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근마켓이 이름에서 '마켓'을 빼는 이유

중고거래에서 할 만큼 해봤는데, 돈 벌기가 쉽지 않았습니다

출처 : 당근 홈페이지

그저 당근이라 불러다오

'당근마켓'이 이름에서 '마켓'을 떼어내고 '당근'으로 새롭게 거듭난다고 합니다. 당근 공식 블로그에 공개된 글에 따르면, 이제 마켓을 넘어 '신 처'의 지역 생활 커뮤니티로 본격적으로 나아가고자 하는 의지를 담았다고 하는데요. 이러한 당근의 새로운 비전은 함께 공개된 브랜드 공식 소개 영상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영상에서는 아르바이트 구직, 부동산과 중고차 직거래 등이 강조되어 있는데요. 결국 당근은 중고거래가 아닌 다양한 생활 밀착 서비스 기업으로 자리 잡길 원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물론 이와 같은 방향성은 서비스 출시 초기부터 여러 번 강조되었던 포인트이긴 합니다. 다만 시점이 중요한데요. 올해 들어 그 언제보다 수익성 개선 압박이 심해지면서, 당근은 본업이라 할 수 있는 중고거래에서 돈을 벌고 있지 않다는 점을 계속 지적받아 왔습니다. 하지만 당근은 처음부터 지켜왔던, '중고거래로 수익 모델을 만들지 않겠다'는 고집을 꺾지 않았고요. 오히려 역으로 당근이라는 기업의 정체성을 완전히 바꾸고, 돈은 다른 데서 벌겠다는 걸 완전히 공식적으로 선언한 겁니다.

중고거래로는 결국 길을 못 찾았습니다

사실 중고거래 및 리셀 플랫폼들은 작년과 올해 연이어 수수료를 올리며 적극적인 수익 개선 행보를 보이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크림은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8월까지 무려 7번이나 수수료를 인상했고요. 번개장터의 경우 작년부터 전문 판매업자에게 추가 수수료와 월 이용료를 수취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일단 무료나 이에 준하는 파격적인 가격으로 이용자들을 모은 후, 어느 정도 시기가 지나면 적당한 과금 모델을 붙여 수익화를 하는 것이 일반적인 플랫폼의 전략입니다. 하지만 당근은 이러한 일반적인 길을 택하지 않았습니다. 대신 이로 인해 오랜 기간 적자를 감수해야 했고요. 그렇기에 올해 초에 저 역시 이럴 거면 차라리 당근이 중고거래 유료화를 시도해야 한다는 관점으로 글을 쓰기도 했었습니다. 쉬운 길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계속 고집을 부리는 것처럼 보였었거든요.

하지만 어쩌면 당근은 중고거래 기반의 수익 모델 구축을 안 한 것이 아니라 못한 걸지도 모릅니다. 잘 아시다시피 당근에서의 중고거래는 다른 플랫폼들과는 큰 차이가 존재합니다. 비대면보다는 대면 거래 중심이라는 점인데요. 그렇기에 현금이나 계좌이체 등으로 결제하는 경우가 많아서, 수수료를 부과하기 어려웠습니다. 이를 타파하기 위해 당근배송이나 당근페이 같은 신사업을 시도하였지만, 반응은 미적지근했고요. 최근에는 아예 중고거래 이용자 대상 광고 사업을 테스트한다는 소식이 전해지도 했습니다. 근데 이도 그리 신통치 않았나 봅니다. 이번에 아예 이름까지 바꾸면서, 중고거래가 아닌 새로운 길을 찾아 나선 걸 보면 말입니다.

당근은 사실 중고거래 기반으로 무언가를 만들려 여러 번 시도를 했으나 좋은 성과를 거두지 못했습니다

또한 여전히 당근의 트래픽이 정체 상황이라는 점도, 아예 탈 중고거래를 하자는 결단을 내리게 만든 원인 중 하나인 걸로 보입니다. 사실 그간 부실한 수익 모델에도 불구하고, 투자자들이 당근을 높게 평가했던 건, 압도적인 트래픽 지표 덕분이었는데요. 작년 2분기부터 성장세가 꺾이면서 이조차도 퇴색되고 맙니다. 이와 같은 트래픽 성장 정체도, 결국 중고거래라는 업의 한계 때문이기도 한데요. 중고거래를 하고자 하는 이들은 포화상태니, 결국 신규 사용자 유입을 위해선 새로운 간판 서비스가 필요했던 겁니다.

경쟁과 평판의 함정을 뛰어넘어야

그리고 일단 언론을 통해 공개된 정보를 토대로 봤을 때, 당근 내부적으론 자신감을 가질만한 상황인 것 같습니다. 당근의 올해 1분기 광고 수익은 전년 동기 대비 2배 이상 성장하고, 광고주 수도 73%나 증가했다고 하니 말입니다. 따라서 지역 생활 커뮤니티로의 전환에 성공한다면, 트래픽을 다시 성장시켜 광고 사업을 더욱 활성화시킬 수 있고요. 여기에 지역 채용, 직거래 등의 서비스에 부가적인 수익 모델을 덧붙일 수 있다면, 당근은 정말 본인들의 가치를 증명할 수 있을 겁니다.

그런데 앞으로 당근이 '지역 생활 커뮤니티'로 성공적인 수익 모델을 만들기까지 직면할 과제도 결코 만만치 않습니다. 어쩌면 중고거래 유료화 이상으로 힘든 여정일지도 모르고요. 우선 경쟁자들이 너무나 강력합니다. 당근은 중고거래, 특히 지역 기반 중고거래에서는 독보적인 강자입니다. 하지만 로컬 서비스라고 한다면, 네이버나 배민 등과 경쟁해야 하는데, 이들은 당근에게 아직은 벅찬 상대들입니다. 더욱이 이들 잠재적 경쟁자들이 이미 안정적인 수익을 올리고 있는 곳들이라는 측면에서 더욱 그러하고요.

또한 지역 기반의 광고 사업이나, 혹은 여러 직거래 수수료 상품이 등장하는 경우, 언젠가는 소상공인 상생 이슈가 부상할 수 있습니다. 결국 리브랜딩의 가장 큰 목적 중 하나는 당근이 안정적으로 돈을 버는 것이고요. 로컬 서비스가 버는 돈은, 지역 소상공인들에게서 나올 수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당근은 오랜 기간 쌓아왔던 좋은 평판 역시 한순간에 무너질 수 있다는 걸 기억하고, 대외 리스크 관리에 더욱 힘써야 할 겁니다.

트렌드라이트는 국내 최대 규모의 커머스 버티컬 뉴스레터로, '사고파는 모든 것'에 대한 이야기를 다룹니다. 매주 수요일 아침, 가장 신선한 트렌드를 선별하여, 업계 전문가의 실질적인 인사이트와 함께 메일함으로 전해 드릴게요.

본 기사의 원문은 여기서 볼 수 있습니다.

기묘한

tech42@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가볍게 훑어보는 엔비디아 히스토리 ①리바TNT부터 지포스256까지 GPU의 시작

요즘 가장 뜨거운 기업은 엔비디아죠. 엔비디아는 왜 유명해졌고, 어떻게 성장해 왔는지, 또 지금 왜 가장 주목받는 기업이 되었는지 이야기를 풀어봅니다.

바쁘다 바빠 현대사회! 끝내지 못한 일때문에 괴롭다면?

끝내지 못한 일이 이들을 심리적으로 긴장하게 하고, 그 일에 미련을 갖게 해 더 오래 기억한 건데요. 이걸 자이가르닉 효과라고 합니다.

이제는 AGI를 준비해야 할 시기

이제는 생성형 인공지능을 뛰어넘는 범용 인공지능을 언급하는 시대가 도래하고 있어요. 여러 분야에 두루 쓰이는 인공지능이라면 인공지능을 필요로 하는 기업들의 까다로운 입맛에 잘 맞춰줄 수 있지 않을까요?

쿠팡은 와우 멤버십 가격을 왜 올린 걸까요?

작년 연말 기준으로 쿠팡 와우 멤버십 회원 수는 약 1,400만 명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2021년 말 무려 70%나 와우 멤버십 가격을 올렸을 때도, 회원 수가 줄기는커녕 더욱 늘어났는데요. 다만 이제는 현재 수준의 혜택으로 이 이상 멤버십 회원 수를 키우는 건 어렵다고 판단한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그래서 결국 수익 확대의 길을 택하게 된 것일 거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