’인지를 다시 한 번 확인하게 한다.

MZ세대가 가장 많이, 자주 사용한 서비스는 ‘에이블리’

와이즈앱·리테일·굿즈는 지난해 12월 한국인 만 10세 이상 스마트폰 사용자(Android + iOS)를 표본 조사한 결과, 전체 MZ세대에서 가장 많이 사용한 전문몰 앱으로 에이블리를 꼽았다. 조사 기간 에이블리를 사용한 MZ세대는 366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에이블리 뒤를 이은 것은 지그재그(333만명), 브랜디(267만명), 올리브영(260만명), 아이디어스(206만명), 무신사(198만명), 오늘의 집(165만명) 순이었다.

세대별로 살펴보면, 20대에서는 지그재그(229만명), 에이블리(216만명), 브랜디(175만명), 올리브영 (154만명), 무신사(146만명), 아이디어스(124만명), 오늘의 집(74만명) 순으로 지그재그와 에이블리,   무신사와 아이디어스의 순위가 뒤바뀌었다.   

30대에서는 에이블리, 올리브영, 지그재그, 브랜디, 오늘의 집, 아이디어스, 무신사 순으로 조사돼20대에 비해 뷰티, 화장품에 관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MZ세대에서 가장 자주 사용한 앱은 사용회수 기준 5억 7000만 회를 기록한 에이블리로 조사됐다. 그 뒤로 지그재그가 5억 5000만 회, 아이디어스 1억 8000만 회, 무신사 1억 2000만 회, 오늘의 집 9000만 회, 브랜디 7000만 회, 올리브영 4000만 회 등을 기록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사용자가 많다고 해서 반드시 사용회수가 높은 것은 아니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세대 별로는 20대에서 지그재그를 가장 많이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30대에서는 에이블리를 가장 많이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에이블리는 이번 조사에서 사용자 수, 사용 횟수 등 모든 항목에서 1위를 기록했다. (이미지=에이블리 홈페이지)

위 조사는 앱/리테일 분석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굿즈가 만 10세 이상 한국인 안드로이드, 아이폰 스마트폰 사용자 대상 표본조사로 지난해 12월 한달 간 진행됐다.

와이즈앱·리테일·굿즈는 표본 조사를 바탕으로 이 기간 구글과 애플의 앱마켓에 공개된 전문몰 앱을 대상으로 해당 앱을 1번 이상 사용한 사람의 수, 사용자들이 같은 기간 해당 전문몰 앱을 실행한 총 횟수 등을 추정했다고 밝혔다.

황정호 기자

jhh@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인터뷰]-2편- 강지호 앤틀러 코리아 대표 파트너, “다음 세대 유니콘을 이끌 창업자를 발굴하고 있습니다”

앞서 강지호 대표는 스스로를 제품 기획 전문가라며 앤틀러 코리아가 진행하는 프로그램을 ‘제품을 설계하는 관점’으로 접근한다고 이야기했다. 파운더들을 서비스 이용자로 보고, 이들이 강한 스타트업이 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설계했다는 것이다. 여기에는 그 스스로 여러 차례의 창업을 통해 실패와 성공을 모두 거친 경험이 녹아들어가 있다. 그렇다면 평생 창업가로서의 삶을 살아왔던 그가 글로벌 VC인 앤틀러의 새로운 시도에 동참한 이유는 무엇일까?

머스크와 석학들, 폭주기관차 같은 AI 막자···AI 통제 촉구 향배는?

“챗GPT-4보다 더 똑똑한 인공지능(AI) 개발(AI 훈련)을 6개월 간 중단해야 한다. 이 중단은 공개적이고 검증 가능해야 하며 모든 주요 행위자를 포함해야 한다.” AI기반 챗GPT4가 세계적으로 선풍적 인기를 얻고 있는 가운데 ‘AI에 대한 통제력 상실’을 우려한 AI 비평가와 석학 1000여명이 AI 개발을 6개월 간 중단할 것을 요구하는 공개서한을발표했다.

‘검색의 왕’ 구글의 AI 챗봇 ‘바드’ 사용법

IT업계 이슈를 휩쓸고 있는 오픈AI의 ‘챗GPT’에 대응하기 위해 구글이 내놓은 AI 챗봇 ‘바드’가 혹평 속에서 논란이 되고 있다. 이번에는 바드가 챗GPT의 데이터를 통해 학습됐다는 것이다. AI 중심의 광고 사업으로 업계 재편을 원하는 마이크로소프트와 ‘검색의 왕’ 지위에 맞게 왕좌를 지키려는 구글의 AI기술 전쟁이 본격화됐다.

[인터뷰] -1편- 강지호 앤틀러 코리아 대표 파트너, “성과를 내는 스타트업이 되기 위한 조건은?”

앤틀러 코리아는 한국에 처음 시도된 1기 배치 프로그램의 성과를 바탕으로 이달 초 2기 배치 프로그램을 가동하고 있다. 1기의 성공 사례가 알려진 만큼 2기에 참여하는 창업가들의 열기는 더욱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그런 그들과 현장에서 함께 부대끼며 호흡하고 시행착오를 줄여주기 위해 노력하는 앤틀러 코리아 사람들의 중심에는 강지호·정사은 대표 파트너(지사장)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