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라리도 전기차로 간다 "2030년까지 전기차 비중 80%까지 늘릴 것"

[AI요약] 람보르기니와 함께 이탈리아 슈퍼카 브랜드를 대표하는 페라리(Ferrari)도 전기차 우선 전략을 선언했다. 앞으로 내연기관보다 배터리 전기차 및 하이브리드 전기차로 주력 상품을 빠르게 전환한다는 계획이다. 2020년까지 전기차 비중을 80% 수준으로 늘린다.

페라리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스포츠카 '296 GTB' (사진=페라리)

이탈리아 슈퍼카 브랜드 페라리는 지난 16일(현지시간) 자본 시장 대상 투자 설명회를 통해 중단기 제품 전략을 공개했다. 단기적으로 올해부터 2026년까지 단기 제품 전략과 2030년까지 중기 제품 전략을 동시에 밝힌 것.

페라리의 제품 전략의 핵심은 '전동화'다. 람보르기니, 알파 로메오, 부가티 등 다른 슈퍼카 브랜드와 함께 전기차를 우선 제작, 판매하겠다는 것이 목표다. 우선 2030년까지 배터리 기반 전기차(BEV)를 비롯해 내연기관과 배터리를 함께 쓰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차(PHEV)를 전체 제품의 80%까지 끌어올리겠다고 밝혔다.

전기차 매체 클린테크니카에 따르면, 페라리는 투자 설명회에서 오는 2026년까지 15종의 새로운 차량을 선보일 계획이며, 이 중 최소한 1종의 전기차 전용 모델로 출시할 것이라고 확인했다. 배터리 전기차와 하이브리드 모델을 포함해 2025년까지 전체 차종의 55%, 2030년까지는 80%를 달성한다. 2030년 무렵 배터리 전기차 40%, 하이브리드 전기차 40%가 목표다.

페라리는 전기차 시대에 필요한 기술을 외부로부터 수혈받는 것도 적극 추진키로 했다. 엔진을 포함해 거의 대부분의 부품과 자재를 직접 제작하거나 주문 조달하는 기본의 방식에서 벗어나 고성능 모터와 배터리 등을 제외하면 직접 제작하지 못하는 비핵심 부품, 그리고 운영체제 등 소프트웨어와 기술을 외부에서 조달한다.

페라리 본사가 자리한 이탈리아 마라넬로(Maranello) 공장에 새로운 전기차 조립 라인을 신설한다. 여기에서 자체 전기모터, 인버터, 배터리 모듈을 생산하고 비핵심 부품은 아웃소싱한다. 옛 전통에 얽매이지 않고 '잘하는 것과 외부에서 들여올 것을 구분해' 전기차 시대에 맞는 제작 방식으로 탈바꿈한다는 얘기다.

배터리를 직접 개발하진 않지만, 배터리 근원 기술 투자와 셀을 들여와 자체 모듈화하는 기술을 내재화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2026년까지 44억유로(약 6조원)을 투자하고, 유럽과 아시아의 4개 배터리 제조사와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있다.

존 엘칸 페라리 회장은 "페라리가 하는 모든 일은 차별화와 고급화였다. 전기차 시대에도 페라리만의 독특하고 감성 충만한 차량을 선보이는 것이 목표"라면서 "전동화 추세는 분명하다. 다만 회사와 제품의 DNA를 바꾸진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추현우 기자

goodgle@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인터뷰]-2편- 강지호 앤틀러 코리아 대표 파트너, “다음 세대 유니콘을 이끌 창업자를 발굴하고 있습니다”

앞서 강지호 대표는 스스로를 제품 기획 전문가라며 앤틀러 코리아가 진행하는 프로그램을 ‘제품을 설계하는 관점’으로 접근한다고 이야기했다. 파운더들을 서비스 이용자로 보고, 이들이 강한 스타트업이 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설계했다는 것이다. 여기에는 그 스스로 여러 차례의 창업을 통해 실패와 성공을 모두 거친 경험이 녹아들어가 있다. 그렇다면 평생 창업가로서의 삶을 살아왔던 그가 글로벌 VC인 앤틀러의 새로운 시도에 동참한 이유는 무엇일까?

머스크와 석학들, 폭주기관차 같은 AI 막자···AI 통제 촉구 향배는?

“챗GPT-4보다 더 똑똑한 인공지능(AI) 개발(AI 훈련)을 6개월 간 중단해야 한다. 이 중단은 공개적이고 검증 가능해야 하며 모든 주요 행위자를 포함해야 한다.” AI기반 챗GPT4가 세계적으로 선풍적 인기를 얻고 있는 가운데 ‘AI에 대한 통제력 상실’을 우려한 AI 비평가와 석학 1000여명이 AI 개발을 6개월 간 중단할 것을 요구하는 공개서한을발표했다.

‘검색의 왕’ 구글의 AI 챗봇 ‘바드’ 사용법

IT업계 이슈를 휩쓸고 있는 오픈AI의 ‘챗GPT’에 대응하기 위해 구글이 내놓은 AI 챗봇 ‘바드’가 혹평 속에서 논란이 되고 있다. 이번에는 바드가 챗GPT의 데이터를 통해 학습됐다는 것이다. AI 중심의 광고 사업으로 업계 재편을 원하는 마이크로소프트와 ‘검색의 왕’ 지위에 맞게 왕좌를 지키려는 구글의 AI기술 전쟁이 본격화됐다.

[인터뷰] -1편- 강지호 앤틀러 코리아 대표 파트너, “성과를 내는 스타트업이 되기 위한 조건은?”

앤틀러 코리아는 한국에 처음 시도된 1기 배치 프로그램의 성과를 바탕으로 이달 초 2기 배치 프로그램을 가동하고 있다. 1기의 성공 사례가 알려진 만큼 2기에 참여하는 창업가들의 열기는 더욱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그런 그들과 현장에서 함께 부대끼며 호흡하고 시행착오를 줄여주기 위해 노력하는 앤틀러 코리아 사람들의 중심에는 강지호·정사은 대표 파트너(지사장)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