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시대가 왔다"

코로나 팬데믹이 시작된 이후, 기업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가속화와 비대면 업무 확산으로 인해 클라우드 시장이 크게 성장했다.

이러한 클라우드 시장의 성장이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들어가면서 새로운 전환점을 맞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포스트 코로나, 새로운 전환점

즉, 단순히 과거의 레거시 환경이 디지털로 전환하는 것만이 아니라, 디지털 사업자가 레거시 시장을 공략하기도 하고, 레거시 사업자가 디지털 시장을 공략한다는 것. 그리고 이 과정에서 있어 클라우드는 기업의 도구이자 수단으로 활용된다.

3일 개최된 테크42 웨비나 시리즈 '클라우드 인사이트 1st'에 강연자로 나선 정우진 디지털엑스원 대표는 "코로나 이후 디지털 시프트를 거쳐 디지털 피봇이 이뤄졌다"며, "이러한 디지털 네이티브 환경에서 누가 고객과 고객의 데이터를 클라우드를 통해 활용할 수 있는가가 관건"이라고 설명했다.지금까지 디지털 전환 국면에서 클라우드는 마이그레이션의 정착지에 불과했다면, 이제는 기업이 클라우드 아키텍처에 맞춰 변모해야 한다는 것이다. 정우진 대표는 "클라우드는 플랫폼 생산공장"이라고 설명했다.

(출처: 디지털 엑스원)

이제 사무실은 업무 아닌, 의사결정 공간으로…클라우드의 역할 변화해

그 배경에는 클라우드 자체의 특징에 있다. 클라우드 구축이 '올 오어 낫싱(All or nothing)'이 아니기 때문.

현재 시점에서는 어느 기업이라도 완전한 퍼블릭 클라우드 혹은 레거시 온프레미스를 채택할 수 없고, 혼용해서 써야만 한다는 것이다. 즉, 하이브리드 클라우드와 이를 통합 관리할 수 있는 플랫폼을 기업이 가져야한다는 뜻이다.

정우진 대표는 "클라우드만 존재하는 디지털 세상이 오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이라며, "서서히 진행될텐데, 이 과정에서 어떻게 효과적인 인프라를 만들고 개선할 것인가가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기업 근무 환경의 변화와도 이어진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8월 기준 재택·원격 근무제 근로자는 114만명으로, 코로나 이전에 비해 2년 만에 12배 폭증했다. 게다가 점점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정우진 대표는 "이제 사무실은 일상적 업무 공간이 아니라, 중요한 의사결정을 하는 곳으로 변화했다"라며, "그렇기 때문에 '오피스 온리(office only'가 아닌, '리모트 퍼스트(remote first)'를 지원할 수 있는 클라우드 혁신이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석대건 기자

daegeon@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글로벌 화상 영어 회화 서비스 ‘에피소든’, 삼성전자 출신 CTO 영입

글로벌 화상 영어 회화 서비스 에피소든(Episoden)이 기술적 기능 강화, 서비스 확장을 위해 삼성전자 개발 리더 출신의 김광섭 CTO를 영입했다고 31일...

오비스, 메타버스 사무실 내 노이즈캔슬링 기능 도입

오비스는 배경 소음을 제거해주는 소프트웨어 크리스프(Krisp)를 제공하는 크리스프 테크놀로지(Krisp Technologies, Inc., 대표 아타바즈드 미나샨, 데빗 바흐다사리안)와 협업해 메타버스 사무실 노이즈...

마이크로소프트, 빙 AI 챗봇에 광고 도입... "다양한 방안 실험 중"

마이크로소프트(MS)가 29일(현지시간) 공식 블로그를 통해 오픈AI의 GPT-4를 기반으로 한 빙 AI 챗봇의 반응에 따라 광고를 게재하는 방안을 실험 중이라고 밝혔다. 내부에서는 이미 지난 2월부터 광고 기관과 함께 빙을 이용한 광고 테스트를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MS는 "MS 스타트(Microsoft Start) 협력 브랜드 7,500여 곳을 포함한 광고 게재 기업을 위한 추가 기능을 모색 중이다.

에버스케일, 한국시장 본격 진출

블록체인의 확장성을 핵심가치로 개발된 퍼블릭 네트워크 체인 에버스케일(대표 : Sergey Shashev)이 본격적으로 한국시장에 뛰어 들었다. 세계 유수의 거래소에 상장이 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