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촬영인력 필요없다’ 엔비디아와 ‘AI 올인’하는 세계 최대 광고대행사

[AI요약] 세계 최대 광고대행사가 실제 광고 촬영 대신 AI기술을 활용해 인력과 비용을 줄이는 방법을 선택했다. 이제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모든 제품을 타켓층에 맞춤형으로 제공할수 있게 됐다. WPP와 엔비디아의 이번 협력은 광고업계 주요 기업이 AI를 신속하게 배포하는 최신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제너레이티브AI 플랫폼을 통해서는 기존 몇주가 걸리는 광고를 몇분만에 만들 수 있다. (이미지=엔비디아)

현장 촬영 없이도 세계 모든 곳을 배경으로 광고 영상을 제작할수 있는 시대가 왔다.

WPP가 광고제작을 위해 엔비디아(Nvidia)와 협력한 이유와 전망에 대해 파이낸셜타임즈, CNN 등 외신이 보도했다.

세계 최대 광고 그룹 중 하나인 WPP가 고객을 위한 대규모 광고제작에 생성 인공지능(AI)을 활용하기 위해 칩 제조업체 엔비디아(Nvidia)와 협력했다. 엔비디아는 최근 젠슨 황 엔비디아 CEO와 함께 대만 시연 행사에서 WPP의 새로운 콘텐츠 엔진을 공개하면서 파트너십을 발표했다.

이날 발표된 새로운 기술플랫폼 ‘제너레이티브AI’(Generative AI)를 통해 WPP는 이전 몇주가 걸렸던 캠페인을 몇분 만에 만들었다. WPP는 수년 동안 엔비디아와 함께 이 기술의 시험을 진행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이 플랫폼을 통해 WPP의 크리에이티브 팀은 어도브(Adobe) 및 게티이미지(Getty Images)와 같은 조직의 콘텐츠를 제너레이티브AI와 통합해, 보다 효율적이고 규모에 맞는 광고 캠페인을 제작할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기업은 이미지나 비디오와 같은 대량의 광고 콘텐츠를 고객에게 더욱 맞춤화되고 몰입감 있게 만들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젠슨 황 CEO가 시연 행사에서 상영한 데모에는 WPP가 만든 사막을 달리는 자동차의 사실적인 영상이 포함됐다. 이 플랫폼은 3D이미징 소프트웨어를 결합해 자동차의 사실적인 이미지를 생성한 다음 AI 엔진이 생성한 비디오 또는 2D 광고를 가져올 수 있다.

WPP가 시연한 자동차 영상의 경우 자동차를 사막이나 비가 오는 거리에 배치할 수 있는데, 특히 기존 그린스크린을 사용하거나 실제 촬영을 진행했다면 며칠이 걸렸을 프로세스에서 자동차와 주변 환경을 완벽하게 동화시키는 영상을 만들 수 있다.

새로운 AI 기반 콘텐츠 엔진은 동일한 자동차를 런던의 거리에 배치할수도, 리우데자네이루의 사진을 찍어 브라질 시장을 겨냥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모두 비용이 많이 드는 현장 제작 없이도 가능하다.

광고 캠페인을 다양한 국가 또는 도시에 맞게 신속하게 조정할 수 있는 것처럼 페이스북이나 틱톡과 같은 다양한 디지털 채널과 해당 사용자에 맞게 맞춤화할 수도 있다. 이 플랫폼은 생산성을 향상하고 고객에게 신제품을 제공하기 위해 주요 기업에서 AI를 신속하게 배포하는 최신 사례다.

세계 최대 광고대행사 중 하나인 WPP가 미래 광고 기술로 AI를 채택했다. (이미지=WPP)

연결되지 않은 도구와 시스템에서 나오는 이질적인 데이터를 활용해 수십만 개의 콘텐츠를 생성하는 이 기술은 현재의 방법을 능가하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를 통해 훨씬 더 작은 크리에이티브 팀이 궁극적으로 동일한 양의 작업을 수행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광고 및 미디어 업계는 AI가 정보를 집계하고 사진과 구별할 수 없는 시각적 콘텐츠를 생성할수 있는 방식을 지적하며 이로 인한 직업적 위협을 우려하고 있다. AI가 창출할 일자리보다 AI가 파괴할 일자리가 훨씬 많다는 지적도 나온다. 지금까지도 광고 업계는 미디어 비즈니스에 AI를 많이 활용해 왔지만, 창의적인 부분에는 거의 적용하지 않았다.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제너레이티브AI는 놀라운 속도로 마케팅 세계를 변화시키고 있다”며 “이 새로운 기술은 브랜드가 상업적 용도로 콘텐츠를 제작하는 방식을 변화시킬 것”이라고 성명을 통해 밝혔다. 그는 또 “7000억달러(약 930조) 규모의 디지털 광고 산업을 포함한 전 세계 산업은 AI의 이점을 실현하기 위해 경쟁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레그 에스테스 엔비디아 개발자 프로그램 담당 부사장은 “청중의 공감을 얻기 위해 매우 정교하게 조정된 캠페인을 구축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마크 리드 WPP CEO는 “고객들이 사용하는 새로운 채널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생산 비용을 빠르게 줄이는 방법을 강구하고 있다”며 “제너레이티브AI는 WPP 사업의 근본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류정민 기자

znryu@daum.net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인터뷰] -1편- 한상엽 소풍벤처스 대표 “기후테크 기반 생태계 구축과 함께 글로벌 투자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한국의 로컬 VC인 소풍벤처스가 미국 VC인 콜라보레이티브펀드로부터 투자를 받았다는 사실은 남다른 의미를 담고 있다. 이제까지 국내 VC가 펀드에 출자하거나 합작법인을 설립했다는 소식은 간혹 들려왔지만, 지분투자는 드문 사례가 아닐 수 없다. 이에 대해 한상엽 대표는 “단순한 펀드 출자자를 넘어서 깊은 관계를 맺는 이해관계자가 된 것”이라고 자평했다. 실제로 양사는 이번 투자와 함께 전략적 파트너십 관계를 맺고 한국과 동남아 등 아시아 지역의 기후테크 스타트업을 발굴하고 투자 전략을 공유한다는 계획이다.

애플워치9, 허공을 두드리게 만들다

애플이 최신 스마트워치에 대해 제스처 제어 기능인 ‘더블탭’을 디바이스의 주력 기능으로 전면에 내세웠다. 전작에도 비슷한 기술을 탑재했으며, 경쟁사 제품에도 비슷한 기능이 있음을 가만하면, 애플의 이러한 결정은 점점 더 터치가 없어질 스마트워치와 스마트폰의 미래를 보여준다.

아이클레이브 ‘2023 서울 이커머스페어 참가’… 생성 AI로 이커머스 운영 자동화 지원하는 로보MD 선보여

생성 AI 이커머스 자동 운영 솔루션을 제공하는 아이클레이브는 ‘2023년 서울 이커머스 페어’에 참가해 고객 확장에 나선다고 21일 밝혔다. 이날부터 23일까지...

자, ‘틱톡샵’이 이제 영업을 시작했습니다

과거 미국 내 전자상거래 진출에 실패했던 틱톡이 다시한번 틱톡샵을 통해 해당 시장 확장에 나섰다. 국가안보 위협을 지적하며 압박을 가하고 있는 미국 국회의 입장에도 불구하고 시장 확장이라는 강행을 불사하는 틱톡의 속내가 궁금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