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에서도 쓰던 앱 그대로” 카카오T·티맵, 글로벌 시장 공략 박차

[AI요약] 국내 모빌리티 플랫폼 기업들이 서비스형 모빌리티(MaaS)를 구상하며 국내를 넘어 해외까지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베트남과 일본에 이어 120개국까지 카카오T 서비스를 확대할 계획이며, 티맵모빌리티 역시 우버를 활용해 해외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국내 양대 모빌리티 플랫폼 카카오모빌리티와 티맵모빌리티가 서비스형 모빌리티를 구상하며 해외 진출을 꾀하고 있다 (이미지=픽사베이, 티맵, 카카오)

우리나라 모빌리티 플랫폼 기업들이 국내를 넘어 해외까지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모빌리티 플랫폼 기업들은 집에서 해외까지 모든 이동 서비스를 하나의 플랫폼으로 연결하는 ‘서비스형 모빌리티(MaaS, Mobility as a Service)’를 구상하고 있다.

가장 먼저 글로벌로 영역을 확대하고 있는 곳은 국내 양대 모빌리티 플랫폼인 카카오모빌리티와 티맵모빌리티다. 이미 카카오모빌리티는 베트남과 일본에서 이동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티맵도 곧 뛰어들 모양새다.

카카오T, 120개 국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카카오모빌리티는 그랩, MoT와 제휴를 맺고 베트남과 일본에서 카카오T 앱 로밍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미지=카카오모빌리티)

카카오모빌리티는 지난 7일 카카오T 서비스 출시 7주년 기자간담회에서 올해를 글로벌 진출 원년으로 삼겠다고 발표했다. 이날 간담회에서 류긍선 카카오모빌리티 대표는 “연내 글로벌 플랫폼과의 연계 등을 통해 카카오T 앱 지원 국가를 120개까지 늘리는 게 목표”라고 말한 바 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이미 베트남과 일본에서 카카오T 앱 해외 연동(로밍)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베트남에서는 2019년 10월 글로벌 모빌리티 중개 플랫폼 기업 스플리트(Splyt)와 업무 제휴를 통해 카카오T 앱으로 그랩(Grab) 택시를 호출하는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이 로밍 서비스를 이용하면 카카오T 앱 그대로 현지의 그랩 택시나 오토바이(그랩 바이크) 등을 호출할 수 있다.

일본에서는 2018년 12월 일본 최대 모바일 택시 호출 서비스를 운영하는 모빌리티 테크놀로지(MoT·Mobility Technologies, 구 재팬택시)와 제휴해 로밍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우리나라를 방문하는 일본인도 재팬택시 앱 그대로 한국에서 사용할 수 있다.

카카오모빌리티 측은 “해외 이용자들이 한국을 방문했을 때 카카오T를 쓸 수 있도록 영문 플랫폼을 내놓을 계획”이라며 “카카오T 앱 사용을 넘어 해외 이동·물류 등 연결 서비스를 지원하는 안을 모색할 것”이라고 말했다.

티맵, 우버와 협업해 원스톱 서비스로

티맵모빌리티는 티맵 앱과 우티 앱으로 한국 집 앞에서 뉴욕의 호텔까지 아우르는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이미지=픽사베이)

티맵모빌리티도 우티(UT) 택시와 공항버스, 해외 우버 서비스까지 연계하는 토털 서비스를 구상 중이다. 이를 위해 지난해 글로벌 차량공유 기업인 우버와 합작법인 ‘우티’를 설립하며 티맵택시 앱을 우티 앱으로 업그레이드했다. 우티 앱은 우버 앱과 연동되어 국내 이용자는 해외에서 우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고, 외국인도 우버 앱으로 한국에서 우티를 이용할 수 있다.

지난달에는 약 2000억원을 들여 ‘서울공항리무진’과 ‘공항리무진’ 등 공항버스 기업 두 곳을 인수했다. 두 기업의 공항버스는 총 350여 대로 서울에서 공항까지 가는 이동 수요의 20%를 담당하고 있다.

연내에 티맵 앱에 공항버스 좌석 예약 서비스를 도입하고, 항공기 이·착륙 정보와 연동해 공항버스 탑승 정보도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우티 택시와 결합한 환승 할인, 연계 추천 경로 안내 등의 서비스도 제공할 예정이다. 즉, 집에서 미국 뉴욕의 호텔까지 경로를 검색해 국내 우티 택시 → 기차(또는 공항버스) → 비행기 → 현지 우버까지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쏘카 역시 구상 중인 원스톱 서비스에 대해 지난해 12월 간담회에서 밝힌 바 있다. 쏘카는 카셰어링 외 기차, 열차, 항공, 전기자전거, 주차서비스 등 이용자 중심의 개인화된 모빌리티 경험을 제공할 예정이다. 아울러 해외 사업 노하우를 축적하기 위해 SK와 합작해 말레이시아에 ‘쏘카 말레이시아’를 설립했다.

반면 업계에서는 우려하는 분위기다. 관계자는 “카카오나 티맵 등 서비스가 중복되는 경향이 있다”며 “국내 모빌리티 기업의 해외 진출 사례가 많지 않으며, 현지 수요 또한 명확하지 않다”고 전했다.

조인숙 기자

aloha@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AI, IT기기 속으로···근데 강요당하는 듯한 “이 느낌 뭐지?”

쏟아지는 AI 기기는 노트북 자판, 무선 마우스, 무선 이어폰에서 휴메인 AI핀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소비자 차원에서 이 기기들을 냉정하게 살펴 볼 필요가 있다는 반응도 나온다. 예를 들면 이 기기들이 소비자들에게 AI 사용을 강요해 부담스럽다거나 설익은 채 출시됐다는 지적이 그렇다. IT기기 소비자들이 쏟아지는 AI 탑재 기기들을 냉정하게 바라볼 필요가 있다는 의미로 읽힌다.

‘생성형AI 골드러시’ AI 엔지니어의 주말은 없다

엄청난 압박감, 오랜 근무 시간, 끊임없이 변화하는 업무로 인한 탈진. 기술 기업에서 근무하는 대부분 AI 엔지니어들의 현재 상태다. 이들은 생성형AI 골드러시라는 엄청난 경쟁속에서 주말 밤낮없이 근무를 하면서 번아웃에 시달리고 있다.

CATL “주행거리 1000km 리튬인산철배터리” 공개···초당 1km 충전

세계 최대 배터리 제조업체인 중국 CATL이 초당 1km씩 충전해 10여분 만에 총 1000km를 달리게 해 주는 전기차용 초고속 충전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내놓았다. 10분만 충전하면 600km를 달릴 수 있다. CATL은 10여분 충전으로 중국 북부 베이징에서 남부 난징까지 갈 수 있다고 말했다.

AI 엑스포 2024 현장, '본격화된 생성형 AI 시대'… 온디바이스 AI, 디지털 문서, 영상인식까지

챗GPT, 제미나이, 라마 등 대화형으로 시작된 생성형 AI 기술은 이제 다양한 분야와 접목돼 놀라운 상용화 서비스로 선보이고 있는 상황. 올해 AI 엑스포 2024에서는 이 혁신의 중심에 선 관련 국내외 생성 AI 플랫폼들의 서비스 경쟁이 특히 많은 주목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