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땐 그랬지]쉬운 기술, 익숙한 서비스... 호텔 투숙객이 느끼는 아마존 알렉사의 가치

[AI 요약] 초기에는 혁신 기술 기반 제품이라기 보다는 생활용품처럼 친숙한 느낌이 있었지만 최근에는 국내에서도 AI 음성비서 서비스가 호텔에 접목된 사례가 늘어가고 있다. AI를 호텔 방에 두려면 연결된 장치나 호환 가능한 기기들을 심어 두어야 하다 보니 그간 없던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는데, 현재 미국에서 가장 잘 나가는 음성 인식 서비스로 부각되고 있는 아마존이 AI를 선택한 이유가 된다.


스마트홈 기기 중 아마존 알렉사(Amazon Alexa)는 한때 미국에서 가장 잘 나가는 음성 인식 서비스로 부각됐었습니다.

구글,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삼성전자(빅스비) 등에서도 열심히 하지만 초기에는 뭔가 차이가 느껴졌었죠. 뭐랄까 첨단 기술 기반 제품이라기 보다는 생활용품처럼 친근한 느낌이 듭니다.

이런 이유 때문인지 초기 AI 음성비서 시장은 알렉사 주변으로 세계적인 생활 가전 기기 기업, 참신한 스마트 홈 관련 스타트업이 몰려 들었습니다. 그리고 지금은 국내에서도 KT, 카카오, 네이버 등의 AI 음성비서 서비스가 호텔에 접목된 사례가 늘어가고 있습니다. 몇년 전 이야기지만 당시 호텔로 진출을 선언한 알렉사 이야기를 써볼까 합니다.

새로운 호텔 바틀러?

미국 라스베이거스에 있는 윈 라스베이거스 호텔(Wynn Las Vegas Hotel)이 재미있는 실험에 나섰습니다. 바로 호텔 내 모든 객실에 아마존 알렉사를 놓겠다는 것입니다. 알렉사를  호텔 방에 두려면 연결된 장치나 호환 가능한 기기들을 곳곳에 심어 두어야 하다 보니 제법 손이 많이 갈 수 있습니다.

그런데도 윈 라스베이거스 호텔이 알렉사 도입을 적극적으로 추진한 것은 흔히 말하는 투자 효과가 크기 때문일 것입니다.

이 호텔이 기대하는 효과는 '호텔 투숙객에게 지금까지 없던 새로운 경험(UX)' 제공입니다. 객실에 발을 디디는 순간부터 방을 나갈 때까지 지금까지 느끼지 못했던 편안함과 즐거움을 주겠다는 것입니다.

호텔로 진출한 아마존 알렉사는 집 거실에 두고 TV 켜라, 음악 틀어라 등등 시키는 것과 별반 다르지 않습니다.

하지만 여행지의 호텔이라면? 간단히 예를 들어 볼까요? 라스베이거스에 여행이나 출장을 간다고 해보죠. 보통 호텔에 도착하자마자 피곤이 몰려오죠. 한쪽에 짐을 던져두고, 간단히 씻은 다음 바로 침대로 직행하게 됩니다. 침대로 들어가면 누구나 같은 마음이죠. 손가락 하나 까딱하기 싫습니다. 이런 때 누군가 곁에서 잔심부름을 다 해주면 얼마나 좋을까요? 객실에 비치된 알렉사가 할 일이 바로 이것입니다. 잔심부름...

집에서도 알렉사, 호텔에서도 알렉사.. 사방천지에 알렉사

알렉사로 투숙객은 커튼을 걷을 수 있고, TV를 켜고 채널을 바꿀 수 있습니다. 조명 조절과 온도 조절은 기본입니다. 투숙객은 눈코입이 달린 집사가 아니라 방 그 자체와 이야기를 나누는 특별한 경험을 하게 됩니다.

방에 들어와 "알렉사, 커튼 좀 걷어줘"라고 말한 다음 짐 정리를 하고 나서 씻으러 가기 전에 "알렉사, 음악 좀 틀어줘"라고 시킵니다. 다 씻고 나와 침대에 누워 "알렉사, 뉴스 좀 틀어줘"라고 한 다음에 "알렉사. 방 안 온도 좀 올려줘"라고 합니다. TV를 보다 보면 눈이 스르륵 감기죠. 이 때도 손을 뻗어 침대 옆에 있는 등을 끄지 않아도 됩니다. "알렉사, 불 좀 꺼줘".. 이 한 마디면 충분하죠.

미국처럼 가정에서도 널리 알렉사를 쓰는 곳에서는 호텔 방에 알렉사가 있다는 것이 매우 특별한 의미로 다가옵니다. 마치 집에서처럼 호텔에서 내 영상, 음악 플레이리스트를 틀 수 있죠. 현재 아마존이 소매 유통 분야에서 일으키는 혁신을 고려하면, 알렉사로 더 많은 잔심부름을 시킬 수 있게 될 것입니다. 집, 호텔 등 내가 어디에 있건 내 곁을 지키는 든든한 집사 같은 느낌... 윈 라스베이거스 호텔이 알렉사를 선택한 이유가 아닐까요?

윤소영 기자

ericahue@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AI로 ‘한 세대 한번’ 뿐인 기회를 잡은 ‘구글·유튜브’

구글이 지난해 법무부가 기소하면서 시작된 반독점 재판과 기업이 야심차게 출시한 새로운 AI 도구가 사실상 흥행 실패한 가운데, 알파벳은 사상최초로 배당금 700억달러 자사주를 매입했다는 소식을 알렸다. 다양한 악재 속에서도 알파벳은 적극적으로 생성형 AI 프로젝트에 리소스를 전환하면서 ‘한 세대 한번’ 뿐인 기회를 잡았다.

[생성형 AI 붐 시대①] 생성형 AI 산업 대폭발과 그 주변

AI 인덱스 보고서가 보여주는 AI 분야 경쟁 트렌드와 활용 및 과제 등을 포함하는 주목할 만한 15개 지표는 ▲생성형 AI투자 폭발 ▲폐쇄형 모델이 개방형 모델 성능 능가 ▲이미 매우 비싸진 파운데이션 모델 ▲미국이 파운데이션 모델 분야에서 선두 국가로 자리매김 ▲구글이 파운데이션 모델 경쟁 기업 가운데 독주 ▲AI 경쟁에 따른 무거운 탄소 발자국 발생 부작용 ▲AI 개발자들의 인종적 다양성, 일부 진전 ▲포춘 500 기업 조사결과 최소 1개 사업부가 AI 구현 ▲AI를 사용한 기업들의 비용 축소 및 매출 증가 ▲업계가 새로운 AI 박사 학위자들 채용 ▲기업들의 AI리스크 인식 ▲아직까지 인간을 능가하지 못한 AI ▲잇단 AI 책임 규범 개발 ▲법이 AI를 활성화하는 동시에 한편으로 제약 ▲사람들을 불안하게 만드는 AI로 요약된다.

야렉 쿠틸로브스키 딥엘 창업자 “사람과 상호작용하는 자체 LLM 기반 언어 AI 개발…번역, 글쓰기 이어 음성 번역 서비스도 선보일 것”

26일 딥엘의 창업자인 야렉 쿠틸로브스키 CEO가 직접 한국을 방문해 시장 진출 1년의 성과와 향후 전략을 발표했다. 쿠틸로브스키 CEO가 소개한 딥엘 라이트 프로는 딥엘의 자체 거대언어모델(LLM)로 구동되는 첫 서비스로, 기업이 사내외 커뮤니케이션, 계약서 등 기업이 글로벌 비즈니스 상황에서 더 명확하게 소통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자, 그럼 이제 ‘틱톡’은 누가 사게 되나요?

미국 의회가 틱톡을 미국에서 금지하는 법안을 통과시키고 하루만에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이에 서명함에따라, 설마했던 미국 틱톡 금지가 현실화 되고 있다. 이제 미국 정부와 업계는 틱톡의 새로운 주인을 찾기 위한 전략을 빠르게 세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