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버스 열풍의 승자는 반도체 회사···구체적으로는?

지난해 12월 21일 바이두가 기자들과 공유한 이 비주얼에 따르면 바이두의 메타버스 개념 ‘시랑’은 ‘크리에이터 시티(Creator City)’에서 출발한다. 중국 최대 도시인 상하이는 5개년 개발 계획에 메타버스 적용을 장려하는 내용을 포함시키고 있다. (사진=바이두)

“엄청난 양의 컴퓨팅 파워를 필요로 하는 메타버스는 글로벌 칩 제조업체에게 이익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가상세계인 ‘메타버스’에 대한 열풍은 결과적으로 반도체 제조사를 ‘승자’로 만들어 줄 것이라고 CNBC가 투자자문회사 모닝스타 보고서를 인용, 12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차세대 인터넷으로 불리는 메타버스는 지난해 10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대기업 페이스북이 사명을 ‘메타’로 변경한다고 발표하면서 큰 주목을 받았다.

메타버스는 오큘러스 같은 가상현실(VR) 헤드셋을 통해 제어되는 3차원 아바타를 통해 인간이 상호 작용하는 가상 세계를 폭넓게 지칭한다. 메타버스를 통해 사용자는 게임, 가상 콘서트, 또는 라이브 스포츠와 같은 가상 활동에 참여할 수 있다.

이런 가운데 투자자문회사 모닝스타는 지난주 보고서에서 “(메타버스는) 칩 제조업체들에게 이익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메타버스에서 일어나는 많은 작업들이 엄청난 양의 데이터를 실시간 처리하는 것을 수반하기 때문에 관련 칩들은 TSMC, 삼성, 인텔에서만 가능한 고급 프로세스 노드를 사용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모닝스타는 또 “좀더 작은 규모의 UMC, SMIC 및 글로벌파운드리같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들은 전력 관리 및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처럼 가치가 낮은 반도체 공급망 부분만 활용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지난해 반도체 제조사인 엔비디아의 주가는 메타버스 기대감에 125% 급등했다. CNBC는 투자자들이 메타버스의 성공에 베팅하고 싶다면 매수해야 할 4대 핵심 종목 중 하나로 엔비디아를 꼽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가상 세계와 관련된 기술들이 등장함에 따라 대기업들이 수혜를 입을 것이라고 말했다.

후웨이푹 DBS은행 최고투자책임자(CIO)는 지난 10일 CNBC와의 인터뷰에서 “메타버스가 많은 컴퓨팅 파워를 필요로 할 것이기 때문에 반도체 회사들은 명백한 수혜자가 될 것”이라고 동의하면서 “메타버스 승자는 기술 기업”이라며 말했다.

민간 은행 회사인 롬바르드 오디에는 지난해 12월 보고서에서 “투자자들이 고려할 수 있는 다른 주요 메타버스 인프라 지원 분야로는 클라우드 컴퓨팅, 인공지능(AI), 비디오 게임 그래픽과 같은 ‘핵심 구성 요소’를 공급하는 회사들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현금없는 가상환경에서는 블록체인 기술, 암호화 화폐도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이 은행은 “예술품, 수집품, 밈 등 자산 소유권을 증명하는 디지털토큰인 ‘대체불가능한 토큰’(NFT)을 지원하는 블록체인은 디지털 콘텐츠 제작과 수익화를 위한 ‘흥미로운’ 생태계를 조성할 수 있다”고 예상했다. 또 “이는 메타버스에서 창조된 예술 작품이나 자신의 창작물을 사용할 권리를 부여해 새로운 가상경제의 문을 열 수 있다. 이 영역에서 인간의 창의력은 사실상 한계가 없다”고 덧붙였다.

애플, 마이크로소프트(MS), 구글뿐만 아니라 페이스북의 모기업인 메타도 메타버스를 위한 새로운 하드웨어(HW) 제품과 소프트웨어(SW) 서비스를 출시할 준비를 하고 있다.

아시아에서도 중국이 메타버스에 크게 나설 조짐이다. 중국 최대 도시인 상하이는 5개년 개발 계획에 메타버스를 포함시켰다.

이 계획에는 “공공서비스, 기업 사무실, 소셜엔터테인먼트, 산업제조, 생산안전, 전자게임 등의 분야에서 메타버스 적용을 장려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이재구 기자

jklee@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인터뷰] 박아윤 타르트 대표 “봇물 터지는 조각투자 시장을 주도할 투자계약증권 거래 플랫폼을 만들고 있죠”

창업 초기 제도권 금융인 주식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비즈니스 모델로 시작한 타르트는 이후 몇 차례 피보팅을 통해 비상장 주식 가격 비교 플랫폼을 거쳐 대체투자 시장의 니즈를 반영한 투자 데이터 제공 플랫폼 ‘프랩’을 선보였다. 투자자들이 조각투자를 진행할 때 도움이 되는 근거 데이터를 제공하는 비즈니스 모델로, 각 플랫폼이 제공하는 제한된 상품 가치 정보를 객관적인 투자 가치 데이터로 한데 모아 제공한 것이다. 이를 테면 분산된 조각투자 상품 정보를 한 번에 볼 수 있게 한 업계 최초 시도였다.

‘틱톡’이 완전히 사라진 세상에서 벌어진 일

미국보다 먼저 틱톡을 자국에서 퇴출한 인도의 사례가 주목받고 있다. 인도는 2020년 인도와 중국 국경에서 발생한 폭력 충돌로 최소 20명의 자국 군인이 사망한후, 돌연 틱톡과 기타 유명한 중국 앱들을 금지했다. 그리고 4년이 지난 현재, 인도는 틱톡이 완전히 사라진 세상에서 적절한 대안을 찾은 것으로 보인다.

SW 개발자 시대의 종언···이젠 AI가 ‘처음부터 끝까지’ 코딩

인간 사용자는 데빈의 챗봇 스타일 인터페이스에 자연어 프롬프트를 입력하기만 하면 이 AI SW 엔지니어가 이를 받아 문제 해결을 위한 자세하고도 단계적인 계획을 수립한다. 그런 다음 인간 SW 기술자처럼 개발자 툴을 사용해 프로젝트를 시작하고 자체 코드를 작성하고 문제를 해결하며 실시간으로 진행 상황을 테스트하고 보고한다. 인간 사용자는 이 모든 과정을 주시할 수 있으며 인간 관찰자는 맘에 들지 않는 부분이 있을 경우 채팅 인터페이스를 사용해 이를 고치도록 AI에게 명령을 내릴 수도 있다.

[인터뷰] 김진우 하이 대표 “디지털 바이오마커를 적용한 마음관리 서비스로 디지털 치료제의 효용감을 높이고 있습니다”

2016년 설립된 바이오벤처 하이는 바로 이 디지털 바이오마커 기술을 적용한 디지털 치료제와 서비스를 선보이며 놀라운 성과를 내고 있다. 그 중심에는 30년 간 연세대학교 경영학과 교수이자 HCI(인간-컴퓨터 상호작용) 전문가로 활동해 온 김진우 대표가 있다.