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여권, 왜 블록체인으로 만드나요?

코로나19로 꽉 막힌 해외 여행, 출장 등 해외로의 이동길이 백신여권으로 뚫리게 될까. 우리나라 정부가 블록체인 기반의 '백신여권'을 개발해 7월 발급을 목표로 하고 있다. 

백신여권은 코로나19 백신을 접종했음을 증명해 주는 전자 증명서다. 여기에는 여권 주인의 개인정보 위에 어떤 백신을 접종했는지, 코로나19 항체가 형성됐는지 여부 등의 정보를 담아 해외를 오갈 때 사용할 수 있다. 이미 백신여권 서비스를 시작한 국가와 연동하게 되면 기존의 종이 여권을 대체할 수도 있다. 

우리나라 보다 앞서 백신여권을 도입한 나라는 아직 많지 않다. 이스라엘이 가장 먼저 백신여권 '그린 패스'를 도입했다. 미국의 경우는 뉴욕주에서 '엑셀시어 패스'라는 백신여권을 이번 달 중 상용화할 계획이다. 27개 회원국이 가입돼 있는 유럽연합의 경우 회원국 간 백신여권을 오는 6월 중 상용화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SK텔레콤과 라온시큐어, 코인플러그, 아이콘루프 등의 기업이 참여한 컨소시엄 'DID 연합'이 정부의 '코로나19 백신 접종증명서' 개발 사업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블록체인 접종증명 사업으로 전담부처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질병관리청이 참여하고, 정보 활용과 관련해서는 한국인터넷진흥원이 사업을 지원한다.

블록체인 신원인증 방식으로 위변조 방지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한 것은 정보의 위조나 변조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함이다. 백신여권은 추후 실질적인 전자여권 형태로 쓰일 가능성도 있는 만큼, 신분증 위조 우려를 원천 봉쇄해야 한다. 

전국민의 75% 가량이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마친 이스라엘의 경우 백신 접종 증명서 위조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이스라엘의 보건부가 관장하는 백신여권 그린 패스는 QR 코드 기반이기 때문이다. QR코드라는 것이 텍스트 정보를 코드화 하는 수준이므로 보안상 취약할 수 밖에 없다. QR코드에 담긴 텍스트 정보는 개인의 이름과 그린 패스 ID 번호, 백신접종 날짜 정도이다. 이 또한 암호화되지 않았다.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한다면 정보의 위변조가 불가능하다. 블록체인은 쉽게 말해 데이터 분산 처리 기술이다. 중앙집권적 방식이 아닌,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모든 사용자가 모든 데이터 내역 데이터를 분산하고 저장하는 기술이다. 데이터가 기록되는 장부(원장)를 블록화하고, 이를 체인 구조로 연결해 데이터 내역 확인시 모든 사용자가 보유한 장부(분산원장)을 대조하고 확인한다. 해커가 개인 단말기와 중앙 서버간에 오가는 데이터(장부)를 조작할 수 없는 구조다. 

국내에서는 블록체인 신원인증 방식인 DID(분산신원인증)가 기반 기술로 채택됐다. 자기주권 신원인증(SSI, Self-Sovereign Identity) 방식을 통해 개인의 단말기에서만 자신의 정보를 담은 백신여권을 인증하는 것이다. 중앙 서버 대신 블록체인 분산원장 안에 개인의 정보를 암호화해 저장하고, 복호화(암호를 풀 때) 개인이 필요한 키를 직접 관리한다. 

이미지=픽사베이
이미지=픽사베이

이 때문에 백신여권도 블록체인 기반으로 만드는 것이다. 특히 해외 이동시 전자여권 처럼 백신접종 여부 등의 개인 정보를 입국 국가에서 인증하기 위해서는, 각 국가별 중앙집권적 방식의 백신여권은 제한이 있다. 백신여권 시스템 보유국가들이 인정해 주는 글로벌 범용성을 가진 기술과 플랫폼, 즉 블록체인 기반 플랫폼에 백신여권 시스템이 등록된다면 국가간 연동이 가능하다. (국가간 네트워크 연결이 가능하게 하는 플랫폼 연동)

이미 국제항공운송협회(IATA)는 코로나19 검사 및 백신 접종 여부 등의 정보를 담은 블록체인 기반의 IATA 트래블패스 앱을 시범운용하고 있다. 이스라엘 또한 그린 패스를 보완해 글로벌 보안 기능이 적용된 방식으로 개선할 것이라 공표한 바 있다. 

한편, 우리나라 정부는 4월 중에 코로나19 백신 접종 사실을 증명하는 시스템을 개발해, 앱 방식으로 개통할 예정이다. 1일 정세균 국무총리가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 모두발언에서 공식화 했다. 인증앱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위조나 변조 가능성을 차단하고 개인정보를 보관하지 않는 방식으로 개발됐다.

김효정 기자

hjkim@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마로솔, 산업용 로봇 단품 구매도 전문가 1대1 밀착케어

토탈 로봇 솔루션 기업 마로솔은 산업용 로봇을 단품으로 구매한 고객 대상 1:1 밀착케어 서비스를 진행한다고 14일 밝혔다. 전문 전담팀을 배치해...

소풍벤처스 타이푼 프로그램 1기 데모데이 현장…’떡잎’부터 남다른 스타트업 ‘주목’

지난해 8월 모집 당시 지원 팀만 440개가 넘은 것으로 알려진 타이푼 프로그램은 이후 서류 평가와 한 달 가량의 사전 액셀러레이팅을 거쳐 최종 참가팀을 선발했다. 지난 10월부터 약 6개월 간 진행된 소풍벤처스의 밀착 액셀러레이팅 끝에 남은 7개 팀은 토프모빌리티(전기비행기 전문 항공사), 아트라식스(미술작품관리 플랫폼), 인비고웍스(AI 기반 원가관리 솔루션), A76(레퍼런스 체크 솔루션), Maetel(AI 기반 소셜 콘텐츠 개발 솔루션), 비욘드캡처(전기화학 탄소 포집), 에이랩스(모듈형 이산화탄소 자원화 시스템) 등이다.

애플·구글 질렸다면 ‘마이크로소프트 모바일 게임스토어’는 어때?

EU의 디지털 시장법이 발효되면서 마이크로소프트의 모바일 게임 스토어 출시도 본격화 되고 있다. 현재 애플과 구글은 스토어 판매에 대해 대략 30%의 수수료를 청구하고 있으며, 이러한 관행에 대해 많은 기술기업의 불만이 제기돼 왔다. 마이크로소프트는 X박스와의 협업을 시작으로 점차 다른 게시자에게도 기회를 확대할 계획이다.

벌이 사라진다···이 로봇벌이 힘을 보탤까?

생체전자(바이오닉) 비행체 개발의 대가인 독일 페스토가 군집(무리)비행까지 할 수 있는 로봇벌을 개발해 주목을 모으고 있다. 로봇벌은 생성형 인공지능(AI) 설계 기술, 미세전자기술을 사용한 하드웨어적 특징, 통신기술 등을 통해 군집비행까지 실현했다. 로봇 벌은 무게 약 34g, 길이 22㎝, 날개 너비 24㎝다. 이제 관건은 크기를 더 줄이는 일이다. 미소전자기술의 발전은 이를 가능하게 해 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