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2분기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 여전히 애플 1위, 삼성 2위

[AI요약] 카운터포인트 리서치에 따르면, 2022년 4월 전 세계 스마트폰 판매량을 집계한 결과 상위 10개 제품에 애플과 삼성 제품이 대다수를 차지했다. 가장 많이 팔린 스마트폰 제품 중 5개 제품이 애플 아이폰, 삼성전자 제품이 4개, 그리고 샤오미 제품이 1개를 차지했다.

전 세계가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접어든 올 2분기 초에도 여전히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은 애플이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3일(현지시간) 시장조사기업 카운터포인트 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4월을 기준으로 전 세계 스마트폰 판매량을 집계한 결과 상위 10개 제품에 애플과 삼성 제품이 대다수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가장 많이 팔린 스마트폰 제품 중 5개 제품이 애플 아이폰, 삼성전자 제품이 4개, 그리고 샤오미 제품이 1개를 차지했다. 상위 10개 제품은 전체 스마트폰 시장 판매량의 약 21%를 차지할 만큼 높은 비중을 보였다. 스마트폰 시장에서도 부익부 빈인빅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는 것.

(자료=카운터포인트 리서치)

애플은 최신 아이폰13이 전체 판매량의 5.5%를 차지해 베스트셀러 1위 제품에 선정됐다. 더불어 아이폰13 프로 맥스가 판매량 점유율 3.4%로 2위, 아이폰13 프로가 1.8%로 3위, 아이폰12가 1.6%로 나란히 4위를 차지했다.

보급형 성격인 아이폰 SE 2022년형 제품도 판매량 점유율 1.4%를 차지해 7위에 끼어들었다. 아이폰 SE는 일본 시장에서, 아이폰12는 일본과 인도 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이끌었다. 특히 상위 10개 제품 중 애플 제품이 차지하는 매출 비중은 전체의 89%에 이른다. 애플 아이폰 제품의 종류가 단순 명확한 것도 인기의 원인 중 하나로 파악됐다.

삼성전자는 갤럭시 S22 울트라 5G 제품이 1.5%로 판매량 순위 5위를 차지했다. 갤럭시 S22 울트라는 기존 갤럭시 노트 시리즈의 후속작으로 필기용 펜을 지원하는 거의 유일한 프리미엄폰이라는 점에서 시장의 꾸준한 지지를 받고 있다.

갤럭시 A13은 1.4%로 6위, 갤럭시 A03 코어 제품이 1.4%로 8위, 갤럭시 A53 5G가 1.3%로 9위에 올랐다. 삼성의 중급 안드로이드폰은 특히 인도와 남미 시장에서 인기를 끌었다. 다만, 삼성전자의 경우 상위 제품이 차지한 매출 비중은 전체의 22%에 그쳤다. 여기에 중국 샤오미 노트11 LTE 제품은 1.3%로 10위에 끼어들었다.

5G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스마트폰 비중도 늘었다. 지난 2021년 4월 베스트셀러 10개 제품 중 5G 폰은 4개에 그쳤으나 올해 4월에는 7개로 늘었다. 5G 네트워크 지원의 경우 고가의 프리미엄 제품에 주로 탑재되는 만큼, 향후 5G 폰이 중저가 제품으로 확대될 여지를 충분히 보이고 있다고 카운터포인트 러서치는 전했다.

추현우 기자

goodgle@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넥스트엘레베이션 데모데이 현장…데이터, 블록체인, AI 기술 기반 스타트업 주목

이번 데모데이는 지원한 130여 스타트업 중 26대 1의 경쟁률을 뚫고 선발된 5개 스타트업이 지난 3개월 간 갈고 닦은 비즈니스 모델과 가능성을 소개하는 자리였다. 지난 8월 선발 이후 3개월 간 진행된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은 각 스타트업의 KPI설정부터 시작해 초기 전략 및 프롲덕트 전략 수립 등 세부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넥스트엘레베이션의 전문가 밀착 멘토링이 이뤄졌다.

2024년 매수해야 할 최고의 테크주 10개 기업

2022년 이례적으로 부진한 실적을 보인 테크주가 올해 다시 활기를 되찾은 모습이다. 전문가들은 10년 넘게 지속된 기술 부문의 단기 실적 저조가 장기 매수 기회가 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2024년까지 이어질 전망이다

美 제재 속 화웨이 7나노칩 상용화···미스터리 풀렸다

화웨이가 지난 8월 29일 자체 개발한 7나노미터 스마트폰 칩(기린 9000S)을 탑재한 최신 ‘메이트 60 프로’ 스마트폰을 발표하자 미국 등 서방세계는 경악했다. 미국 정부의 첨단 반도체 기술 및 제조장비 제재 속에서 이를 극복하고 최첨단 7나노칩을 양산했다는 뜻이었기 때문이다. 화웨이와 SMIC 모두 개발 과정 등에 대해 함구했지만 내막이 서서히 드러나고 있다.

창립 10주년 맞이한 ‘몰로코’… AI 기반 머신러닝 애드테크 기업으로 우뚝

창립 10주년을 맞이한 몰로코는 머신러닝 기반 퍼포먼스 광고 솔루션 포트폴리오를 중심으로 더욱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2021년 몰로코의 시리즈 C 투자 유치 당시 평가액은 15억달러(약 1조9800억원)에 달했는데, 올해 초 2차 주식공모를 통해 신규 투자 유치 과정에서 평가액은 20억 달러를 기록했다. 단 2년만에 40%의 평가액이 증가한 것이다.  그런 몰로코가 7일 그간의 성과와 새로운 10년의 비전을 제시하는 자리를 마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