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은 정신적 아편인가? '중국 리스크'와 '중독 리스크'

최근 우리나라에서 게임 셧다운제를 두고 치열한 논쟁이 벌어진 바 있다. 게임산업을 퇴보시키는 낡은 규제라는 진보적 입장과 아이들의 정신건강 등을 위협하는 중독이라는 입장이 부딪혔다. 이 논쟁에서 과거의 강제적 셧다운제는 한걸음 물러서는 듯한 모양새다. 게임 '중독' 대신 '과몰입'이라는 단어가 적절하고, 선택적인 셧다운제로 규제를 완화해야 한다는 목소리에 힘이 실리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중국발 게임 규제 소식이 들려왔다. 지난 3일 중국 정부산하 관영 매체가 (온라인) 게임을 '정신적 아편', '전자 마약'이라는 원색적인 단어를 쓰면서 비판한 것이다.

신화통신의 자매지 경제참고보의 보도였는데, 그 여파는 강렬했다. 해당 기사가 나가자 중국의 게임사인 텐센트, 넷이즈 등의 주가가 폭락했고 기사에 직접 언급된 텐센트는 자사의 셧다운제를 강화하겠다는 발표를 하기에 이르렸다. 기사에 의한 경제적 악영향 탓인지 해당 기사는 삭제됐다.

중국 게임 시장이 워낙 크기 때문에 국내 게임사들의 주가도 일정 부분 영향을 받았다. 특히 최근에서야 국내 게임사의 중국 내 판호를 내준 상황에서, 중국 관영매체의 이 같은 보도는 경계해야 할 부분이다.

중국은 우리나라에 대해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에 따른 한한령을 거둬들이지 않고 있다. 이로 인해 국내 게임사의 중국 시장 공략은 큰 어려움을 겪어왔다. 2017년 3월 이후 한국 게임이 중국에서 판호를 발급 받은 것은 3건에 불과하다.

국내 게임업계는 게임은 정신적 아편이라는 중국의 논란에 대해 당황하는 분위기가 역력하다.

이에 대해 한 주요 게임사 관계자는 "기사가 삭제됐고, 게임 자체의 일반적인 위해성에 대한 지적이기 때문에 국내 게임사의 판호 발급과 연관 짓는 것은 어불성설이다"라면서도, "정부가 관여하는 중국 시장 특성상, 게임 시장 자체가 위축될 수 있어 국내 업체들도 우려하는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

중국, 대규모 게임 제재 내놓나...국내 게임산업과 셧다운제에 영향 끼칠수도

이번 논란으로 인해, 중국 정부의 게임 압박 기조가 있다는 것이 드러났다. 해당 보도를 한 경제참고보는 "하루에 8시간씩 왕자영요(텐센트의 게임)를 하는 학생들이 있다"며 청소년들의 게임 중독을 비판했다. 특히 전자 마약, 정신적 아편이라는 강한 단어로 게임을 비판하며 "어떤 산업이나 스포츠도 한 세대를 파괴하는 방식으로 발전해서는 안 된다"고 보도했다.

보도 이후 텐센트와 넷이즈의 주가는 각각 장중에서 10%, 13% 이상 떨어지기도 했다. 이러한 관영매체의 보도에 대해 일각에서는 '중국의 빅테크 산업 길들이기'의 연장으로 분석하고 있다.

텐센트의 인기 게임 '왕자영요'. 중국 관영매체의 직접적인 지적을 받았다.

중국 정부가 빅테크 기업들의 기강을 잡기 위해 게임 산업까지 건드리고 있다는 것이 중론이다. 알리바바의 마윈 창립자에 대한 핍박과 디디추싱, 바이트댄스, 징둥 등에 대한 압박에 이어 텐센트와 같은 게임사 기강 잡기로 이어지는 것이다.

다만 중국 정부가 지적한 '전자 마약'이라는 지적은 산업적인 논리로 무시하기에는 우려되는 부분이 있다. 중국의 보도에서 언급된 것 처럼, 청소년들이 하루에 8시간 이사 게임을 하는 사례가 적지 않기 때문이다. 국내의 경우 게임 셧다운제 규제가 완화되면 적지 않은 부작용이 등장할 것도 어렵지 않게 예측할 수 있다.

지난달 30일 여성가족부는 셧다운제 개선과 게임 과몰입에 대한 청소년 보호 방안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는 청소년과 학부모가 자율적으로 게임 이용시간을 조절하는 ‘게임시간 선택제’의 실효성을 높이고 부모에 대한 게임정보 제공을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청소년이 게임을 건강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학부모, 교사, 청소년 대상 교육을 확대하고 업계의 사회적 책임 강화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게임 산업을 위해서는 반가운 규제 개선 움직임이지만, 초중고 학생들을 양육하는 학부모 입장에서는 무조건 반길만 한 소식은 아닐 수 있다. 다만 시대착오적인 일괄 규제를 개선한다는 점은 환영할 부분이다.

또 다른 게임업계 관계자는 "이번 중국의 보도가 중국 게임 시장에 대한 대규모 제재를 내놓으려는 신호탄일 수도 있다"며, "사회주의 국가인 중국과 국내 시장을 직접 비교할 수 없지만, 이번 논란으로 산업과 청소년의 정신건강을 두루 살피는 규제 개선책이 나오길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김효정 기자

hjkim@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시대, D2C에 SaaS를 더하니… 시장의 흐름이 바뀌고 있다

블로그, 유튜브, 틱톡, 인스타그램 등 다양한 채널의 등장과 함께 시작된 1인 미디어 시대는 자신만의 콘텐츠를 만들어 선보이고 이를 통해 수익까지 창출하는 ‘크리에이터 이코노미(Creator economy)’로 이어졌다. 최근 독자적인 D2C(Direct to Consumer)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는 크리에이터 이코노미의 혁신을 이끄는 것이 바로 SaaS(Software as a Service, 서비스형 소프트웨어)다.

[인터뷰] 황성욱 스텝하우 대표 “많은 시간과 노력 들여야 하는 매뉴얼·가이드, 1분 안에 생성하는 플랫폼을 만들고 있습니다”

지난달 글로벌 VC(벤처캐피탈) 앤틀러가 한국 지사 앤틀러코리아를  통해 시도하고 있는 독특한 스타트업 제너레이터 프로그램의 3번째 팀들이 소개됐다. 스텝하우는 기업들이 직면한 매뉴얼·가이드 제작 비효율성을 해결하기 위한 자동화 솔루션을 선보이며 주목을 받았다. 스텝하우 솔루션은 확장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클릭, 텍스트 등을 중요 업무 이벤트로 인식해 자동으로 Step-by-step 매뉴얼/가이드 문서를 생성한다. 이때 소요되는 시간은 단 ‘1분’이다.

AI, IT기기 속으로···근데 강요당하는 듯한 “이 느낌 뭐지?”

쏟아지는 AI 기기는 노트북 자판, 무선 마우스, 무선 이어폰에서 휴메인 AI핀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소비자 차원에서 이 기기들을 냉정하게 살펴 볼 필요가 있다는 반응도 나온다. 예를 들면 이 기기들이 소비자들에게 AI 사용을 강요해 부담스럽다거나 설익은 채 출시됐다는 지적이 그렇다. IT기기 소비자들이 쏟아지는 AI 탑재 기기들을 냉정하게 바라볼 필요가 있다는 의미로 읽힌다.

‘생성형AI 골드러시’ AI 엔지니어의 주말은 없다

엄청난 압박감, 오랜 근무 시간, 끊임없이 변화하는 업무로 인한 탈진. 기술 기업에서 근무하는 대부분 AI 엔지니어들의 현재 상태다. 이들은 생성형AI 골드러시라는 엄청난 경쟁속에서 주말 밤낮없이 근무를 하면서 번아웃에 시달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