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K-메타버스 글로벌 확산 교두보 마련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국제모바일기술박람회(Mobile World Congress) 2022’에서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와 메타버스 분야 상호 협력 증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2일(현지시간) 체결했다고 밝혔다.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는 전 세계 220여 국의 750개 이상의 이동통신 사업자(SKT, KT, LGU+ 등)가 회원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세계 이동통신 산업의 주요 유행과 미래 전략을 제시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번 업무협약으로 과기정통부는 한국의 확장가상세계 생태계 발전과 관련된 정보를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와 공유하고,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는 한국의 사례를 전 세계 회원사 및 개발자와 공유하며 사업 협력 기회를 모색하기 위해 노력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한국의 ‘확장가상세계 영토’가 전 세계로 확장됨으로써 우리 플랫폼과 기술을 제공하는 기업들의 세계시장 성장 가능성이 한층 올라갈 것으로 기대된다.

과기정통부 임혜숙 장관은 “지난 1월 한국이 범정부 합동으로 수립한 '메타버스 신산업 선도전략'에 기반한 다양한 정책과 경험, 민간의 혁신적 사업 사례가 전 세계로 확산된다면 초기 단계인 확장가상세계 시장을 우리가 선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말하며, “이번 업무협약을 계기로 양 기관이 주관하는 주요 학술회의에 기조연사를 교환하고, 기업·전문기관 간 새로운 사업 창출을 위한 국제 협력 네트워크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 마츠 그란리드사무총장은 “현실과 가상 세계를 연결하는 메타버스와 이번 국제모바일기술박람회 2022의 주제인 '연결성의 촉발'이 지향하는 점이 맞닿아 있다”며, “올해 8월 싱가포르에서 개최할 예정인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 모바일 360(GSMA Mobile 360)’ 행사를 통해 한국과의 협력이 구체화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김광우 기자

kimnoba@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EU ‘인공지능법’ 통과, GDPR 버금가는 강력한 규제 장벽 될 수도…대응법은?

EU 인공지능법 통과를 두고 국내 법률 전문가들은 공히 “GDPR 수준에 버금가는 강력한 규제 장벽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 놓고 있다. 실제 그 내용을 보면 EU 지역에서 출시되는 AI 관련 상품·서비스는 공급자의 소재지와 관계없이 모두 인공지능법에 적용 대상이 된다. 이에 법무법인 디엘지(전 법무법인 디라이트)가 마련한  ‘GDPR의 실무와 EU 최신 규제 동향’ 세미나에서는 GDPR을 통해 진행된 규제 내용과 더불어 인공지능법에 대한 국내 인공지능 기업의 대응 필요성이 주요 세션 중 하나로 다뤄졌다.

스탠포드-아시아 지속가능 심포지움 현장… 기업들이 주목해야 할 ESG 리스크와 대응 전략은?

지난 2022년 9월 전설적인 벤처 투자자인 존 도어가 스탠포드에 11억 달러(한화 약 1조5000억원)을 기부해 설립된 스탠포드 도어 지속가능대학(Stanford Doerr school of sustainability, 이하 도어 스쿨)이 스타트업 전문 법무법인 미션과 공동 기획으로 제 4회 ‘스탠포드-아시아 지속가능 심포지움’을 개최했다. 이날 행사는 스탠포드 전문가를 비롯해 법조인, 스타트업 관계자들이 모여 탄소 중립을 위한 생태계 및 규제를 분석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기업과 스타트업의 전략과 사례가 소개되는 시간으로 채워졌다.

ESG 경영 관리, 전략적 비즈니스 필수 요소로 재정의가 필요하다

박 대표는 ‘관리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는 ESG 관련 법 제정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지만, 법 제정의 목적은 결국 ‘공급망 실사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 박 대표의 설명이다. 그 대표적인 것이 바로 ‘CBAM(Carbon Border Adjustment Mechanism, 탄소국경조정제도 *탄소 가격과 연계된 탄소국경세 개념)’다.

악의적 선거 딥페이크 사용 방지를 위한 자율협의체 공동선언 채택

한국인터넷기업협회는 회원사인 네이버, 카카오, SK커뮤니케이션즈(가나다 순) 등과 올해 치러지는 선거 과정에서의 공정성과 신뢰성을 위한 ‘악의적 선거 딥페이크 사용 방지를 위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