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머노이드와 정신건강’ 부모보다 로봇에 속마음 털어놓는 아이들(연구)

[AI요약] 어린아이들이 부모와 대화를 할 때 보다 휴머노이드 로봇과 대화를 할 때, 속마음을 더 편하게 털어놓는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아이들은 로봇을 믿음직스러운 친구로 간주해, 그동안 그 누구에게도 말하지 못했던 정보를 쉽게 공유하는 것. 이번 연구결과는 앞으로 로봇을 통해 정신건강 문제를 효율적으로 감지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전망이다.

아이들이 부모보다 로봇과 대화할 때 자신의 감정을 솔직하게 털어놓는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사진=케임브리지대학교)

1일(현지시간) 더가디언, 블룸버그 등 외신에 따르면, 로봇이 어린이의 정신건강 문제를 감지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 나왔다.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 연구팀은 전통적인 정신건강 평가 방법으로는 미묘한 감정의 변화에 따른 문제를 포착하기 어렵다고 지적하며, 이 과정에서 로봇의 역할을 평가했다. 연구에 투입된 휴머노이드 로봇 ‘나오’(Nao)는 키 60cm에 아이의 목소리를 가졌다.

연구팀은 어린아이의 정신건강을 평가하기 위해, 나오가 8세에서 13세 사이의 아이들 28명을 대상으로 일종의 설문지를 작성하게 했다. 설문지는 불안 및 공황장애, 우울감 등을 평가할 수 있다.

아이들은 나오와 약 45분간 1:1 대화에 참여했으며, 이 과정에서 초기에는 사소한 잡담과 함께 나오의 손과 발에 있는 센서를 터치하는 등 화기애애한 분위기를 이어갔다. 이후 나오는 한 주 동안 행복했거나 슬픈 기억에 대해 질문했으며, 아이들은 자신들의 감정과 기분을 대답했다. 나오는 참가자의 심장박동, 머리 및 눈의 움직임을 추가 센서로 추적했다.

연구결과, 아이들은 모두 로봇과 대화하는 것을 즐겼으며, 부모와 함께 정신건강 평가에 대답할 때 보다, 어린아이 크기의 휴머노이드 로봇에게 속마음을 털어놓는 것을 편하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팀은 아이들이 온라인이나 대면 설문지를 통했을 때는 공유하지 않았던 새로운 정보를 공유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예를 들면, 아이가 학교에서 왕따를 당하는 것과 같은 민감한 정보를 로봇에게는 이야기할 가능성이 큰 것이다.

실제로 반대편 방에서 아이들의 세션을 관찰한 부모 중 한명은 자녀가 로봇의 질문에 대답하는 것을 들을 때까지, 자녀의 어려움을 전혀 인지하지 못하고 있었다.

케임브리지 연구팀은 “아이들이 어떤 경우에는 이전에 털어놓지 않았던 정보를 휴머노이드에게는 쉽게 얘기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며 “이번 연구는 정신건강을 평가하는데 있어 로봇의 폭넓은 역할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아이들은 로봇을 ‘믿음직스러운’ 것으로 간주해 자신의 진정한 감정과 경험을 털어놓는 경향이 있다”며 “반면, 아이들이 부모나 심리학자와 대화할 때는 자신의 감정보다 어른이 기대하는 대답을 말하는 경우가 많다”고 강조했다.

특히 연구팀은 “물론 로봇이 심리학자 등 정신건강 전문가의 전문성을 대체할 수는 없다. 다만, 로봇은 초기 상담 시 정보 공유를 불편해 하는 아이들을 도울 수 있는 유용한 도구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류정민 기자

znryu@daum.net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현존 디스플레이 최고 재생률 540Hz···1000Hz 가려면?

지금 사용하는 LCD 모니터의 움직임 성능은 대부분 이미지를 매초 60번 새로 고치는 60Hz 재생률을 보인다. 고급 스마트폰에서 60Hz 재생률을 넘어선 것이 불과 3년 정도 밖에 안된다. 삼성전자가 2020년 120Hz 재생률의 OLED 스마트폰을 내놓았다. 최근 나온 PC용 모니터는 무려 540Hz 재생률을 보인다. 최근 급속한 발전을 보이는 디스플레이 재생률 진전과 전자업계가 내놓은 최고 재생률 디스플레이 현황과 향후 발전 가능성 및 이를 위한 과제 등을 살펴봤다.

드디어 시작된 ‘챗GPT’와 음성대화, 얼마나 흥미진진할까요?

생성형 AI챗봇 챗GPT가 이제 사용자와 대화를 할수 있게 된다. 챗GPT와 대화는 이미 비슷한 기능을 제공하는 음성 AI비서 아마존의 알렉사, 애플의 시리 등과는 어떤 차별점이 있을지 주목받고 있다.

[인터뷰] 홍일호•안성현 팩토스퀘어 공동창업자 “공장 네트워크화를 통한 소량생산 B2B 제조 솔루션을 만들고 있습니다”

팩토스퀘어는 소량생산에 어려움을 겪는 브랜드의 페인포인트를 해결하는 것을 넘어 공장에는 자사의 자동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팩토스퀘어의 생태계' 구축 비전을 그려가고 있다.

몰로코, ‘글로벌 모바일 앱 퍼포먼스 마케팅 보고서’ 첫 발간

머신러닝 솔루션 분야 글로벌 기업 몰로코(Moloco)는 글로벌 마케팅 여론조사기관 입소스(Ipsos)와 진행한 첫 ‘글로벌 모바일 앱 퍼포먼스 마케팅 보고서’의 주요 결과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