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랜드 에코 시스템 만들기

브랜딩의 위기와 기회는 결국 미디어의 변화로부터 발생했습니다. 이 변화의 핵심은 미디어의 주체가 브랜드에서 소비자 중심으로 옮겨졌다는 것이죠.

브랜딩을 한다는 것은 미디어를 통한 메시지 전달에서 소비자 네트워크 관리로 변했다.

따라서 브랜딩도 달라졌습니다. 과거에는 미디어를 통해 우리의 메시지를 정확하게 전달하는 것이었다면, 이제는 이러한 브랜드 에코 시스템을 형성하고 관리하는 것이 브랜딩이 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즉, 우리의 목표는 소비자가 스스로 우리 브랜드 관련한 (정확히는 '공감가치'와 관련한) 대해 콘텐츠를 만들고, 상호 작용을 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브랜드 에코 시스템 어떻게 만들까?

브랜드 에코 시스템을 만들기 위한 첫 단계는 브랜드와 소비자의 '공감 가치'를 찾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 공감 가치를 에코 시스템으로 구축하기 위해 '프레임' '스토리텔링' '커뮤니티'를 활용하게 되죠.

이번 글에서는 같은 내용을 반복하는 형태보다는 좀 더 실행 요소들 위주로 정리를 해보겠습니다.

공감 가치 만들기

공강 가치는 '제품'이나 '품질'에 대한 것이 아닙니다. 이에 대해서는 여러 차례 스티브 잡스의 영상을 소환해 말씀드렸어요. 나이키는 신발을 파는 것이 아니라 스포츠 선수에 대한 경의를 표하고, 애플 역시 위대한 크리에이터에게 경의를 표하는 방식으로 '스포츠'를, 또 '크리에이티브'하게 살고 싶은 열정을 불러일으키죠.

룰루레몬에는 '스웻라이프'라는 가치가 있고, 오롤리에는 '행복'이라는 가치가 있습니다. 공감 가치 만들기는 브랜드와 소비자가 아닌 '우리'가 함께 추구하는 가치는 무엇인지를 명확히 설정하는 단계입니다.

소비자 참여 요소 제공

공감 가치가 만들어졌다면 소비자들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요소가 만들어져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 소비자들이 콘텐츠를 만들게 되고, 참여하는 소비자들 사이에 연대감이 형성되기 때문이죠.

참여 요소에는 대략 아래와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콘텐츠 : 상시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나 가이드 (홈트 등)
  • 커뮤니티 :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에서 우리의 소비자 간 연계를 할 수 있는 모임 (트레바리 독서모임 등)
  • 참여 이벤트 : 강의나 공연 등 소비자의 관심사(그리고 브랜드 가치)와 관련된 프로그램 (요가 클래스 등)
  • 제품 아이디어 : 소비자가 직접 제품 개발 과정에 참여

꼭 이런 참여 요소가 모두 있을 필요는 없습니다. 하나씩 진행을 해보면서 우리가 지향하는 가치에, 그리고 소비자의 성향에 가장 잘 맞는 것을 위주로 진행해야겠죠.

앰버서더 활용

앰버서더는 커뮤니티의 방향성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단순히 인플루언서나 브랜드 뮤즈의 역할이 아니죠. 글로시에 같은 경우 뷰티 크리에이터나 셀럽 콜라보를 진행하는 형태로 자연스럽게 브랜드를 노출합니다.

앞서 언급했던 '다꾸TV' 같은 경우도 콜라보를 통해 만들어진 콘텐츠죠. 초기에는 이런 콜라보를 진행해서 관심도를 높일 수 있지만, 차츰 내부의 파워 유저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서 우리 브랜드만의 문화를 형성해 나갈 수 있습니다.

멤버십 베네핏 제공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회원들에게 주어질 수 있는 혜택은 무엇이 있을까요? 이런 혜택은 단순히 금전적인 보상뿐 아니라, 내가 이 브랜드의 일원이라는 일체감을 줄 수 있습니다.

할인 혜택 외에, 가장 먼저 제품을 써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던가, 커스텀 서비스, 런칭 파티 초대 등을 통해 지속적인 참여에 대한 동기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 글은 브랜딩을 하지 않는 회사들의 대략적인 가이드를 위해 쓰였습니다. 왜 브랜딩을 해야 하지?라는 목적성 자체가 불분명한 기업들에게 나름의 자신감과 함께, 실제 브랜딩을 진행했을 때의 시행착오를 최소화하게끔 하고 싶었기 때문이죠.

이 몇 편의 글이 답이 될 순 없겠지만, 답이 멀리 있는 것은 아니라는 자신감을 얻는 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됐으면 합니다.

이 글의 원본은 이곳에서 볼 수 있습니다.

최프로

travlr@kakao.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인공지능이 동화책을 쓰는 방법

챗GPT가 동화를 쓰는 방법에 대해 학습한 결과는 어떠할까? 인공지능이 사람의 감성을 닮아가는 시대에 이르렀지만 인간의 감정을 자극하고 감동을 줄 수 있는 완벽한 'creative'와 'story'를 전달해 줄 수 있을까? 어쩌면 이것도 시간문제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올리브영의 신성장 동력이 주류 판매라고요?

올리브영이 작년 10월부터 시범적으로 일부 매장에서 진행했던 주류 제품 판매를 확대한다고 합니다. 강남 및 을지로 일대 매장을 중심으로 주류 카테고리를 확대하며, 품목 수도 약 100여 개까지 늘린다는 건데요. 또한 앞으로는 오프라인 매장뿐 아니라, 온라인에서도 전통주 등 일부 주류 상품 구매가 가능해진다고 합니다. 이러한 결정은 오프라인 70여 개 매장에서 고객 반응을 관찰한 결과로, 시범 판매 첫 달 대비 올해 4월 기준으로 주류 제품 매출이 약 60% 증가하면서 내부에서도 자신감을 얻은 것으로 보입니다.

칭찬과 인정의 미묘한 차이

먼저 칭찬은 구성원의 행동(Doing)에 초점을 맞춘다. 예를 들어 “이번 프레젠테이션 너무 좋았다.”, “1분기 목표를 달성하다니, 참 잘했다.”와 같은 것이다. 반면, 인정은 존재(Being)에 초점을 둔다. 구성원을 인정하는 것은 구성원이 조직에서 어떤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조직이 그들에게 감사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도록 하는 것이다. 

피프티 피프티의 성공은 기적이 아닌 기획 덕분이었습니다

혹시 피프티 피프티라는 아이돌 그룹에 대해 아시나요? 이들이 지난 2월 발표한 싱글 1집의 수록곡 Cupid는 대한민국 아이돌 역사상 최단기간 빌보드 Hot 100 차트 진입에 성공하고, 무려 9주 연속으로 차트인 중입니다. 정말 좋은 의미로 충격적인 데뷔 성과라고 할 수 있는데요. 물론 여전히 낯설다고 하실 분들도 계실 겁니다. 왜냐하면 놀랍게도 이러한 성과가 국내의 성공 기반 없이 거둔 것이기 때문입니다. 무려 멜론 차트보다, 빌보드 차트에 먼저 진입하는 진기록을 세우기도 했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