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시대의 신대륙 '메타버스'

[AI 요약] 최근 가상의 디지털 공간 '메타버스'가 산업 전반에 변화의 물결을 일으키고 있는데 이는 컴퓨팅, 스마트 기기, 네트워크 등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른 필연적인 결과물로 보이며 과거 메타버스의 시조격 서비스 세컨드라이프에서 '현실의 나 보다 더 나은 나'를 만들었던 것은 디지털 시대에서 인간의 본능과도 같은 것이다. 다양한 메타버스 서비스가 등장하고 있으며 네이버 아크버스와 메타의 햅틱 장갑 등 머지않아 현실과 같은 메타버스에서 다양한 비즈니스가 일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최근 가상의 디지털 공간 '메타버스'가 산업 전반에 변화의 물결을 일으키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비대면 문화가 그 활성화에 가속을 붙였다. 사람들은 현실과 유사한 가상의 디지털 공간에서 회의를 하고, 각종 세미나 등 행사를 치르며, 콘서트를 즐기고, 물건을 사고 팔기 시작했다.

물론 이 모든 것은 현실에서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일종의 온오프라인연계(O2O) 서비스처럼, 사람들은 가상의 캐릭터와 자신을 동일시 하며 메타버스 안에서 집단 (소통)활동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고 있다.

IT 인프라가 덜 갖춰진 일부 후진국을 제외하고 전세계적으로 메타버스 붐이다. 관련 기업들은 앞다퉈 메타버스 플랫폼을 만들고, 다양한 분야에서 이를 활용한 서비스가 이뤄지고 있다. 경제·사회·문화적인 키워드가 됐다.

메타버스는 컴퓨팅, 스마트 기기, 네트워크 등 정보통신기술(ICT)의 발전에 따른 필연적인 결과물로 보면 된다. 인터넷과 스마트폰의 대중화로 사람들은 네트워크로 연결됐고, '디지털'이라는 매개체를 통해 각자의 현실에서 벗어난 새로운 자아를 디지털 소통 공간에 만들어 냈다. 과거 메타버스의 시조격 서비스 세컨드라이프에서 '현실의 나 보다 더 나은 나'를 만들어 냈던 것은 디지털 시대에서 인간의 본능과도 같은 것이다. 현실의 자아를 부정하거나 가상화 현실을 구분하지 못하는 부작용도 나타났다.

린든랩의 '세컨드라이프'

다시 현재의 메타버스로 돌아와서, 최근 나오고 있는 메타버스는 보다 현실적이다. 팍팍한 일상의 도피처가 아닌 시공간을 초월한 디지털 공간에서 일을 성취하고, 원하는 취미활동을 하며, 디지털 자산을 사고 파는 비즈니스 공간을 목표로 한다. 소비자의 수요가 있는 곳에 기업의 영리활동도 이어진다. 주요 빅테크 기업들은 발빠르게 개발에 나섰다. 페이스북이 사명을 메타로 바꾸면서 까지 메타버스에 뛰어든 것도 이러한 이유에서 였다.

앞서 ICT의 발전에 따른 필연적인 결과물이라고 한 것은, 페이스북이라는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차기 버전(?)이 메타버스 플랫폼이기 때문이다. 대략 'PC통신-->인터넷-->메신저-->채팅-->SNS-->메타버스' 순으로 디지털 소통이 발전하면서, 가상의 디지털 공간은 현실과 대등한 또다른 세계를 만들어 가고 있다. 모건스탠리에서는 메타버스가 차세대 소셜미디어, 스트리밍, 게임 플랫폼을 대체하며 8조 달러(약 9000조원)의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내다봤다.

두나무의 메타버스 플랫폼 세컨블록. 캐릭터가 가까워지면 화상 통화를 할 수 있다.

국내에서는 네이버의 제페토, SK텔레콤의 이프랜드가 인기를 끌고 있고, 두나무가 최근 캐릭터끼리 화상 통화가 가능한 세컨블록을 선보였다. 이달 17일에는 싸이월드가 한컴과 함께 메타버스로 재단장해 돌아온다. 또한 은행들은 메타버스 점포를 준비하는 등 활용 범위도 넓어지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이머전리서치는 2020년 476억9000만 달러(약 57조400억원) 수준이던 메타버스 시장 규모가 매년 40% 이상 성장, 2028년에는 8289억5000만 달러(약 991조4000억원)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영화 레디플레이어원의 한 장면. 주인공이 VR 고글과 햅틱 장갑을 끼고 가상의 세계에서 게임을 하고 있다.

여기서 잠깐, 2018년 영화 레디플레이어원을 들여다 보자. 사실 우리가 상상했던 메타버스는 이 영화에 나오는 현실과 가상을 구분할 수 없는 디지털 세상이다. 지금 나오고 있는 2D, 3D 메타버스 플랫폼은 SNS의 확장판 수준이다. 사람들이 원하는 것은 XR 기기를 장착하고 진짜 같은 가상 공간에서 멋진 캐릭터로 폼나게 사는 것이 아닐까. 현실을 벗어난 공간을 꾸미기 위해 가상의 부동산, 자동차, 옷, 가구 등에 충분히 돈을 지불할 의지가 있다. 이는 과거 세컨드라이프에서 입증된 바 있다.

이러한 진짜 같은 메타버스 구현은 어떻게 가능할까. 네이버랩스가 최근 공개한 아크버스(ARCVERSE)에서 그 해답을 찾을 수 있다. 아크버스는 현실과 가상(디지털)을 연결하는 네이버의 기술 융합 생태계다. 아크버스라는 용어는 인공지능(AI)과 로봇(Robot), 클라우드(Cloud)의 영문 앞자리와 세계(Universe)의 영문 표현이 합쳐져 완성됐다. 여기서 알 수 있듯이 네이버는 "AI·로봇·클라우드·디지털트윈·5G·자율주행·증강현실(AR) 등을 기술들을 융합해 현실과 디지털 공간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메타버스 생태계'라고 정의했다.

석상옥 네이버랩스 대표는 "아크버스를 발표하고 난 뒤 지인들이 제페토나 로블록스 등 어린이를 위한 메타버스 서비스가 아닌 시니어를 위한 메타버스 서비스냐고 질문을 많이 했다"며 "아크버스는 서비스가 아니라 여러가지 요소 기술을 융합하고 연결하는 개념이다"고 설명했다.

네이버의 아크버스 구성 요소

아크버스의 구성을 보면 '미러 월드' '피지컬 월드' '브릿지' 등으로 구성돼 있다. 미러 월드는 가상의 디지털 공간이고, 피지컬 월드는 현실 세계다. 그리고 이 둘을 연결해 주는 브릿지가 있다.

미러 월드는 현실 세계를 그대로 디지털에 꾸미기 위해 '어라이크 솔루션' 기술을 활용한다. 어라이크는 실내외 디지털 트윈 데이터 제작 솔루션이다. 현재 네이버는 일본에서 소프트뱅크와 함께 도시 단위 고정밀 지도 제작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고정밀 지도는 메타버스의 현실성을 높여주는 중요한 요소다. 가상의 공간을 진짜 공간처럼 만들어 주는 기술로 보면 된다.

네이버랩스가 구상하는 디지털트윈 도시 예시
네이버랩스가 개발 중인 디지털트윈 기술 기반 고정밀 지도
네이버랩스의 실내 맵핑(지도제작) 기술

피지컬 월드에서 메타버스를 구현하는 기술을 기계와 서비스로 구성된다. RaaS(서비스형로봇)이나 MaaS(서비스형모빌리티),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을 혼합한 확장현실(XR), 스마트빌딩/스마트시티 기술도 네이버 아크버스의 핵심 기술력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이 두 세계를 연결하는 브릿지인데, 여기에 아크(ARC) 시스템이 적용된다. 이는 네이버클라우드 플랫폼 기반의 5G와 아크아이(ARC eye), 아크브레인(ARC Brain) 같은 네이버의 솔루션을 활용하게 된다.

다만 아크버스는 이제 막 소개된 기술이다. 구체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하지 못한 상황이지만, 향후 현실과 같은 메타버스를 구현하기 위한 기술력을 축적해 글로벌 시장 진출을 노리고 있다. 네이버랩스 측은 "도시 단위의 지도구축, 데이터 기반 AR, 자율주행, 로봇 등의 기술력을 통해 메타버스를 구현할 것"이라고 말했다. 초기에 적용가능한 서비스는 물류센터가 될 수 있다. 디지털 물류센터를 구현해 놓고, 이를 관리자가 조작하면 현실 물류센터에서 로봇이 그대로 업무를 수행하는 형태의 비즈니스가 가능해 진다. 이처럼 아크버스는 기술의 융합을 통해 현실 정보를 디지털화하는 것을 핵심으로 한다.

메타의 리얼리티 랩스가 개발한 햅틱 장갑 시제품 (사진=메타)

또한 메타(구 페이스북)이 얼마 전 공개한 햅틱 장갑은 디지털 공간을 손으로 직접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제품이다. 메타의 리얼리티랩스가 개발한 햅틱 장갑은 액추에이터로 알려진 약 15개의 플라스틱 팽창식 에어패드가 손바닥과 손가락 전체에 압착된다. 장갑을 끼고 증강현실 세계에 들어가면, 제어 시스템이 장갑 패드의 팽창 수준을 조정해 각기 다른 부분에 압력을 가하는 방식이다. 이런 감각은 시각, 청각 신호와 함께 작동하며 물리적으로 어떤 것을 만지는 느낌을 준다.

이 장갑은 VR 컨트롤러 역할도 한다. 장갑 뒷면에는 카메라가 손가락이 어떻게 움직이는지 추적할 수 있는 장치가 있고, 착용자의 손가락이 구부러지는 방식을 촬영하는 내부 센서도 탑재돼 있다. 메타는 오큘러스 VR 시스템에 이 햅틱 글러브 시스템을 결합해 보다 완벽한 가상현실 세계를 구축할 수 있다고 믿는다.

메타버스 구현을 위한 기술은 이처럼 나날이 발전해 가고 있다. 머지않아 현실과 같은 메타버스에서 다양한 비즈니스가 일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김효정 기자

hjkim@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자, 그럼 이제 ‘틱톡’은 누가 사게 되나요?

미국 의회가 틱톡을 미국에서 금지하는 법안을 통과시키고 하루만에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이에 서명함에따라, 설마했던 미국 틱톡 금지가 현실화 되고 있다. 이제 미국 정부와 업계는 틱톡의 새로운 주인을 찾기 위한 전략을 빠르게 세우고 있다.

[인터뷰] 김민석 로켓툴즈 대표 “데이터 수집과 분석, CRM까지 자동으로 하는 ‘AI 마케터’를 만들고 있습니다”

로켓툴즈는 퍼스트파티데이터를 분석하고 고품질 데이터로 추출해 정합성을 높이는 단계는 물론 CRM 마케팅에 필요한 타깃 정의, 콘텐츠 제작, 세팅, 결과 분석까지 제공하는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다. 여기에 더해 고객이 회원 가입시 쿠폰을 발급하고 자사몰에 접속했을 때 뜨는 팝업, 구매 유도를 위한 카카오톡 알림톡까지 자동으로 연계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이름하여 ‘AI 마케터’다.

달에서 문자하고 화성에서 스트리밍할까요?

달 탐험을 강화하고 궁극적으로 위성 행성에 인간이 존재할수 있는 미래를 모색하기 위해 NASA와 노키아가 올해 말, 달에서 4G 모바일 네트워크를 출시할 준비를 진행중이다. 이는 우주 식민지 주민이 개인 디바이스를 네트워크에 연결해 지구인이 사용하는 모든 앱과 서비스에 액세스할수 있는 스마트폰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서울대생들이 만든 소셜 스타트업, ‘시공간’ “LLM 활용, 대화형 챗봇으로 시각장애인의 온라인 쇼핑을 돕는 서비스 만들었습니다”

시공간이 개발·출시한 서비스는 총 세 가지다. 우선 대표 서비스인 ‘픽포미’를 들 수 있다. 이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쇼핑 서비스로 다양한 상품 정보를 LLM(거대언어모델) 기반 AI로 요약해 시각장애인들에게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 ‘브로디’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사진 해설 서비스로, ‘글공방’은 자체적으로 시각장애인을 위한 대체텍스트 제작이 어려운 기업들을 위한 ‘대체텍스트 제작’ B2B 서비스로 고도화를 진행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