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 올 2분기 매출↓ 순이익↑… 비트코인은 대량 매도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 (사진=일론 머스크 트위터)

미국의 전기차 제조사 테슬라가 올 2분기 실적을 공개했다.
20일(현지시간) CNBC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테슬라는 올 2분기 매출 169억3000만달러(약 22조2170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당초 미국 월가의 전망치 171억달러에는 못 미치는 실적이다. 중국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상하이 공장 가동 중단 사태가 직접적인 원인이 됐다.

다만, 순이익은 크게 늘었다. 2분기 순이익은 지난해 동기 11억4000만달러에서 올해 22억6000만달러(약 2조9650억원)으로 2배 가까이 증가했다. 원가 절감과 함께 전기차 가격 인상 등 요인이 순이익 증가로 작용했다. 주당 순이익(EPS)은 2.27달러로 시장 전망치인 1.81달러를 훌쩍 뛰어넘었다.

테슬라는 2분기 충전 인프라 확장에도 크게 투자했다고 설명했다. 석 달 동안 미국 전역 709개소에 전기차 충전소를 신설했으며 총 3971개의 급속 충전기인 슈퍼차저가 늘었다고 보고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3분기 전망에 대해서는 생산량 증대를 통해 긍정적 견해를 밝혔다. "6월부터 독일 베를린 신규 공장에서 주당 전기차 생산량이 1000대를 넘기기 시작했고 텍사스 오스틴 공장에서도 주당 1000대 이상 생산이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논란이 됐던 암호화폐 투자는 크게 줄였다고 설명했다. 테슬라는 2분기에 비트코인의 보유분의 약 75%를 매각해 현금으로 전환했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9억3600만달러(약 1조2280억원)을 확보했다.

일론 머스크 CEO는 이에 대해 "상하이 공장 가동 중단으로 현금 포지션 극대화를 위한 조치였다"면서 "암호화폐 시장에 대한 과대 해석을 말아달라"고 설명했다. 기대를 모으고 있는 전기 픽업트럭 '사이버트럭'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내년(2023년) 중반에는 사이버트럭 양산과 인도를 시작하길 희망하고 있다"고 말했다.

2분기 실적 발표 직후 테슬라 주가는 시간외거래에서 1.45% 오른 753달러까지 올랐다.

추현우 기자

goodgle@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인터뷰] -1편- 한상엽 소풍벤처스 대표 “기후테크 기반 생태계 구축과 함께 글로벌 투자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한국의 로컬 VC인 소풍벤처스가 미국 VC인 콜라보레이티브펀드로부터 투자를 받았다는 사실은 남다른 의미를 담고 있다. 이제까지 국내 VC가 펀드에 출자하거나 합작법인을 설립했다는 소식은 간혹 들려왔지만, 지분투자는 드문 사례가 아닐 수 없다. 이에 대해 한상엽 대표는 “단순한 펀드 출자자를 넘어서 깊은 관계를 맺는 이해관계자가 된 것”이라고 자평했다. 실제로 양사는 이번 투자와 함께 전략적 파트너십 관계를 맺고 한국과 동남아 등 아시아 지역의 기후테크 스타트업을 발굴하고 투자 전략을 공유한다는 계획이다.

애플워치9, 허공을 두드리게 만들다

애플이 최신 스마트워치에 대해 제스처 제어 기능인 ‘더블탭’을 디바이스의 주력 기능으로 전면에 내세웠다. 전작에도 비슷한 기술을 탑재했으며, 경쟁사 제품에도 비슷한 기능이 있음을 가만하면, 애플의 이러한 결정은 점점 더 터치가 없어질 스마트워치와 스마트폰의 미래를 보여준다.

자, ‘틱톡샵’이 이제 영업을 시작했습니다

과거 미국 내 전자상거래 진출에 실패했던 틱톡이 다시한번 틱톡샵을 통해 해당 시장 확장에 나섰다. 국가안보 위협을 지적하며 압박을 가하고 있는 미국 국회의 입장에도 불구하고 시장 확장이라는 강행을 불사하는 틱톡의 속내가 궁금하다.

[인터뷰] 최한나·벤자민 호리 스포트라이트 공동창업자 “투명하고 공정한 플랫폼으로 상업 촬영 분야의 문제를 해결하고 있습니다”

아날로그 방식으로 진행됐던 클라이언트와 모델 간의 매칭을 스포트라이트를 통해 플랫폼화하는 시도는 특히 세계 각국의 모델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과거의 방식으로는 특정 클라이언트의 요구에 맞춰 에이전시가 제시하는 모델 풀이 한정적일 수밖에 없다. 하지만 스포트라이트를 통해서라면 클라이언트는 세계 각국의 모델 풀을 다양하게 접할 수 있고, 모델로서도 자신과 핏이 맞다고 생각하는 클라이언트를 대상으로 흥미를 불러 일으킬만한 자기소개를 할 수 있다. 벤자민 호리 CSO 역시 이 부분을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