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가 대권 경쟁에서 패배한 것이 미국 기자들의 해고 사유 중 하나다

트럼프가 대권 경쟁에서 패배한 것이 미국 기자들의 해고 사유 중 하나라고 니먼랩이 보도했다.

워싱턴 포스트가 10월 초에 10%의 직원을 해고한다고 밝혀 NPR, LA타임스 등을 따라 미국 언론사에 기자들의 해고 붐이 일고 있다. 니먼랩은 이같은 해고 원인을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했다.

첫번째는 현대 미디어 환경이 본질적으로 경쟁적이기 때문에 언론사들이 비용을 투입해 경쟁하고 있으며 사람을 해고하는 것이 재무 상태 개선에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두번째는 경기 침체로 기업의 광고가 감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세번째는 소셜미디어 플랫폼이 뉴스사이트에 트래픽을 줄이기 있기 때문이다. 메타는 페이스북에서 뉴스의 점유율이 3% 정도라고 밝힌 바 있다.

마지막으로 트럼프가 대권 경쟁에서 패배한 후 뉴스 구독과 웹사이트 트래픽이 감소하고 있다. 2016년부터 2021년까지 트럼프 대통령 집권 기간과 코로나로 인한 팬데믹 기간에 뉴스 소비는 대폭 증가했다. 워싱턴 포스트는 트럼프가 퇴장한 후 3년간 50만명의 구독자를 잃었다.

니먼랩은 트럼프 대통령의 재임기간과 코로나는 미국인들에게 감정적인 분노와 스트레스를 증가시켰으며 이는 뉴스의 소비를 증가시켰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트럼프가 퇴임하고 팬데믹이 종료되며 미국인들은 정상을 되찾았고 이는 뉴스 소비로 이어지게 되었다는 것이다. (끝)

이 기사는 거북이 미디어 전략 연구소장이 기고했습니다.

거북이미디어연구소

getough@gmail.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직원 고과, 상대평가와 절대평가 중 어떤 게 좋을까?

최근 직원 평가 방법을 상대평가에서 절대평가로 전환했다는 기업들의 기사를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습니다. 일부 기사에서는 절대평가가 상대평가보다 ‘좋다’라는 인식을 주기도 하는데요.

2023 한국 데이터 저널리즘 어워드 : 올해의 데이터 시각화 수상작은?

데이터에 관련해서도 많은 시상식이 열리지만, 오늘은 ‘2023 한국 데이터 저널리즘 어워드’를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그중 뉴스젤리는 데이터 시각화 기업으로서 ‘올해의 데이터 시각화 상’을 수상한 두 작품을 여러분과 함께 살펴보려고 합니다! 각 작품의 흥미로운 제작 배경과 사용한 데이터, 그리고 활용한 데이터 시각화까지 함께 알아볼까요?

쿠팡 ‘계획된 적자’ 시즌2 시작하나요?

대부분의 경쟁자가 긴축 모드에 돌입했다는 점도 큰 차이점입니다. 특히 이는 쿠팡에게 매우 좋은 일이라 할 수 있는데요. 일단 최대 경쟁자인 네이버만 해도, 성장보다는 수익에 초점을 맞추고 있고요. 신세계 그룹 역시 당장의 실적 부진 반등이 최우선 과제라, 공격적인 투자를 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이에 따라 나 홀로 투자 모드로 돌아선 쿠팡이 얻는 효과는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모두가 멈출 때 혼자 달리면 격차는 벌어질 수밖에 없으니까요.

우리 제품의 '광팬' 고객, 어떻게 만들 수 있을까?

어떤 제품이 자신이 추구하는 가치를 실현시켜주면 여기에 유대감을 느끼고 애착을 갖게 되며, 이런 관계가 꾸준히 지속되면 제품에 대한 신뢰가 쌓여 이를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다른 사람들에게 홍보하는 광팬 고객이 된다는 거죠. 그럼 구체적으로 뭘 어떻게 해야 하는 걸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