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이후, 급증하는 스미싱 문자 피해..."특별 대책 필요해"

최근 코로나 19확산과 긴급재난지원급 지급으로 클릭을 유도하는 ‘코로나 스미싱 문자’가 급증했다. ‘스미싱’이란 문자메시지(SMS)와 피싱(Pishing)의 합성어로, 사람들이 관심 가질만한 내용과 악성코드가 포함된 링크를 보내 접속한 사람들에게 피해를 끼치는 행위를 말한다.

클릭을 유도한 후 악성코드가 스마트폰에 설치되어 피해자가 모르는 사이 소액결제 피해 발생 및 개인 금융정보가 탈취될 수 있다. 코로나로 인해 안내문자와 재난문자가 급증하다 보니 이를 악용해 ‘스미싱 문자’가 늘어난 것으로 파악된다.

국회 과학기술정보상송통신위원회 김상희 의원이 한국인터넷진흥원으로부터 제출 받은 자료에 의하면, 올해 코로나19와 재난지원금 관련 스미싱 문자로 인해 ‘공공기관 사칭형’이 지난 해 36건에서 올 8월 기준 2167건으로 약 60배 이상 급증했다. 이와 비슷하게 택배 주문량이 증가하며 ‘택배사칭형’ 스미싱 건수 역시 2배 이상 급증한 54만2556건으로 나타났다.

 

 

코로나 사칭 문자는 아래와 같이 피해자에 보내졌다. ‘국내 우한폐렴 환자 급속도 확산’이라는 내용과 함께 링크가 포함된 문자였다. 코로나 공포를 이용한 스미싱 수법이다. 그 외에도 ‘코로나 환자 휴게소에서 수많은 사람과 접촉’ 등의 위협적인 내용이 오기도 한다.  배송 완료 문자나 마이너스 대출 홍보 관련 내용으로 문자가 오기도 한다. 

이런 스미싱 문자는 사회공학적 해킹에 해당한다. 사회공학적 해킹은 사회적인 요소나 사람의 취약점을 이용해 원하는 정보를 얻는 공격 기법을 뜻한다. 코로나 19라는 사회 상황을 이용해서 해킹을 시도하는 것이 이에 해당한다.

 

피싱, 사회공학적 해킹으로 노려

그 중에 가장 기본이 되는 피싱(phising)은 이메일, 메시지 등을 랜덤한 유저에게 보내서 해킹을 시도한다.  랜덤으로 보내지기도 하지만 때로는 유저의 전화번호, 패스워드, 크레딧카드 등의 정보를 미리 알고 접근하여 나머지 정보를 받아내기 위한 수법으로 사용된다. 

스미싱 문자에 대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모르는 번호로 전송된 링크에 접속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비공식 앱스토어의 사용을 지양해야 한다. 또한, 스마트폰의 보안설정 강화를 통해 악성코드나 바이러스에 대비를 철저히 할 필요가 있다.

피해자들은 주로 ‘긴급재난지원금 지급 안내’ 또는 ‘감염 지역 확인’관련 문자를 공공기관에서 보낸 안내 문자로 착각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정부의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김효정 기자

hjkim@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접시 안테나 안녕~ 이젠 위성 인터넷도 소형 스마트 안테나로

거추장스런 접시 안테나 대신 간편한 휴대용 사각 안테나로 인터넷 통신위성과 편리하게 연결해 주는 기술이 등장했다. 올 연말을 기점으로 통신위성과 지상 기지국, 자동차 및 드론까지 이 효율성 높은 저전력·저비용 위성통신 수신 안테나로 연결하는 게 자연스러워질 것 같다.

문화와 예술을 기계로 파괴하는 ‘애플 아이패드 프로’ 광고에 대하여

그동안 감각적이면서도 감동적인 광고로 제품을 효과적으로 홍보했던 애플의 이번 아이패드 프로 광고는 실패로 돌아갔다. 시청자들이 사랑하고 아끼는 문화와 예술을 무자비하고 파괴하고, 그 자리를 아이패드로 채우라는 애플의 제안은 충격을 넘어 끔찍하기까지 하다.

‘강력한 AI칩’ 탑재한 최신 ‘아이패드프로·아이패드에어·애플펜슬 프로’의 모든 것

애플이 최신 아이패드 에어, 애플팬슬 프로와 함께 엄청나게 강력한 AI칩을 탑재한 아이패드 프로를 선보였다. 최신 아이패드 프로에는 기존 모델보다 4배 향상된 성능을 제공하는 애플의 새로운 맞춤형 M4 프로세서가 탑재된 것이 핵심이다. 또한 역대 가장 얇은 사이즈의 아이패드 프로 모델이 공개되면서 주목 받고 있다.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시대, D2C에 SaaS를 더하니… 시장의 흐름이 바뀌고 있다

블로그, 유튜브, 틱톡, 인스타그램 등 다양한 채널의 등장과 함께 시작된 1인 미디어 시대는 자신만의 콘텐츠를 만들어 선보이고 이를 통해 수익까지 창출하는 ‘크리에이터 이코노미(Creator economy)’로 이어졌다. 최근 독자적인 D2C(Direct to Consumer)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는 크리에이터 이코노미의 혁신을 이끄는 것이 바로 SaaS(Software as a Service, 서비스형 소프트웨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