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가 클라우드 끝판왕이 된 이유는?

[AI 요약] 클라우드 시장에서 아마존웹서비스(AWS)의 위치는 압도적이다. 시장 점유율에서 확실하게 드러난다. AWS는 규모의 경제를 이루며 매우 저렴하다는 강점을 가진다. 지속적으로 AWS 서비스 가격 인하에 따른 잠재 고객 유인 효과가 시장 성장을 가속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미 클라우드는 금융의 위상을 넘어섰다. 클라우드워스(cloudwars)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상위 10위 클라우드 기업의 시가총액 합계는 약 5조 2000억 달러(한화 약 6068조 4000억원)로, 은행의 시가 총액 합계인 약 4조 8000억 달러(약 5601조 6000억원)보다 4000억 달러 이상 높다.

클라우드 시장에서 아마존웹서비스(Amazon Web Services, 이하 AWS)의 위치는 압도적이다. 아마존의 AWS, 마이크로소프트(MS)의 애저, 구글의 GCP는 하이퍼 스케일 급의 클라우드 공급 업체로 묶이지만, AWS 앞에는 '울트라'라는 수식어까지도 붙어야 할지 모른다. 이는 시장 점유율에서 확실하게 드러난다.

시장조사업체 가트너에 따르면 2020년 기준 AWS의 글로벌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IaaS) 시장 점유율은 40.8%로 1위를 차지하고 있다. 2위인 MS 애저 점유율 19.7% 보다 2배 이상 높다. 2017년에는 AWS를 통하는 컴퓨팅 사용량이 AWS를 제외한 14개 기업의 컴퓨팅 사용량을 합한 것보다 무려 10배가 넘는다는 조사 결과도 있었다.

무엇이 이토록 AWS를 크게 만든 것일까? 현 아마존 CEO이자, 전 AWS CEO였던 앤디 제시는 AWS의 강점에 대해 이렇게 설명했다.

"간단하다. AWS는 규모의 경제를 이뤄 매우 저렴하다"

그도 그럴 것이 AWS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출시한 이후, 날로 규모를 키워가면서 서비스 제공 가격을 인하하는 정책을 펼쳤다. 2019년 기준 무려 67차례 가격 인하를 단행했다. 그럼에도 영업이익률은 30% 수준이다.

삼성증권 글로벌 리포트에 따르면, AWS 서비스 가격 인하에 따른 잠재 고객 유인 효과가 오히려 시장 성장을 가속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성장이 가격 인하로 인한 매출액 감소 효과를 압도했다. 이러한 프로세스는 AWS의 '클라우드 선순환' 비즈니스의 핵심이기도 하다.

클라우드 선순환, '성장'이 '감소'를 압도한다

사실 AWS의 시작은 아주 작았다. 아마존을 운영했던 제프 베조스가 작은 기업들이 웹사이트 같은 인프라에 너무 많은 비용을 들이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작했던 실험(?) 같은 것이었다. 그래서 무엇보다 저렴해야 했다. 그래서 작은 기업들이 모여들기 시작했다. 이들 기업은 AWS를 더 많이 사용하고, 또 이게 다시 투자로 이어졌다.

그때의 작은 기업들에 넷플릭스, 에어비앤비, 슬랙 등 지금은 '잘 나가는' 기술 기반 IT 서비스 기업들이 포함돼있다. 그 기업들이 급격하게 성장하면서 더 큰 인프라가 필요해졌고, 덩달아 AWS도 함께 성장할 수 있었던 것이다.

출처: AWS

삼성전자의 AWS 도입 이유는 AWS가 기업과 함께 성장하는 과정을 그대로 보여준다.

삼성전자가 사물인터넷(IoT) 플랫폼에 AWS를 도입한 것에 대해, 윤진수 삼성전자 빅데이터그룹 상무는 "삼성전자는 매년 수 억대가 넘는 전자기기를 판매하고 있다. 이렇게 판매한 기기를 IoT의 영역으로 확대 중"이라며, "클라우드 서비스는 시스템 운영 비용이 효율적이고, 인프라에서 나오는 데이터가 자연스럽게 분석 환경으로 넘어가야 하며, 이러한 관리 시스템을 매우 쉽고 자연스럽게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렇다면 지금은 상황이 달라졌을까? 아니다. 우리나라만 보더라도 당근마켓, 마켓컬리, 지그재그, 클래스101, 선데이토즈 등 성장을 예약해 둔 기업들이 AWS의 주요 고객이다. 물론 삼성전자, 대한항공, 카카오, LG전자, 카카오, 넥슨, 엔씨소프트, 넷마블, KBS, CJ오쇼핑 등 다수 기업이 AWS 기반으로 자신들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AWS의 선순환은 계속되고 있다.

석대건 기자

daegeon@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모르면 손해! 3억 구독자 등에 업은 ‘넷플릭스 무료게임’ 최신 리스트

넷플릭스가 넷플릭스게임즈를 키우기 위해 에픽게임즈의 인재를 영입하면서 곧 기업에 상당한 움직임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올해 초 넷플릭스게임즈는 2024년 로드맵을 발표했으며, 여기에는 스트리밍 플랫폼을 통해 액세스할 수 있는 최대 14개의 새로운 게임이 포함돼 있다.

도대체 왜?···머스크의 트럼프 지지 속내 3가지

일론 머스크는 트럼프가 미 대통령에 당선되더라도 바이든 행정부에서 겪은 푸대접 대신 오히려 최소 3가지 이익을 기대하며 그를 지지했을 것으로 보인다. (물론 기본적으로 머스크는 트럼프와 ‘배짱이 맞아서’ 지지했을 것이다.) 그 3가지는 ▲바이든 행정부의 전기차 보조금 공제법 폐지시에도 자사의 보급경 전기차(모델 3)는 경쟁력있다는 점 ▲바이든 행정부가 머스크와 테슬라에 보인 푸대접을 더 이상 받지 않을 것이라는 점 ▲바이든 행정부가 테슬라 자율주행 기술을 예의주시하며 잠재적으로 증권과 전신 사기 혐의로 이어질 수 있는 조사 개시를 회피할 수 있으리란 기대감이다.

[AGI 콘퍼런스 2024] 김동신 센드버드 대표 “AI 챗봇 서비스 도입의 목적은 개인화된 고객 커뮤니케이션 자동화, 사용자 경험 극대화입니다”

김동신 센드버드 대표는 “바퀴를 재발명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AI 서비스 개발 시 이런저런 시도로 시행착오를 거치는 과정이 불가피하지만 결국 ‘사업적 성과’로 이어지도록 빨리 시장에 선보이고 개선하는 작업을 진행해야 한다는 것이다.

‘웨이모 Vs 크루즈 Vs 사이버캡’ 미국의 ‘로보택시’ 삼파전

제너럴모터스의 자율주행차 사업부인 크루즈가 도시에서 운행하도록 설계된 자율주행 셔틀 오리진의 생산을 무기한 연기 발표하자 알파벳은 자사의 자율주행차 사업부인 웨이모에 대대적인 투자를 발표했다. 테슬라 역시 전용 로봇택시인 사이버캡 공개 계획을 미루면서, 웨이모의 미국 로보택시 시장 선점에 청신호가 켜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